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7:14

교복을 벗고 2/2/2014

조회 수 773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9206195_orig.jpg

 

 

한국에 갔을 때에 일이다. 친구가 꽃게탕을 잘하는 집이 있다며 굳이 “마장역 앞에서 만나자.”는 연락을 해왔다. 사실 활어회는 몰라도 해물은 그리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친구의 성의가 고마워 택시에 올랐다. 가다보니 신답십리 쪽이었고 장안대로에서 좌회전을 하면서 내가 외쳤다. “아니, 이건 우리 학교 쪽이네.” 택시기사가 물어온다. “혹시 한영고등학교 나오셨습니까?” “아니, 어떻게 아십니까?” “저도 그 학교 출신입니다. 연세가 어떻게 되십니까?” 나도 모르게 태도가 거만스러워지며 대답을 한다. “에이, 기사님보다는 한참 선배지?” “보기에는 제 또래처럼 보이는데요!” 그날 내 나이보다 젊어보였다는 것과 고교 후배를 만났다는 것이 얼마나 반갑고 행복했는지 모른다.

친구가 말한 “군산 꽃게탕”은 내가 다니던 고등학교 자리 앞에 있었다. 이미 학교는 상일동으로 이사한 지 수 십년의 세월이 흘렀고 “한영외국어학교”는 이제 톱클래스에 올라있다. 고교시절에는 청계천 뚝방에 판잣집이 남루하게 자리를 잡고 오밀조밀 서민들이 부대끼며 살았던 동리였다. 학교 정문에는 “대성연탄”까지 버티고 있어 학교의 미관은 물론 건강까지 위협했었다. 그 옛날 학교터에는 럭셔리한 아파트가 위용을 과시하고 있었다. 40년 전에는 상상도 못했던 전철 “마장”역이 자리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격세지감을 느꼈다.

우리는 교복세대이다. 고교 3년의 학업을 마치고 교복을 벗던 날이 주마등처럼 스쳐지나갔다. 어려운 시절이기에 학년마다 교복을 바꾸어 입는 일은 상상도 못하던 때였다. 고등학교에 처음 입학하던 날에 맞춰 입은 교복은 고3에 올라가며 타이트하게 몸을 죄어왔고 교복과 모자는 노르스름하게 퇴색되어 갔다. 발라드 가수 윤종신의 “교복을 벗고”라는 노래가 오늘따라 새롭게 다가선다. “♬ 오래전 그날 교복을 벗고 처음으로 만났던 너 그때가 너도 가끔 생각나니/ 뭐가 그렇게도 좋았었는지 우리들만 있으면 너의 집 데려다주던 길을 걸으며 수줍게 나눴던 많은 꿈/(중략) 새학기가 시작되는 학교에는 그 옛날 우리의 모습이 있지 뭔가 분주하게 약속이 많은 스무살의 설레임/ 너의 학교 그 앞을 난 가끔 거닐지 일상에 찌들어 갈때면 우리 슬픈 계산이 없었던 시절 난 만날 수 있을테니♪”

결국 이 노래는 두 사람의 결별로 끝이 나지만 교복을 벗던 그해 2월의 추억이 가슴에 저며 왔다. 지금도 그러는지 모르지만 하얀 밀가루를 뿌려대고 교복을 찢는 풍경이 그 당시 졸업식에서는 흔하게 목격되었다. 졸업식을 마치고 지긋지긋하던 교복을 벗어던졌다. 중학교부터 무려 6년이나 우리를 옥죄어왔던 교복이었다. 그렇게 기르고 싶었던 머리를 기르고 나타난 친구들의 모습은 학창시절과는 사뭇 달랐다. 고교를 졸업하고 만난 여자 친구 앞에서 너스레를 떨던 기억이 새롭다. 아무 경계심 없이 찻집에서 담배를 피워 물며 불을 붙였다. 여친은 말했다. “야, 너무 폼 잡으려 하지 마. 너무 어색하다 얘.” 갑자기 겸연쩍어졌다. 그러지 않아도 이제 성인이 되었다는 것을 여친에게 확실히 보여 주고 싶었는데 담배를 피워 문 내 모습이 어설펐었나보다. 스무살의 초상은 그렇게 물들어 갔다.

