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82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을.jpg

 

 

가을이다. 매년 맞이하는 계절이지만 금년 가을의 숨결은 내 마음을 더 편안하게 한다. 무려 4개월 이상을 숨 가쁘게 달려왔다. 상상하지도 못했던 전화를 받은 것이 6월의 마지막 날이었다. 5월 한 달, 중국 그리고 동남아 선교를 마치고 돌아와 지친 몸과 마음을 추수리던 그 시간 “밀알선교단에 교회건물을 기증하고 싶다.”는 목사님의 제의를 받았다. 가슴이 뛰었다. 건물을 인수하는 절차에 들어가며 그날부터 긴장의 연속이었다. 하나라도 더 챙겨가려는 세태가 만연한 이때에 장애인들을 위해 모든 것을 내려놓는 목사님의 모습에서 “예수님”을 보았다. 그렇게 우리는 상상할 수조차 없었던 기적의 주인공이 되었다.

돌아볼수록 엄청난 일이었음을 깨닫는다. 그런 기적을 일으켜 놓으시고도 시치미를 떼고 내려다보시는 하나님의 눈길 앞에 오늘도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살고 있다. 이사를 하자마자 “밀알의 밤”을 열었고 행사가 마무리되자마자 “입당감사예배” 대사를 치렀다. 그렇게 달리다보니 가을의 품속이다. 숲속을 내달리며 쏟아지는 낙엽의 향연이 마음을 들뜨게 한다. 윤달이 끼어서인지 금년 가을은 속도가 느려진 것 같다. 가을은 “갈”이다. “금방 지나간다.”는 의미이다. 가을의 품속에서 겸손을 배운다.

무성하고 현란하던 이파리를 아무 미련 없이 떨쳐버리는 나무의 냉정함. 바람을 벗 삼아 정든 나무와의 이별을 멋지게 고하며 날아가는 낙엽. 저만치 땅에 떨어져 서서히 거름이 되어가는 그 모습이 어쩌면 인생의 길과 흡사하다. 봄기운을 느끼며 고개를 내어밀던 새순이 서서히 성숙해 가고 그 초록의 깊이를 더해간다.앙상하던 나뭇가지에 잎이 자리를 잡으며 나무는 멋진 단장을 거듭하고 여름 한복판에서 청춘의 정점을 찍는다. 아침에 햇살이 비추이기 시작하면 이슬을 머금은 나뭇잎은 잰 걸음으로 춤을 추며 청춘을 노래한다.

그래서 청춘은 초록이다. 누군들 그 시절이 없었으랴! 지칠 줄 모르는 체력과 열정. 사랑이 고파 고뇌하던 시간들. 미래가 보이지 않아도, 배가 고파도 청춘은 행복했다. 우리 청춘은 해외여행은 꿈도 못 꾸었다. 그래서 여름이 되면 들로 산으로 캠핑을 떠났다. “군용텐트, 버너, 그리고 라면.” 우리세대에게는 너무도 익숙한 단어들이다. 배가 그리 고픈 것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넉넉함하고는 거리가 먼 시절을 보냈다. 일종의 ‘얼치기(낀)세대’ 라고 해야 할까? 머리를 기르면 “장발단속”이 기다렸고 밤을 새우려면 “야간통행금지”가 발목을 묶었다.

그런 아픔 속에서도 미소를 잃지 않았다. 수없는 좌절과 최소한의 자유 속에서도 우리는 풍류를 잃지 않았다. “대학가요제”로 시작하여 온갖 “가요제”는 우리세대의 산물이다. 군부의 살벌한 분위기 속에서도 우리는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었다. 돌이켜보면 뿌연 회색의 시간이었지만 기타가 있어 내 청춘은 행복했다.청춘이 오래갈 줄 알았다. 아니 영원히 우리는 청춘일 줄 알았다. 그런데 푸르디 푸르던 초록이 어느 날 지쳐 낙엽이 되듯이 우리 청춘도 색깔이 바래갔다.

인생의 꿈을 보란 듯이 펼칠 40대에 IMF를 만나 허덕이고, “사오정”(45세 정년) “오륙도”(56세까지 그 자리에 있으면 도둑?)의 희생양이 될 줄이야! 아이들이 어릴 때에 어머니에게 맡기며 외출을 할라치면 “아빠, 엄마 언제와?”를 반복해 물었다. 언제까지나 어릴 줄만 알았던 아이들이 어느새 성인이 되고 공부와 직장을 찾아 ‘훨훨’ 날아가 버렸다. 실로 ‘빈 둥지’에서 이제는 아이들을 마냥 기다린다. 어쩌다 집에 온 아이. 와서 반가운 만큼 떠나갈 때에 서운함을 온몸으로 느껴야 하는 자리에 서있다.

