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58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달려_은총.jpg

 

 

은총(남)은 '스터지 웨버 증후군'이라는 희귀병을 앓고 있다. 뇌가 서서히 마비되어 돌처럼 굳어가는 병이다. 녹내장과 심한 경기(놀람)를 동반하고 얼굴과 몸에 검붉은 반점이 나타난다. 그 외에도 오타모반 증후군, 뇌병변등 복합장애를 가지고 태어났다. 아빠 박지훈(38)씨와 엄마 김여은(34)씨는 "제발 숨만이라도 제대로 쉬었으면"하는 바람으로 기약 없는 병원 생활을 시작했다. 생후 17개월, 뇌의 절반을 제거하는 수술을 했다. “말을 하지 못하고, 걷지 못할 것이라.”는 의사의 진단이 나왔다. 그러나 해가 바뀌면서 하나 둘 기적이 일어났다.

누워만 있던 아이가 엎드렸고 낙타처럼 무릎으로 기어 다닌 지 5년 만에 일어나 걸을 수 있었다. 어설프게나마 “엄마”를 부른 건 여섯 살 때. 한 손만으로 컴퓨터를 작동시켜 만화를 볼 수도 있게 되었다. 이제 열 두살,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기적을 보여줄지는 은총이만이 아는 비밀이다. 은총이는 행복한 아이이다. 자식의 있는 모습 그대로를 사랑해주는 엄마, 아빠가 있기에 말이다. 틈만 나면 뽀뽀를 즐겨하는 은총이네 가족은 실로 천국이다.

은총이가 조금만 잘 걸어도, 미소만 지어도 집안에는 환한 웃음꽃이 핀다. 실로 작은 변화에 관심을 갖고 기뻐하는 가족이다. 치료가 어려울 것이라는 진단에도 불구하고 은총이네 가족은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은총이는 기적처럼 열 두살을 넘겼고, 은총의 가정은 기적을 만드는 작업에 돌입한다. "준비하시고... 땡!" 아빠가 달리는 모습을 보고 까르르 웃는 은총이. 은총이가 달리고 싶어 한다는 걸 안 건 그 때였다.

하지만 양쪽 다리의 길이가 다르고, 왼쪽 몸이 마비된 은총이에게 달리기나 수영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아빠는 장애 아들과 함께 달리는 미국의 ‘호이트 부자’를 떠올렸다. 100킬로그램이 넘었던 거구의 아빠는 운동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은총이를 위해 수영을 배우고, 매일 산을 오르고 달리기를 했다. 그리고 2010년, 처음으로 철인 3종 경기에 출전하여 은총이와 함께 뛰고, 헤엄치고, 달렸다. 비록 꼴찌로 들어오긴 했지만 완주에 성공을 한다. 은총이 부자의 모습은 많은 사람들에게 잊지 못할 감동을 안겨주었다.

부자의 다섯 번째 도전, 보름 앞으로 다가온 철인 3종 경기를 준비하며 구슬땀을 흘리고 있는 은총이네 가족. 올해에는 완주뿐 아니라 기록 단축이라는 새로운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네 번의 경기를 치르는 동안 은총이도 많이 자랐기에 상황이 녹록치 못했다. 두 사람 몫을 혼자 해야 하는 아빠의 부담도 그만큼 더 커진 것이다. 세 사람이 각자 자신의 역할을 다 해야 하는 철인 경기. 쉴새 없이 달려야 하는 아빠와 은총이는 물론이고, 매니저를 자청하는 엄마 여은씨도 대회 내내 함께 뛰었다.

‘은총이 아빠, 은총이 엄마’로 산다는 것은 무거운 짐이었다. 잦은 수술과 감당하지 못할 병원비. 은행에서 일했던 아빠 지훈씨는 직업을 잃었고 신용불량자가 되었다. 일용직을 전전해야했고 옷을 떼다가 시장에서 팔기도 했다. 일 년에 두 번 이상의 수술을 해야 하는 은총이를 돌보느라 치료실과 병원을 오가는 엄마 여은씨의 고충도 말이 아니었다. 3년 전, 두 사람은 역할을 바꾸기로 했다. ‘일하는 엄마 ↔ 살림하는 아빠’가 되기로 한 것이다. 사람들이 직업을 물어오면 이제 지훈씨는 웃으며 말한다. "제 직업은 은총이 아빠에요~"

은총이로 인해 달라지고, 은총이로 인해 더 행복해졌다는 가족. 주저앉고 싶었던 고비마다 다시 일어설 수 있었던 데는 무엇보다 여은씨의 힘이 컸다. 엄마는 강했다. 아니 지혜로웠다. 힘든 내색 한 번 하지 않고 가족을 돌보고, 용기를 불어넣게 해준 것은 '엄마'라는 이름, '사랑'이라는 마음이었을 것이다. 은총이 아빠는 말한다. “우리는 모든 장애 아들의 희망을 안고 달린다.”고.