요사이는 교복의 모양이 참 다양해졌다. 조카가 교복을 사왔는데 42만원을 줬단다. 우리 때는 교복이 검정색 일색이었다. 그 당시 알아주는 교복은 “엘리트”와 “스마트”가 대세였다. 엘리트교복은 천이 부드럽고 구김이 잘 가서 멋쟁이들의 차지였고 스마트는 구김이 별로 없어 나 같은 털털한 학생에게 제격이었다. 멋을 아는 아이들은 교복바지를 살짝 재단하여 변형을 해서 입고 다녔다. 한때는 바지 끝이 벌어지는 “나팔바지”가 유행하더니 나중에는 ‘짝’ 달라붙는 “쫄바지”가 유행을 탔다.

그때는 어서 속히 어른이 되고 싶었다. 한껏 꿈을 펼치며 야생마처럼 달리고 싶었다. 그렇게 세월은 속절없이 흘러갔다. 은퇴를 하고 스마트폰에 저장된 손자 사진을 자랑하는 친구를 보며 울음 섞인 헛웃음이 나온다. 불현듯 『高』자 뺏지가 새겨진 모자와 교복이 그리워진다. 잠시라도 그 시절로 돌아 갈수만 있다면 아, 옛날이여!


  1. 구름을 품은 하늘

    처음 비행기를 탈 때에 앉고 싶은 좌석은 창문 쪽이었다. 날아오르는 비행기의 진동을 느끼며 저만치 멀어져 가는 땅과 이내 다가오는 하늘을 보고 싶어서였다. 하지만 그 작은 소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창 쪽에 앉은 사람을 부러워하며 목을 빼고 밖을 주...
    Views61175
    Read More
  2. 구름 9/7/2010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아름다운 것은 하늘과 땅, 바다가 조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날마다 땅을 밟으며 우리는 인생 이야기를 엮어간다. 어쩌다가 만나는 지평선을 보며 저 땅 너머에 있는 세계를 그려본다. 그러다가 찾아가는 바다는 “지구의 ...
    Views81516
    Read More
  3. 교복을 벗고 2/2/2014

    한국에 갔을 때에 일이다. 친구가 꽃게탕을 잘하는 집이 있다며 굳이 “마장역 앞에서 만나자.”는 연락을 해왔다. 사실 활어회는 몰라도 해물은 그리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친구의 성의가 고마워 택시에 올랐다. 가다보니 신답십리 쪽이었고 장...
    Views77320
    Read More
  4. 괜찮아! 9/26/2014

    중학교 3학년 때의 일이다. 시골(양평)이어서 그랬는지 우리 학교에는 여자선생님들이 많은 편이었다. 그 중에서도 “한선희 선생님”은 절도 있는 태도에 실력파여서 아이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그렇게 미인은 아니었지만 수더분한 생김새에 지적...
    Views79664
    Read More
  5. 광화문 연가

    나는 아이돌 노래를 좋아한다. 노래에서 풍기는 젊음의 활력, 에너지 넘치는 춤사위가 혀를 내두르게 한다. 사람의 몸이 저렇게도 유연할 수 있을까? 감탄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우리 시대의 가요는 정적이었다. 뭔가 생각하며 들을 수 있는, 듣다보면 젖...
    Views50282
    Read More
  6. 관중 없는 올림픽

    모두의 염려 속에 개막한 올림픽이 연일 드라마를 연출하며 막을 내렸다. 승리하여 메달을 딴 선수는 인생 최고 환희의 순간을 만끽했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선수는 눈물을 흘리며 일찌감치 짐을 싸야만 했다. 스포츠 매니아라 할 쿠베르탱 남작에 의해 시...
    Views17172
    Read More
  7. 관상 1/16/2015

    요사이 “왕의 얼굴”이란 드라마가 잔잔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작년에는 “관상”이란 한국영화가 9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결국 영화는“관상은 없다.”는 허무한 결론으로 끝이 난다. 과연 그럴까? ...
    Views85256
    Read More
  8. 공항의 두얼굴

    1970년대 공항에 대한 노래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공항 대합실” “공항에 부는 바람” “공항의 이별” 가수 ‘문주란’은 굵고 특이하면서도 구성진 창법으로 연속 히트를 쳤다. 그때만 해도 특권층만이 국제 ...
    Views58421
    Read More
  9.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32710
    Read More
  10. 고양이를 아시나요? 10/23/15

    나는 고양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닌데 그냥 싫다. 눈매와 발톱이 너무 날카로워서일까? 아니면 울음소리 때문일까? “야∼∼옹!” 흉내만 내도 기분이 섬뜻해 진다. 무엇보다 어릴 때 보았던 영화 탓이 큰 것...
    Views76046
    Read More
  11. 고부(姑婦) 사랑 3/15/2012

