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02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4018520_orig.jpg

 

 

목사님 한분이 상기된 얼굴로 설교 CD를 내게 보여주며 격앙된 어조로 넋두리를 한다. 이야기인 즉슨 교인 한사람이 이 CD를 주면서 “목사님도 이렇게 설교하실 수 없어요.” 하더라는 것이다. 순간 ‘오죽하면 그런 어필을 했을까?’라는 생각을 했지만 초록은 동색인지라 결국 목사 편을 들어주어야 했다. 그러면서 느낀 것은 ‘요즈음 교인들 정말 쎄다.’였다. 목사를 성직(聖職)이라고 한다. 그만큼 특별하고 남과는 가는 길이 다르기에 일컫는 말일 것이다. 누구보다 구별된 삶을 살아야하고 모든 사람에게 본이 되어야 하는 자리가 목사이다.

나도 일찍이 일반목회를 했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 젊은 날, 교회부흥을 위해 노심초사했던 때가 있었다. 부실한 다리를 끌고 한명의 성도라도 붙잡을 양으로 아파트 전역을 전도 하며 다녔다. 어쩌다 예배 중에 새로운 성도가 오면 즉시 설교가 달라지는 순발력도 생겨났다. 그러면서 깨달은 것은 숫자보다 중요한 것은 목회자와 성도들의 신뢰도라는 사실이다. 이제는 밀알장애인선교를 하며 교회를 바라본다. 이민목회를 하는 목사님들의 모습에 깊은 연민이 간다. 교회는 실로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온다. 성장배경이 다르고 성품이 독특한 사람들이 교회의 공동체를 이루게 된다.

성도들 중에는 목사에게 힘을 주는 부류가 있는가 하면 목사의 혼을 빼앗아 버리는 성도들도 혹간 만나게 된다. 과연 목회자들이 교인들에게 가장 듣기 싫어하는 말이 무엇일까? 교회 성장 전문가인 “톰 레이너 박사”(라이프웨이 리서치)가 “교인들이 목회자에게 절대 해서는 안 될 말.” 10가지를 지적해 주었다. 그중에 첫 번째를 차지한 말이 “세상에 일주일에 하루만 일하는 직업이 어디 있어요?”이다. 2위는 “그 많은 쉬는 시간에 뭐하세요?’이다. 아마 교인들이 보기에는 목사는 주일만 일하는 아주 ‘편한’(?) 직업처럼 보였던 모양이다.

목사는 주일 설교가 끝나고 나면 다음 주일 설교에 몰입한다. 수요일, 새벽 설교에 온 마음을 쏟아야한다. 교인 심방과 상담, 전도를 비롯해 교회 행정을 돌보고 때로는 라이드까지 해야 하는 것이 이민목회이다. 무엇보다 영성유지에 신경을 곤두세워야만 한다. 강단에 섰을 때에 영적상태를 스스로 느끼는 것이 목회자다. 영성이 충만할 때에는 설교가 파워풀하게 나온다. 하지만 그 감각을 잃어버리면 공허해 진다. 그 사실은 목사 자신만 안다.

목회자들에게 절대 해서는 안 될 말 3위는 설교 시간 직전에 찾아와 “잠깐만 이야기할 수 있을까요?” 묻는 것이다. 영적 감각의 리듬을 깨는 치명적인 악수이다. 4위는 “전 목사님이 참 좋아요. 그런데…”라는 말이다. 5위 역시 이와 비슷한데, “전 목사님의 설교가 참 좋아요. 그런데 그 ○○○ 목사님 설교가 더 좋던데요.”이다. 잘 나가다가 뒤에 “그런데”하면 대부분 목회자의 단점을 들추거나 부정적인 내용일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교인들로부터 설교와 인격의 부족함을 지적받는 것은 목회자가 못견뎌하는 부분이다.

6위와 7위는 목회자 가족들에 대한 내용이다. “사모님이 피아노를 연주할 줄 아시나요?”, “목사님 자녀들이 그렇게 행동하면 안되죠. 목회자 자녀잖아요?” 사모에 대한, 자녀들을 향한 기대 심리와 문제를 꼬집는 교인들의 발언은 목회자 자신 뿐 아니라 가족에게 엄청난 상처를 준다. 8위는 “목사님은 사례비를 적게 받는 게 좋아요. 그래야 좀 겸손히 주님께 의지하지 않겠어요?”라는 말이다. 9위는 “설교 준비하는 데 공을 좀 들이세요”에서 10위는 전임 목사와 비교하는 말로 “전에 계시던 목사님은 그렇게 하지 않으셨어요.”라는 말이다.