은총이 가정이 보여주는 것은 희망이다. 우리는 알아야 한다. 장애 아동 가족에게는 작은 관심과 도움이라도 큰 힘이 된다는 것을. 포기를 모르고 오늘도 희망을 향해 달리는 은총이네 가족을 향해 커다란 박수를 보내고 싶다.


  1. 113Cm 엄지공주 “박찬미” 8/3/2014

    이 땅에는 “저신장증” 장애를 안고 살아가는 분들이 있다. 다른 말로 그 분들을 “난장이”라고 부른다. 사람들은 “신데렐라와 일곱난장이”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등의 동화에서 혹은 서커스 공연을 하...
    Views84881
    Read More
  2. 이때 부를 노래가 없다니 7/26/2014

    한국인들의 특징은 선천적으로 풍류를 아는 민족이라는 것이다. 그래서인가? 한국 사람들은 다 어디서나 노래를 즐기고 잘 부른다. 언제부터인가 노래방이 생겨났고 그때부터 사람들의 노래실력은 평가(?)를 받으며 발전되어 갔다. 한국에 살 때에 나는 &ldqu...
    Views65667
    Read More
  3. 인생은 무엇인가? 7/19/2014

    날이 점점 무더워지고 있다. 한국에는 장마가 시작되었다는 소식이다. 지루하지만 시원스럽게 쏟아지는 빗줄기를 바라보며 많은 생각들을 지어내던 기억이 새롭다. 빗속에 동화가 있고 저만큼 다가오는 추억이 있었다. 미국은 온통 초록색 향연이다. 그래서 ...
    Views67981
    Read More
  4. 여자 말만 들으면… 7/12/2014

    이미 다 아는 말 중에 “남자는 평생 세 여자 말만 잘 들으면 성공 한다.”는 말이 있다. 어릴 때는 “엄마”, 결혼해서는 “아내”, 이제는 “GPS 아줌마”(네비게이션). 언뜻 들으면 고개를 ‘갸우뚱’...
    Views79101
    Read More
  5. 달려라 은총아! 7/4/2014

    은총(남)은 '스터지 웨버 증후군'이라는 희귀병을 앓고 있다. 뇌가 서서히 마비되어 돌처럼 굳어가는 병이다. 녹내장과 심한 경기(놀람)를 동반하고 얼굴과 몸에 검붉은 반점이 나타난다. 그 외에도 오타모반 증후군, 뇌병변등 복합장애를 가지고 태...
    Views65864
    Read More
  6. 나와 맞짱뜨기 6/27/2014

    나는 공포영화를 좋아한다. 그것도 잔인하리만큼 참혹한 장면을 보는 것을 즐겨한다. 내 스스로도 ‘왜 그런 영화를 좋아하는지?’ 알아차리지도 못한 채 무방비로 그런 영화에 매료되었다. 어떤 때는 괴상한 형상을 한 물체가 등장하기도 한다. &l...
    Views69447
    Read More
  7. 봄비, 너는 기억하니? 6/21/2014

    미국에 살면서 생겨난 특이한 변화는 비의 관한 새로운 의식이다. 비만 오면 유난스럽게 우산을 펴들던 한국적인 모습이 사라지고 비를 있는 그대로 보게 된 것이다. 아마 그것은 ‘황사’니, ‘미세먼지’니 하는 거추장스러운 용어가 ...
    Views75523
    Read More
  8. 요령의 미학 6/13/201

    내가 할 수 있는 음식은 전무하다. 라면이야 누구나 끓이는 것이고 요리라 이름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나는 없다. 단, 밥은 잘한다. 이것은 내 아내와 아이들도 인정을 하는 면이다. 아마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중학교 3학년 때까지 자취를 한 이력 ...
    Views67927
    Read More
  9. 남존여비 변천사 6/7/2014

    인터넷에 떠도는 “덩어리 시리즈”이다. 남편이 밖에 안 나가고 집에 있으면 “골치덩어리”, 집에 두고 오면 “근심덩어리” 함께 외출하면 “짐 덩어리” 출가한 자식 집에 가면 “눈치 덩어리” 마주 ...
    Views79167
    Read More
  10. 살다보니 살아지더라구요! 6/2/2014