    고부갈등은 드라마의 단골소재이기도 하고 인생을 살아가면서 피부로 겪는 가족관계이기도 하다. “고부갈등은 사주팔자에도 안 나온다.”는 속설이 있다. 좋은 것 같으면서도 멀기만 하고 먼 것 같으면서도 챙겨야만 하는 묘한 관계이다. 이런 말...
    Views77128
    Read More
  12. 고독은 가을을 닮았다

    나는 가을을 탄다. 가을만 되면 이상하리만큼 가슴 한켠이 비어있는 듯 한 허전함을 느낀다. 가을은 생각에 잠기게 하는 마력이 있다. 젊은 날에는 그냥 지나치던 것들을 곰곰이 되새기게 된다. 운전을 하며 지나치는 숲속을 주시하고, 우연히 마주친 장애인...
    Views63779
    Read More
  13. 고난의 종착역

    고난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아가가 울며 세상에 태어나는 것은 삶 자체가 고난의 연속이라는 사실을 감지했기 때문이리라. 고난이 없는 인생은 없다. 날마다 크고작은 고난을 감내하며 인생이야기는 흘러가고 있다. 고난을 통과하지 않고는 보배를 ...
    Views12478
    Read More
  14. 경동시장 1/24/2015

    나는 청소년기부터 대학시절을 “제기동”에서 살았다. 가까이는 청량리 역이 위치해 있었고 조금 더 가면 홍릉과 세종대왕 기념관, 그리고 당시 KIST가 자리한 사통팔달의 동리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흥미진진한 곳은 ‘시장통’이었다...
    Views80917
    Read More
  15. No Image

    결혼하고는 완전 다른 사람이예요!

    결혼 3년 차에 접어든 새댁이라면 새댁이 내뱉은 말이다. 연애할 때는 그렇게 친절하고 매너가 좋았는데. 그래서 ‘이 남자하고 살면 마냥 행복할 줄 알았는데’ 결혼해 살아보니 “말짱 꽝”이다. 연애 할 때는 이벤트로 깜짝깜짝 놀라...
    Views6957
    Read More
  16. 결혼의 신기루

    연거푸 토요일마다 지인의 자녀 결혼식에 참석하느라 분주하게 보내고 있다. 바야흐로 결혼 시즌이다. 코발트색 가을하늘. 멋진 턱시도와 눈부신 웨딩드레스를 입고 서 있는 신랑 신부의 모습은 진정 영화의 한 장면처럼 영롱하다. 필라에는 정말 멋진 야외 ...
    Views10019
    Read More
  17. 결혼 일곱고개 6/17/2012

    봄은 역시 결혼의 계절인가보다. 여기저기서 청첩장이 날아든다. 세상을 살면서 “결혼”처럼 황홀한 일도 드물 것이다. “짝”을 찾아 두리번거리며 살다가 드디어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결혼을 약속한다. 결혼식을 올리는 그날은 오...
    Views67946
    Read More
  18. 결혼 상대자로 장애인도 괜찮을 것 같아요!

    인생의 3분지 1은 혼자서 산다. 3분지 2는 둘이서 살아야 한다. 혼자 살 때는 가끔 외로울 때가 있긴 하지만 자유로워서 좋다. 그러나 하나님이 인간을 만드실 때 혼자서는 잘 살아가지 못하도록 창조하셨다. 반드시 남자와 여자가 연합하여 Life Story를 엮...
    Views64270
    Read More
  19. 겨울이 전하는 말

    겨울은 춥다, 길다. 지루하다. 하지만 그 겨울이 전해주는 말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깊은 내면으로 빨려 들어가는 마력이 있다. 겨울은 해를 바꾸는 마술을 부린다. 열심히 살아온 정든 한해를 떠나보내게 하고 신선한 새해를 맞이하는 길목이 겨울이다. 남미...
    Views30130
    Read More
  20. No Image

    겨울에도 꽃은 핀다

    사람의 처지가 좋아지면 꽃이 피었다고 표현한다. 여성을 비하한다는 위험성이 있지만 한때는 여성들을 곧잘 꽃에 비유했다. 바라만 보아도 그냥 기분 좋아지는 존재, 다르기에 신비로워서일까? 꽃을 보며 인상을 쓰는 사람은 없다. 어여쁜 꽃을 보면 누구나 ...
    Views986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