메뉴 건너뛰기

2018.06.29 13:32

미안하고 부끄럽고

조회 수 438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달.png

 

  매일 새벽마다 이런 고백을 하며 기도를 시작한다. “한번도 살아보지 않은 새날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렇다. 어제 잠자리에 들며 죽었다면 오늘 아침 다시 부활한 것이다. 지난밤에 세상을 떠난 사람들이 얼마나 많을까? 다시 깨어났으니 이것이 기적이요, 은총이다. 장례식에 가서 뷰잉을 한다. 이름을 부르면 관에서 일어나 반가워 할 것만 같다. 하지만 말이 없다. 죽은 사람과 깊이 잠든 사람은 멀리서보면 구분이 안 간다. 살아있는 사람만 깨어날 수 있다. 산사람은 아침이 되면 다시 눈을 뜨며 날을 계수한다. 기지개를 켜며 하루를 시작한다.

 

  필라는 숲이 많아서인지 새들도 많다. 새벽에 기도하다보면 온갖 희한한 소리를 내며 지저귀는 새소리에 접한다. ‘쟤네들도 기도를 하는 것이겠지?’ 새소리를 들으며 나는 주님과 깊은 영교에 들어간다. 새롭다. 행복하다. 살아있는 것이 고맙고 소중하다. 돌아보면 고비도 많았다. 아니 육신을 입고 살아가는 여정 속에 또 어떤 일들을 만날지 알 길이 없다. 하지만 새로이 주어진 하루를 대하는 태도에 따라 삶의 방향은 달라진다.

 

  20대 초반에 시작한 신학과정은 무려 8년이 걸렸다. 자유분방하게 살아가던 내가 신학대학교를 들어가는 모습에 모두가 놀랐다. 교회에서 함께 자란 친구들, 선후배들, 나를 잘 아는 지인들. 나 자신도 놀랐으니까. 흘러가는 강물에 몸을 맡기듯 살아가던 삶이 한순간 성직의 길로 전환한다는 것은 실로 극적이었다. 처음 신학대학에 들어가 매일 경건회(신학대학에서 매일 드리는 예배)에 참석하며 결코 평범하지도 쉽지도 않은 길을 선택하였다는 것을 실감했다. 하지만 앞만 보고 달렸다. 십자가와 그리스도. 그것이 내 20대의 키워드였다.

 

  드디어 30대 중반에 담임목회를 시작했다. 만만해보이던 목회는 시간이 흐르며 그 무게가 더해갔다. 교인이 작을 때는 그것이 아쉬웠고, 교회가 부흥하자 그 수만큼 말도, 탈도 많아지는 것을 깨달았다. 사람을 대하며 받는 정신적 무게는 경험해 본 사람만이 안다. 독특한 개성을 가진 모든 사람들을 만족시키는 목회가 있을까? 처음에는 그들에게 문제가 있다고 생각을 했다. 시간이 지나며 나의 부족을 절실히 깨달았다. 그래서 찾아 나선 곳이 영성수련이었다. 무던히 찾아다니던 영성수련장에서 깨어나는 체험을 했다.

 

 예수님이 니고데모에게 거듭나라고 당부했던 그 경험이 다가온 것이다. 내가 깨어나지 못하고 교인들을 깨우려 했던 내 모습을 비로소 발견한 것이다. 저만큼 엎드려있는 나를 내가 발견하며 밀려온 감정은 미안함과 부끄러움이었다. 나는 내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살았다. 목사이니까 목회를 한 것뿐이지. 진정 누구를 위한 것인지? 무엇이 가장 중요한 줄도 모르고 달렸다. 주님을 위해 한다고 하면서 결국은 내 만족을 위해 이 길을 걸어왔던 것을 알아차린 것이다.

 

  많이 울었다. 미안해서, 억울해서, 나 스스로가 미워서 통곡하며 뒹굴었다. 2살 때 소아마비에 걸려 장애인으로 살아온 것이 너무도 서러웠는데. 깨어나 보니 그것이 은총이었다. 살아오며 부딪쳤던 고통의 시간들이 원망스러웠는데 지금까지 살아온 과정 과정이 내 삶에 꼭 필요한 일만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 영성수련에 들어가면 제일 먼저 시계와 핸드폰을 맡겨야 한다. 시간개념이 사라지는 것이다. 어느 누구와도 소통을 할 수가 없다. 수련생끼리도 많은 말을 하는 것을 철저히 통제한다. 처음에는 불편하지만 곧 자유함이 찾아온다.