오늘은 아내가 “낙엽을 치우자.”고 했다. 온갖 색깔의 낙엽을 긁으며 상념에 젖는다. ‘그래 너희들도 한때는 청춘이었지! 새들이 날아들어 타지 소식을 전해주고 때론 예쁜 나비가 날아 앉아 가슴을 달뜨게 했겠지? ‘윙윙’거리는 벌떼가 주위를 맴돌며 친구가 되어주고 말야! 이제 바랜 색깔을 훈장 삼고 떠나가는구나!’가슴이 시릴만큼 현란한 단풍, 다양한 모양과 색깔의 가을낙엽. 가만히 읖조려 본다. “우리에게도 청춘이 있었다.” 가을을 가슴에 담는다. 늙어가지 않고 멋있게 익어 가리라!


  1. No Image

    삶은 위대한 선물

    누구나 그렇듯이 젊은 날에는 정신없이 달려 나간다. 그만큼 자신감도 충만한 시기이다. 밤을 새워도 좋고, 어디서든 굴러도 좋다. 낭만과 열정이 섞여 휘몰아 칠 때이니 말이다. 그때는 언제까지나 젊음이 내 곁에 있을 것만 같았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
    Views64
    Read More
  2. No Image

    ADHD

    밀알선교단은 매주 화요일 저녁 정기모임을 가진다. 장애인들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자원봉사자들이 자리를 함께한다. 그들의 도움이 없이는 모임이 성사될 수 없다. 라이드, 식사, 부축해 주는 일까지. 따라서 젊은 봉사자들의 자녀들이 동반 참석하게 된다....
    Views607
    Read More
  3. No Image

    소나무야, 소나무야

    작년 봄의 일이다. 집회 인도 차 한국을 방문하였다. 처음 행선지는 경기도 용인이었다. 운전하는 친구 곁에서 차창 밖으로 스쳐가는 봄의 정취에 빠져들고 있었다. 길목을 돌아서는 순간, 탄성을 자아내는 풍경이 다가왔다. 마치 눈을 뿌려 놓은 듯 하얀 꽃...
    Views951
    Read More
  4. No Image

    뭐가 그리 서러워?

    사람마다 세대별로 서운함을 안고 인생을 엮어간다. 아이 때는 갖고 싶은 장난감을 가지지 못한 것부터, 형제가 많은 가정에서 자라난 까닭에 새 옷은 꿈도 꾸어보지 못하고 항상 맨 위부터 물려주는 것을 입어야 했던 서러움까지. 이성에 눈을 뜨는 시기에 ...
    Views1956
    Read More
  5. No Image

    나비 효과

    “브라질 아마존강에 살고 있는 나비가 날개를 흔드는 것이 미국 텍사스 주 토네이도(tornado) 태풍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놀랍게도 “그렇다”이다. 미국 MIT 대학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가 이런 의문...
    Views2539
    Read More
  6. No Image

    누구나 생각나는 스승이 있다

    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다. 스승의 노래는 이렇게 시작된다. “스승의 은혜는 하늘 같아서 우러러 볼수록 높아만 가네♬” 홀로 선 인생이 어디 있으랴! 기억에서는 희미 해 가지만 어리디 어린 나이로부터 겹겹이 쌓여진 세월과 함께 나를 가르치고...
    Views2916
    Read More
  7. No Image

    부부의 날

    어느 강좌 시간에 교수가 한 여성을 불러낸다. 그리고는 “앞에 나와서 칠판에 아주 절친한 사람 20명의 이름을 적어보세요.” 요구를 했다. 여성은 잠시 고개를 갸웃하더니 교수가 주문한대로 ‘가족, 이웃, 친구, 친척’등 20명의 이름...
    Views3451
    Read More
  8. No Image

    발달장애 가족 이야기

    작년 가을, 밀알 소풍을 가는 날이었다. Park로 출발하기 앞서 밀알선교센터에 모이기 시작했고 부모의 차를 타고 장애아동들이 당도하고 있었다. 한 어머니가 아들을 라이드하고 돌아서는 순간. 밀알에 나와 봉사하던 한 분이 놀란 눈으로 어머니의 손을 움...
    Views4476
    Read More
  9. No Image

    상처는 스승이다

    인생은 철모르는 어린아이 때 기대했던 것처럼 그리 녹록지 않았다. 굽이굽이 고비를 넘어야 했고, ‘이제 편한 세상이 되었나보다!’하면 어느새 무엇인가 꿈틀거리며 다가와 찔러 댔다. 생존은 마치 전쟁터 같은 느낌이 든다. 게다가 우리는 이민...
    Views4513
    Read More
  10. No Image