    2002년 가을, 한국에서 목회하던 교회에 반주자로부터 이메일이 날아들었다. “목사님, 이런 인생도 있네요.”라는 제목이었다. 메일을 읽으며 한숨이 절로 나왔다. ‘어쩌면 인생이 이렇게 기구할까?’ 다름 아닌 “이지선”...
    Views67956
    Read More
  11. 중국 지하교회를 가다 5/25/2014

    어려운 여정이었다. 20대에 만나 35년 우정을 나누는 김 목사가 “한국에 오면 중국에 가서 목회자들에게 말씀을 전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다.”는 제의에 아무 생각 없이 “예스!”를 외쳤다. 몇 년전 중국을 처음 방문 하였을 때에...
    Views80287
    Read More
  12. 시간의 구성성분 분석 5/17/2014

    “못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라는 말에는 시간 속에 치유성분이 들어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소리 없이 나를 스쳐지나갔다.”는 것은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시간의 황홀경에 빠져 있었다는 뜻이 담겨있다. 시간은 전혀 형체가 없다. 하...
    Views92496
    Read More
  13. 속을 모르겠어요! 5/9/2014

    남자들은 모이면 여자이야기를 한다. 그러면서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은 “도대체 여자들은 속을 모르겠어!”이다. 정말 여자는 팔색조이다. 연애 할 때는 그렇다 치더라도 결혼을 해서 부부로 사는데도 속을 알 수 없는 것이 여자이다. 어느 때는 ...
    Views75382
    Read More
  14. 동수와 경찰아저씨 5/2/2014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생활이 힘들지만 언니 집으로는 절대 가고 싶지 않아요” 장애를 가진 자매의 하소연이다. 자매는 눈물을 흘리며 호소했다. “저는 마음 편히 머물 수 있는 곳이 필요합니다.” 뇌성마비 1급 지체 장애를 가지고 ...
    Views71867
    Read More
  15. 슬퍼서 아름다운 노래 가수 김정호 4/26/2014

    누구나 미치도록 좋아하는 가수가 하나쯤은 있다. 나의 십대로부터 20대를 흘러가면서 내 마음 한켠에 시냇물을 만들어 준 가수가 있다. “김정호” 진정 내 십대에 아이돌은 “김정호”였다. 어쩌다가 김정호가 TV(흑백) 화면에 나타나...
    Views79097
    Read More
  16. 가슴 4/19/2014

    장애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시기가 되면서 나는 참 힘든 시간을 보내야했다. 동네를 가로 질러 지나 갈 때면 길에 나와 놀던 아이들이 다리 저는 흉내를 내며 나를 놀려댔다. 아이들은 내가 듣기에 거북한 소리를 질러댔다. 게다가 아버지의 잦은 전근으로 ...
    Views68330
    Read More
  17. 남자를 위하여 4/12/2014

    이 지구상에 반은 남자이다. 인종과 문화를 초월하여 남자들이 지구의 반을 디디고 살고 있다. 도대체 남자는 누구인가? 내가 어릴 때만해도 한국은 남성중심의 사회였다. 아버지가 가정의 축이었다. 새 학기에 작성하는 생활조사서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
    Views67518
    Read More
  18. 차라리 다리가 없으면--- 4/5/2014

    모두가 건강하면 얼마나 좋을까? ‘불행’이란 단어자체가 없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데 그게 아니다. 인생을 사는 것 자체가 고통이다. “평생 시각장애로 살아가느니 차라리 다리가 하나 없는 게 나을 것 같아요.” 앞이 보이지 않아 ...
    Views74499
    Read More
  19.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3/28/2014

    금년 겨울은 겨울답다고 해야 할까? 아니면 지루하다고 해야 할까? 계속되는 영하의 날씨, 며칠이 멀다하고 쏟아지는 폭설, 3월이 되어서도 내리는 눈은 눈치가 없는걸까? 봄을 시샘하는걸까? 특별히 사업을 하는 이민자들이 버텨내기에는 몹시 버거운 겨울이...
    Views66911
    Read More
  20. 음식맛은 장맛 3/23/2014

    갑자기 어린 시절, 집집 툇마루에 걸려있던 메주가 떠올랐다. 이제 제법 작가의 영감이 찾아온 모양이다. 흔히 사람들은 범상한 기준보다 떨어지는 외모를 가진 사람을 향해 메주덩어리에 비유한다. 메주가 들으면 화를 낼 일이다. 메주가 만들어지기까지 들...
    Views7157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