 

  수련 중에 한밤중 밖으로 나갔더니 둥근달이 떠있었다. 너무도 아름다워서 바라보다가 가슴에서 뭔가 욱하고 올라오는 것을 느꼈다. 미안함과 부끄러움이었다. 소중한 성도들을 소중하게 대하지 못한 것에 대한 회한이었다. 나는 어느 날 지구에 왔다. 그런데 정작 그 지구를 모른다. 나를 모르고 내 인생을 모르고 산다. 왜 나는 한국 사람일까? 왜 한국이 아닌 미국에 살고 있을까? 모르고 산다. 정말 미안하고 부끄러운 것이 아닐까? 길을 안다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그 길을 간 것의 차이를 아는 순간 우리는 소스라치게 놀란다.

 

 오늘은 내 생애에 처음 있는 날이다. 오늘은 어제도 내일도 아니다. 오늘이다. 오늘은 오늘뿐이다. 오늘을 살자!

 

 

 

 


  1. 박첨지 떼루아!

    내가 어린 시절에는 볼거리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에너지가 넘치는 아이들에게는 손에 잡히는 모든 것이 장난감이었다. 학교를 오가며 논길에 들어서면 거의 모든 것을 훑고 지나다녔다. 강아지풀을 잡아채어 입에 물고 다니는 것으로 시작하여 막 피어나는 ...
    Views62369
    Read More
  2. 바람이 보여주는 빛을 볼 수 있다면

    바람이 분다. 얼굴에 머물 것 같던 바람은 이내 머리칼을 흔들고 가슴에 파고든다. 나는 계절을 후각으로 느낀다. 봄은 뒷곁에 쌓아놓은 솔가지를 말리며 흘러들었다. 향긋하게 파고드는 솔 향이 짙어지면 기분 좋은 현기증이 봄이 가까이 왔음을 알게 했다. ...
    Views55876
    Read More
  3. 바람이 되고싶다 10/21/2013

    40대 초반 가을이었다. 다일 영성수련원(원장:최일도 목사) 경축전 ‘특송’을 부탁받고 경기도 양평 옥천을 거쳐 설악 뒷산을 차로 질주하고 있었다. 산마다 물감을 뿌려 놓은 듯 각양각색의 영롱한 단풍이 가을이 깊어감을 실감케 했다. 차창에 ...
    Views65903
    Read More
  4. 바람길

    무덥던 여름 기운이 기세가 꺾이며 차츰 시원한 바람이 뺨을 스친다. 그렇게 한 계절이 바람을 타고 바뀌어 가고 있다. 무척이나 차가웠던 겨울바람, 그리고 가슴을 달뜨게 하던 봄바람의 기억이 저만치 멀어져 갈 무렵 이마에 송글송글 땀방울이 맺히게 만드...
    Views8177
    Read More
  5. 바다 그리고 음파 9/18/15

    세상에는 노래가 많다. 사실 들리는 모든 소리가 리듬을 타고 있다. 어린 시절에 우리 동네에는 물레방아가 있었다. 그 옆에는 대장간이 마주했다. 친구들과 심심하면 그 앞에 자리를 틀고 앉았다.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모습은 신기하기 이를 데 없었다. 커다...
    Views66602
    Read More
  6. 바뀌어야 산다 5/29/2015

    사람은 다 다르다. ‘다르다’는 것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새로운 것에 너무 철벽을 쌓는 사람을 만나면 답답함을 느낀다. “바꿈”에 아주 인색한(?) 분들이 있다. 자신이 살아왔던 방식, 의식, 전통을 목숨처럼 고수하는 사람 말이다. ...
    Views63986
    Read More
  7. 바뀌어 가는 것들, 그리고…

    한국에 왔다. 감사하게도 일 년에 한번 씩은 들어올 계획이 잡힌다. 부흥회를 인도하고 전국을 다니며 주일 설교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유기적인 밀알사역 감당을 위해 한국을 방문할 수 있음이 고마울 따름이다. 게다가 매년 들어오면 만나야할 사람이 샘솟듯...
    Views53074
    Read More
  8. 밀알의 밤을 열며 10/4/2014

    가을이다. 사람들은 공히 “지난 여름은 그닥 덥지 않았다.”고 입을 모은다. 그래서 그런지 가을이 깊어가는 시점에서도 사람들은 별 감흥이 없어 보이나보다. 숲속을 지날 때에 나뭇잎이 하나둘 차창에 부딪혀 오는 광경을 보며 가을의 손길을 느...
    Views62586
    Read More
  9. No Image

