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05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만남.jpg

 

 

사람은 만남을 통해 성장하고 행복을 만들어 간다. 만나지 말아야 할 사람을 만나 인생이 표류하는 사람이 있다. 반면, 시원치 않은 사람인데 만남을 통해 삶이 도약하는 경우도 있다. 만남은 참 신비롭다. 사람이 짐승을 만나면 짐승이 되고 신을 만나면 신이 된다. 짐승을 만나면 짐승의 소리를 하고 신을 만나면 신의 소리를 한다. 사람은 “누구를 만나느냐?”에 따라 삶의 방향이 극명하게 갈라진다. 따라서 삶은 관계이다. 만남이다. 누구를 만나서 어떤 관계를 하느냐가 바로 나의 삶이 되고 결국은 내가 되는 것입니다.

태어나자마자 처음 만나는 것이 부모이다. 어떤 부모를 만나느냐는 그래서 중요하다. 가만히 보면 남자는 자신의 아버지처럼 산다. 여성은 엄마처럼 산다. 그 테두리를 넘어 보다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사람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비상하는 인생을 산다. 사람은 다 자기 의식의 수준을 갖고 있다. 그 의식의 수준대로 살게 된다. 자기의식의 수준대로 들린다. 나는 설교자이다. 매주 성도들을 향해 설교를 한다. 똑같이 앉아 똑같은 설교를 듣는데 나타나는 반응은 천태만상이다.왜 그럴까? 의식의 수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사람은 자기의식의 수준대로 보며 산다. 자기의식의 수준대로 말을 하며 살게 된다. 따라서 대화를 할 때에 잠시 내 입을 닫고 상대방에 말을 경청해야 한다. 듣다보면 그 사람의 수준이 나온다. 다른 삶을 살기 원한다면 다른 의식수준의 사람을 만나야 한다. 자기 보다 더 높은 의식수준의 사람을 만나라는 말이다. 자기 보다 더 높은 의식 수준의 사람을 찾아다니는 것, 즉. 선생님, 전문가 도인을 찾아다니는 것이 공부요, 훈련이요, 수행이요, 수련이다.

나는 2000년을 맞이하면서 감격에 젖었다. “와, 내가 1900년대를 넘어 2000년에 접어드는 시대에 살고 있다니?” 그 사실 하나만으로 나는 삶의 경이로움을 느꼈다. 그러면서 내가 세운 목표는 “영성”이었다. 한창 목회를 하고 있는 내가 항상 배고파했던 것이 “영성”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국 전역에 영성훈련을 하는 곳은 거의 다 찾아다녔다. 그러다가 밥퍼 “최일도 목사”를 만나 친구가 되었다. 밤을 새워가며 영성에 대한 대화와 교류를 했다. 나중에는 카톨릭에서 시행하는 “성서피정”, 불교의 “템플스테이”에도 가고 싶은 유혹이 찾아왔다. 하지만 거기서 멈추었다. 위험하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 훈련을 게을리 한다. 공부는 아예 담을 쌓는다. 공부와 훈련을 그치고 수행, 수련을 하지 않는 사람은 퇴행하거나 퇴보, 타락하게 된다. 하기야 그런 사람들은 그런 줄도 모르고 산다. 우리가 즐겨 쓰는 핸드폰이나 컴퓨터도 업그레드를 시켜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기존 것을 그대로 사용하면 다른 사람들이 주는 것을 받을 수 없다. 2G를 그대로 사용하면 카카오톡을 받고 줄 수 없다. 최소한 3G는 되어야 한다. 그런 중에 어떤 사람들은 더 업그레이드를 시켜서 4G, LTE를 사용한다. 처리 속도도 다르다. 다른 차원에서 관계하는 것이다. 듣는 것과 보는 것이 다르다.

사람의 의식도 마찬 가지이다. 의식의 차원, 의식의 수준대로 들리고 보이니 자기의식의 수준대로 살게 되는 것이다. 스포츠 선수나 예능을 하는 사람이 슬럼프에 빠지면 가장 먼저 하는 것이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일단 기본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그것도 안 되는 사람이 지도자 노릇을 한다. 뭔가 앞장서서 일을 한다. 스스로 ‘번아웃’ 될 일은 자명한 일이다. 사람이 되어야 한다. 이왕에 될 바에야 아름다운 사람, 참사람이 되어야 한다. 오늘 만나는 사람이 다 내 스승이 됨을 깨달아야 한다. 나이와 경험에 관계없이 그 관계 속에서 나의 삶은 가꾸어져 가는 것이다.