사실 목회는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부분이 비중을 더 차지한다. 보이는 부분만 판단해 목회자의 역량을 과소평가하고 비하하는 말은 성도들이 삼가해야할 일이다. 영적지도자는 무조건 존경해야 한다는 것이 나의 지론이다. 그것이 무너지면 설교가 귀에 안 들어오고 자신의 신앙성장에 결코 도움이 안 되기 때문이다. 성도님들, 제발 이러시면 안 됩니다.


  1. 소아마비

    모든 것이 신기하고 새롭게 느껴지던 어린 시절. 나의 부모님은 어디나 가기를 좋아하던 나를 언제나 데리고 다니셨다. 몸이 온전치 못한 아들, ‘기우뚱’거리며 걸어 다니는 아들이 그분들에게는 조금도 어색하거나 부끄럽지 않으셨나 보다. &lsq...
    Views26356
    Read More
  2. 소박한 행복 기억하기

    “엄마, 오늘은 제발 보리밥 싸지 마세요.” 학교에 가서 도시락을 열면 널브러져 나를 바라보는 보리밥이 너무 미웠다. 거기다가 단골 반찬은 무말랭이와 콩장이었다. 내 짝꿍 근웅이는 약국집 아들이라 그런지 항상 밥 위에는 노오란 계란이 덮여...
    Views44540
    Read More
  3. No Image

    소나무야, 소나무야

    작년 봄의 일이다. 집회 인도 차 한국을 방문하였다. 처음 행선지는 경기도 용인이었다. 운전하는 친구 곁에서 차창 밖으로 스쳐가는 봄의 정취에 빠져들고 있었다. 길목을 돌아서는 순간, 탄성을 자아내는 풍경이 다가왔다. 마치 눈을 뿌려 놓은 듯 하얀 꽃...
    Views853
    Read More
  4. 소금인형

    인도의 엔소니 드 멜로 신부가 쓴 ‘소금 인형’이야기가 있다. 소금으로 만들어진 인형이 하나 있었다. 인형은 어느 날 자신이 누구인지 궁금해졌다. ‘자신이 태어나고 자신이 누구인지 알 수 있는 곳’을 향해 소금 인형은 무작정 길...
    Views72062
    Read More
  5. 세월이 가면 10/31/2014

    초등학교 졸업이 가까워지며 “사은회”가 열렸다. 짧게는 1년 동안 길게는 6년을 한결 같이 가르침을 주신 선생님들을 모셔 놓고 다채로운 행사로 감사를 표하는 자리였다. 따라서 “사은회비”가 졸업경비에 포함이 되어 있었고 소박하...
    Views64381
    Read More
  6. 세월은 쉬어가지 않는다

    나는 어린 시절 남한강 줄기에서 자랐다. 강은 보는 각도에 따라 모양과 느낌을 달리한다. 언덕 위에서 볼 때는 마냥 푸르고 잔잔해 보이지만 모래사장에 내려서면 잔잔히 출렁이는 물결이 건너편을 저만치 밀어낸다. 물가에서 보면 만만해 보이지만 일단 몸...
    Views19424
    Read More
  7. 세월은 사람을 변하게 하는가?

    카메라가 흔하지 않던 시절에는 사진을 찍는 것이 너무도 소중하고 귀했다. 사진관에 가서 카메라를 빌리고 촬영한 필름을 다시 맡겼다가 나온 사진을 찾으러 가는 날은 가슴이 퉁탕거렸다. 흑백사진이었지만 내 모습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었기에 정말 행복...
    Views14652
    Read More
  8. 세월아 너만 가지 9/23/2013

    가을의 스산한 바람이 옷깃을 스친다. 그렇게도 무덥던 날들이 이렇게 맥없이 꺾일 줄이야. 새벽에 창문을 열면 신선한 바람이 상쾌함을 안겨 준다. 그렇게 영적인 시간을 가지며 하루를 연다. 9월을 기다린 적이 있었다. 아마 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젊은 날...
    Views69649
    Read More
  9. 세월, 바람 그리고 가슴으로 보낸다 12/30/2013

    한해가 조용히 저물어 가고 있다. 이맘때가 되면 사람은 누구나 회상에 젖는다. 이민생활이 워낙 각박해서 그럴 여유조차 없는 분들도 있겠지만 말이다. 해의 높이가 낮아진 만큼 햇빛이 방안 깊숙이 파고 들어와 좋다. 반면 그 낮아진 햇빛에 비친 산 그림자...
    Views64229
    Read More
  10.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케이크