    밀알의 밤을 열며

    사람은 언어를 가지고 있다. 인류의 역사는 말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사람의 말이 인격이고, 실력이며, 사람됨됨이다. 해서 말 잘하는 사람은 인생성공의 확률이 높아진다. 말을 잘하는 사람을 흔히 ‘언어의 마술사’라고 부른다. &ldq...
    Views42627
    Read More
  10. 밀알의 밤을 열며

    “목사님, 금년 밀알의 밤에는 누가 오나요?” 가을녘에 나를 만나는 사람들의 물음이다. 그렇다. 필라델피아의 가을은 밀알이 연다. 15년 전, 맨땅에 헤딩하듯 시작된 밀알의 밤이 어느새 15돌을 맞이한다. 단장으로 오자마자 무턱대고 기획했던 ...
    Views55018
    Read More
  11. 밀알의 밤 바다 9/4/15

    가을이 되면 밀알선교단에서는 음악회를 연다. 2003년 7월.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여 장애인사역의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지만 당시 선교단의 상황은 열악했다. 전임 단장이 채 3년을 채우지 못하고 급작스럽게 사임하면서 시...
    Views66525
    Read More
  12. 밀알의 밤 “가을 미소”에 초대합니다! 11/8/2012

    가을이다. 가을이 되면 사람들은 말로 표현 할 수 없는 스산함을 느낀다. 필라델피아가 좋은 이유는 이맘때면 맞이하는 가을이 너무 환상적이라는 것이다. 바람이 불어오면 형형색색의 단풍이 나풀거리며 차창에 내려앉는다. 코발트색깔의 가을 하늘과 때마침...
    Views63693
    Read More
  13. 밀알 캠프의 감흥

    매년 일관되게 모여 사랑을 확인하고 받는 현장이 있다. 바로 <밀알 사랑의 캠프>이다. 그것도 건강한 사람들의 모임이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 세월이 어느새 25년이다. 1992년 미주 동부에 위치한 밀알선교단(당시는 필라델피아, 워...
    Views54701
    Read More
  14. 밀알 사랑의 캠프

    지난 5월이었다. 밀알선교단 지하교육관에 걸어놓은 달력이 찢겨나가 7월에 와있었다. 다른 방에 걸려있던 달력과 바꿔 걸어놓았는데 나중에 가보니 그것마저 찢겨져 있었다. 누구의 소행인지 수소문해도 범인(?)은 오리무중이었다. ‘누가 저렇게 멀쩡...
    Views42225
    Read More
  15. 밀당

    어디나 문은 미닫이와 여닫이가 있다. 미닫이는 옆으로 밀면 되지만 여닫이는 ‘밀고 당기기’가 분명해야 한다. 대개 음식점이나 일반 가게에는 출입문에 “Push” 혹은 “Pull”이라고 쓰여져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
    Views61023
    Read More
  16.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9682
    Read More
  17. 미친개 선생님 8/31/2014

    나는 매주 KBS 예능 “1박 2일”을 즐겨본다. 얼마 전 “선생님 올스타”편이 방영되었다. 각 고등학교에 특이한 성향을 가진 선생님들을 게스트로 해박한 웃음을 유발하도록 기획되었다. 작가들의 발상과 PD의 연출은 놀라웠다. 그 중에...
    Views64039
    Read More
  18. 미치겄쥬? 나는 환장하겄슈! 5/28/2011

    인생은 초보부터 시작한다.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어설퍼서 마음에 안 들고 우습게 보이지만 나도 초보부터 시작하였다는 것을 기억하며 살아야 한다. 「초보」하면 생각나는 것이 운전이다. 내가 운전면허를 딴것은 1991년이었다. 장애인이기에 운...
    Views67994
    Read More
  19. No Image

    미치겄쥬? 나는 환장하겄슈!

    인생은 초보부터 시작한다. 처음은 다 어설프고 우수꽝스러워 보이지만 인생은 다 초보부터 시작하였다는 것을 기억하며 살아야 한다. 「초보」하면 생각나는 것이 운전이다. 장애인이기에 운전을 한다는 것을 상상조차 못했는데 누가 “한국도 장애인들...
    Views6295
    Read More
  20. 미안하고 부끄럽고

    매일 새벽마다 이런 고백을 하며 기도를 시작한다. “한번도 살아보지 않은 새날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렇다. 어제 잠자리에 들며 죽었다면 오늘 아침 다시 부활한 것이다. 지난밤에 세상을 떠난 사람들이 얼마나 많을까? 다시 깨어났으니 이것...
    Views438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