오늘 만나는 사람은 우연이 아니다. 하나님의 섭리 속에 만남이 주어진 것이다. 관계를 잘하는 사람, 만남을 소중이 여기는 사람은 그래서 행복하고 다른 사람도 매료시킨다. 지금 누구를 만나고 계십니까?


  1. 청춘 낙서 12/19/2014

    낙서의 역사는 얼마나 될까? 아마 태초부터 낙서가 있지 않았을까? 아담은 에덴동산 곳곳에서 낙서를 했을성 싶다. 고교 2학년 때. 수학여행을 가서 설악산 암벽에 새겨진 낙서에 혀를 내둘렀다. 처음 이민을 와서 ‘프리웨이’(L.A.)가 지나가는 ...
    Views89476
    Read More
  2. 중년 위기 12/12/2014

    하루를 오전과 오후로 나누듯 인생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는 인생의 자오선(子午線)이 중년이다. 중년은 분명 전환기이다. 건축 설계업을 하는 마흔 여섯 살의 ‘김모’씨는 전업주부인 아내와 고등학교 1학년, 중학교 3학년의 두 아들을 두었다...
    Views69583
    Read More
  3. 잘못 태어난 인생은 없다 12/5/2014

    이렇게 기구한 삶을 산 여인이 있을까? 단지 딸이라는 이유로 술에 취한 아버지는 갓난아이를 방바닥에 내던져버렸다. 그 아이는 결국 척추를 다친 장애인이 되었다. 갓난아기의 키는 더디 자랐다. 공부는 초등학교가 끝이었다. 아버지의 자살, 정신질환을 앓...
    Views76695
    Read More
  4. 가을 품속에서 11/28/2014

    가을이다. 매년 맞이하는 계절이지만 금년 가을의 숨결은 내 마음을 더 편안하게 한다. 무려 4개월 이상을 숨 가쁘게 달려왔다. 상상하지도 못했던 전화를 받은 것이 6월의 마지막 날이었다. 5월 한 달, 중국 그리고 동남아 선교를 마치고 돌아와 지친 몸과 ...
    Views69060
    Read More
  5. 중력과 은총 11/21/2014

    우리는 일찍이 ‘만유인력’이라는 과학자 아이작 뉴턴의 학설을 배워 알고 있다. 질량을 가진 물체사이의 끌림을 기술하는 물리학 법칙이다. ‘뉴턴’하면 떠오르는 과일이 있다. 바로 “사과”이다. <에피소드 과학사>라는 ...
    Views94807
    Read More
  6. 이 감격, 이 감동! 11/14/2014

    사람이 살다보면 기쁨의 순간을 경험할 때가 있다. 그토록 원하던 일들이 성취되는 순간이나 생각지 않았던 일들이 영화처럼 눈앞에 나타날 때이다. 올림픽이 온 세계인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는 것은 올림픽 자체가 감동 덩어리이기 때문일 것이다. 몇 시간, ...
    Views68156
    Read More
  7. 장애인을 사랑하기까지 11/7/2014

    나는 장애인이다. 모두가 그렇듯이 나도 귀한 가정에 아들로 태어났다. 아들을 둘이나 낳았지만 갓난아기 때 병으로 다 잃어버리고, 딸을 낳아 기르다가(누나)내가 태어났으니 부모님은 얼마나 기뻐하셨을까? 하지만 돌이 지나며 ‘소아마비’에 걸...
    Views75475
    Read More
  8. 세월이 가면 10/31/2014

    초등학교 졸업이 가까워지며 “사은회”가 열렸다. 짧게는 1년 동안 길게는 6년을 한결 같이 가르침을 주신 선생님들을 모셔 놓고 다채로운 행사로 감사를 표하는 자리였다. 따라서 “사은회비”가 졸업경비에 포함이 되어 있었고 소박하...
    Views65118
    Read More
  9. 목사님이시잖아요? 10/24/2014

    항상 친밀하게 교제를 나누며 그래서 만나면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나누는 젊은 부부가 있다. 그런데 예기치 않은 일로 아내 되는 자매와 ‘카카오 톡’이 오고가다가 서로 마음이 상해버렸다. ‘이제 안 만나면 그만이지!’하고 있는데 ...
    Views66519
    Read More
  10. 목사님, 저 기억하세요? 10/17/2014