    숨겨져 있는 것에 소중함

    모든 것이 빨리 드러나기를 바라는 조급증이 사람들 마음에 도사리고 있다. 애를 쓴 만큼 열매가 맺어지기를 기대하며 인생은 달리고 있다. 학생들은 공부한 만큼 좋은 성적이 오르기를 애타게 갈망한다. 부모는 어린 자녀들이 속히 성장하여 앞가름하며 살기...
    Views4890
    Read More
  11. No Image

    ‘호꾸’와 ‘모난 돌’

    갑자기 중 · 고 시절 입던 교복이 생각났다. 까만색 교복에 모자까지 눌러쓰고 다녀야 하는 세월이 무려 6년이었다. 하복은 그렇다치고 동복에는 ‘호꾸’라는 것이 있었다. 하얀색 얇은 플라스틱으로 된 칼라를 목 안쪽에 장착하고 채워야...
    Views5278
    Read More
  12. No Image

    아버지를 만나야 한다

    그의 아버지는 항상 완고했다. 때로는 가정폭력을 행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그는 아버지가 싫었다. 나이가 들어가며 아들로 기본예의는 갖추었지만 누구처럼 아버지에게 살갑게 다가가지 못했다. 결국 그는 상담을 받게 되었고, 조언을 받아들여 아버지와의 ...
    Views5486
    Read More
  13. 아, 정겨운 봄날이여!

    “어느 계절을 가장 좋아하세요?”라고 물으면 취향은 다양하다. 하지만 춥고 지루하고 변덕스러운 겨울을 지나 맞이하는 봄은 누구나에게 포근함을 안겨준다. 봄은 희망이다. 봄은 말 그대로 봄(view)이다. 죽은 듯 보이던 대지에서 파아란 새싹이...
    Views5670
    Read More
  14. No Image

    화장은 하루도 못가지만

    낯선 사람과 마주치며 느끼는 감정이 첫인상이다. 어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①복장(服裝) ②헤어스타일 ③얼굴 표정 ④목소리 톤, 말투 ⑤자세로 밝혀졌다. 첫인상과 관련해서 ‘6초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겨우 6...
    Views5780
    Read More
  15. No Image

    데이모스의 법칙

    삶은 생각이라 할 수 있다. 사람은 잠에서 깨어나면서 하루 종일 생각하며 산다. 과연 내 삶을 스치는 생각은 얼마나 될까? 우리나라 말에 “오만가지 생각이 다 난다”는 표현이 있다. 그렇다. 묘하게도 사람은 하루에 5만~6만 가지 생각을 한다. ...
    Views5966
    Read More
  16. No Image

    '무’(無)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에 한 왕이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무’(無)라고도 하고 ‘영’(靈)이라도 했다. ‘그’라고 부르기는 하겠지만 그는 남자도 여자도 아니었다. 형체도 모양도 없었다. 실제는 그의 이름도 없었다. &ls...
    Views6008
    Read More
  17. No Image

    있을 수 없는 일?

    가끔 정신이 ‘멍’해지는 뉴스를 접할때가 있다. 상상이 안되는 충격적인 사건이 벌어지면 사람들은 “있을 수 없는일이 벌어졌다”고 말한다. 밀알선교단 창립 45주년 행사 참석차 한국을 방문했다. 지인과 서울을 오가다가 성수대교를...
    Views6051
    Read More
  18. No Image

    이런 인생도 있다

    지극히 평범한, 아니 처절하리만큼 모진 삶을 살다가 미국 한복판에서 미군 고급장교로 인생을 마무리했다면 어떤 생각이 들까? 서진규 씨의 기사를 접하고 혀를 내둘렀다. 학력이 뛰어났다든가? 어릴때부터 머리가 명석했다든가? 명문가문에서 태어난 분이 ...
    Views6099
    Read More
  19. No Image

    하트♡

    우리가 사용하는 말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단어가 “사랑”이다. 사람을 사랑속에 태어나 사랑을 받고 사랑으로 양육되어진다. 간혹 어떤 분들은 “자신은 사랑을 받아본 적이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면밀히 삶을 돌이켜보면...
    Views6131
    Read More
  20. No Image

    무슨 “띠”세요?

    2023년이 가고 2024년이 밝아온다. 사람을 만나 대화를 하다가 나이를 물으면 바로 “몇살입니다.”라고 대답하는 경우는 드문 것 같다. 대개 “저는 몇 년생입니다.”로부터 “저요? ○○ 띠입니다.”라고 해서 한참을 계산해야...
    Views614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