    이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케이크. ‘I ♡ YOU’! 빨간 초가 인상적인 이 케이크는 내로라하는 파티쉐가 만든 것보다 더 먹음직스럽고 아름답다. 그리 화려하지 않지만 남다른 사랑과 정성이 듬뿍 담겨 있기 때문이다. 이 케이크를 만든 주인공은 ...
    Views17641
    Read More
  11. 세상에서 가장 슬픈 소원 11/6/15

    영화 <말아톤>을 보면 장애우 “초원”이 엄마와 마라톤 감독 간에 대화가 주목을 끈다. 감독이 초원이 엄마(김미숙 분)에게 묻는다. “아줌마 소원이 무엇입니까?” 망설이듯 하던 초원 엄마가 대답한다. “내 소원은 초원이보다 ...
    Views74830
    Read More
  12. 성탄의 축복이 온누리에! 12/26/2011

    어린 시절에 성탄절은 꿈의 날이었다. 교회를 다니지 않았으면서도 성탄이 가까워오면 이상하게 가슴이 설레었다. 크리스마스카드를 그리며 그날을 기다리고 첫눈이 휘날리는 한가운데에 서서 그날을 바라보았다. 크리스마스이브에는 밤늦게까지 버티다가 눈...
    Views80385
    Read More
  13. 성도님, 이러시면 안됩니다! 2/25/2014

    목사님 한분이 상기된 얼굴로 설교 CD를 내게 보여주며 격앙된 어조로 넋두리를 한다. 이야기인 즉슨 교인 한사람이 이 CD를 주면서 “목사님도 이렇게 설교하실 수 없어요.” 하더라는 것이다. 순간 ‘오죽하면 그런 어필을 했을까?’라...
    Views70268
    Read More
  14. 섬집 아기 7/10/2012

    한국인라면 누구나 좋아하는 동요가 있다. 동요는 말 그대로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하며 어린 시절을 떠오르게 하는 마력을 지니고 있다. “섬집아이”를 불러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어린 시절. 처음 학교 음악시간에 “섬집아이&rdquo...
    Views67556
    Read More
  15. 선생님 5/28/2012

    언제나 부르면 가슴이 뭉클 해 지는 이름이다. 내가 여기까지 살아오는 동안 얼마나 많은 선생님들의 교육과 사랑이 있었는지 모른다. 지금은 어딘가에 살고 계실 그분들이 그래서 그립고 고맙다. 선생님이 되려면 사대나 교대를 나와야 한다. 그런데 나는 20...
    Views65870
    Read More
  16. 서부에서 동부를 바라보며 1/2/2013

    『밀알 송년의 밤』을 마친 후 나는 19일(수) 필라 공항으로 내달았다. 연말에 잡힌 로스엔젤레스(L.A.)와 샌프란시스코 집회 일정을 감당하기 위해서였다. 역시 서부는 따뜻했다. L.A.에 유학을 와있는 딸이 마중을 나왔다. 아이를 보며 마냥 행복해 하는 나...
    Views66007
    Read More
  17. 서른 아홉

    요사이 흠뻑 빠져 몰입하는 드라마가 있다. <<서른. 아홉>> 손예진, 전미도, 김지현의 자연스럽고도 정감어린 연기와 우정에 흥미를 더해간다. 언뜻 보면 철없던 어린 시절에 만나 스스럼없이 어우러지는 여친들의 이야기 같지만 노련한 유영아 작가는 심오한...
    Views10130
    Read More
  18. 서로 다르기에 12/16/2013

    인터넷이 일반화되면서 사람들이 TV 영상을 시청하는 방법이 다양화 되고 있다. 이민생활이 얼마가 되었든지 한국 사람들은 누구나 고국에 대한 향수를 가지고 있다. 그러기에 드라마나 영상 속에서 저만치 사라져가는 옛 정취를 더듬으려 한다. 문제는 TV 매...
    Views64401
    Read More
  19. No Image

    생일이 뭐길래?

    평범한 주부의 고백이다. 며칠 전에 생일을 지나면서 많은 일들을 겪었다고 했다. 하필 전날이 작은 딸의 생일이었다. 초등학교 1학년인 딸을 위해 미역국을 끓이고 딸 친구들을 초대하여 자그마한 파티도 열어주었다. 즐겁고도 피곤한 하루를 보냈다. 다음날...
    Views7246
    Read More
  20. 생방송

    나는 화요일마다 필라 기독교방송국에서 생방송을 진행한다. 방송명은 “밀알의 소리”. 사람들은 생방송이 힘들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나에게는 생방송이 체질이다. 방송을 진행한지가 어언 14년에 접어드는 것을 보면 스스로 대견함을 느낀다. 방...
    Views6563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