    초등학교 국어책에서 읽었던 글이 생각난다.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물었다. “얘들아,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게 뭔지 아니?” 아이들이 대답한다. “원자 폭탄이요” “아니, 호랑이요” 이내 선생님이 입을 여신다. “세...
    Views68482
    Read More
  11. 부부는 평등해야 한다 10/11/2014

    “생명이 무엇일까?”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부터가 신비 중에 신비이다. 어떻게 아무것도 없는 상황에서 남녀가 사랑을 나누었다는 한 가지 이유로 생명이 잉태되는 것일까? 요즘에도 그런지 모르지만 남아선호사상이 팽배할 때에 얼마나 ...
    Views68840
    Read More
  12. 밀알의 밤을 열며 10/4/2014

    가을이다. 사람들은 공히 “지난 여름은 그닥 덥지 않았다.”고 입을 모은다. 그래서 그런지 가을이 깊어가는 시점에서도 사람들은 별 감흥이 없어 보이나보다. 숲속을 지날 때에 나뭇잎이 하나둘 차창에 부딪혀 오는 광경을 보며 가을의 손길을 느...
    Views64851
    Read More
  13. 괜찮아! 9/26/2014

    중학교 3학년 때의 일이다. 시골(양평)이어서 그랬는지 우리 학교에는 여자선생님들이 많은 편이었다. 그 중에서도 “한선희 선생님”은 절도 있는 태도에 실력파여서 아이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그렇게 미인은 아니었지만 수더분한 생김새에 지적...
    Views79781
    Read More
  14. 이제 끊으시지요? 9/19/2014

    한 남자의 고백이다. 고등학교 2학년 겨울에 일어난 일을 어렴풋이 기억해 냈다. “고 3이 되면 대학입시 공부를 해야 하니 마지막으로 실컷 놀아보자.”고. 마침 생일이 되어 가까운 친구들을 집에 모아 파티를 열었다. 어머니가 차려주신 푸짐한 ...
    Views74661
    Read More
  15. 감나무와 밤나무 9/12/2014

    부부들은 말한다. “저 사람과 나는 달라도 너무 달라요!” 아주 멋져 보이는 부부를 보고 누군가 부러운 듯이 말을 건넨다. “참 좋으시겠어요. 저런 분과 함께 살아서” 그런데 정색을 하며 대답하는 아내의 말이 걸작이다. “그...
    Views86182
    Read More
  16. 닉 부이치치 9/6/2014

    6년 전, 밀알의 밤을 준비하며 찬양을 인도하는 형제에게 긴급명령(?)을 하달했다. 그 내용은 “밀알의 밤에서 띄울 감동적인 영상을 찾아내라!”였다. 그 후 얼마 되지 않아 들뜬 형제의 전화 목소리를 접할 수 있었다. “목사님, 기가 막힌 ...
    Views85100
    Read More
  17. 미친개 선생님 8/31/2014

    나는 매주 KBS 예능 “1박 2일”을 즐겨본다. 얼마 전 “선생님 올스타”편이 방영되었다. 각 고등학교에 특이한 성향을 가진 선생님들을 게스트로 해박한 웃음을 유발하도록 기획되었다. 작가들의 발상과 PD의 연출은 놀라웠다. 그 중에...
    Views65795
    Read More
  18. 화가 올라올 때 8/23/2014

    지금은 모르겠지만 내 생을 가만히 돌아보면 화를 자주 내며 산 것으로 기억이 된다. 굳이 변명을 하자면 걸음은 부실하고 하고 싶은 것은 많은데 몸은 따라주지 못하는 장애가 화를 유발하는 원인이었던 같다. 화를 자주 내는 사람들은 이미 매사에 화 기운...
    Views73933
    Read More
  19. 누구를 만나는가? 8/16/2014

    사람은 만남을 통해 성장하고 행복을 만들어 간다. 만나지 말아야 할 사람을 만나 인생이 표류하는 사람이 있다. 반면, 시원치 않은 사람인데 만남을 통해 삶이 도약하는 경우도 있다. 만남은 참 신비롭다. 사람이 짐승을 만나면 짐승이 되고 신을 만나면 신...
    Views70539
    Read More
  20. 남자는 다 어린애고 불안한 존재더라 8/9/2014

    은막의 여왕이라는 극찬을 받으며 한 시대를 풍미한 여배우가 있다. 바로 “김지미”씨이다. 흑백영화시절부터 그녀는 실로 모든 남성들의 로망이었다. 가난하고 그래서 배고프던 시대에 김지미는 한국여성의 틀을 깨고 서구적인 미모로 영화계를 ...
    Views9285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