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7:50

아쉬움 2/20/2015

조회 수 685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패배.jpg

 

 

지난 1월 호주에서 열렸던 AFC(아시안 컵 축구대회)에서 한국은 아쉽게도 준우승에 머물렀다. 나는 한국 축구가 아시아에서는 최강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55년 동안 아시안 컵 우승컵을 들어 올리지 못했다는 사실이 이해가 안 갔다. 금번 대회에 우리나라는 ‘슈틸리케 감독’을 영입하여 분위기를 쇄신하며 새로운 도전을 시도했다. 놀랍게도 실점 없이 파죽지세로 결승까지 올라가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번에는 결승 상대인 호주를 제압하고 55년의 한을 풀어주기를 고대했다. 하지만 결과는 준우승이었다.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을 펼쳤지만 결국 2:1 스코어로 우승 문턱에서 고배를 마신 것이다.

선수 중에는 “차두리”라는 명장이 끼어있었다. 한국 축구의 전설 ‘차범근’의 아들이라는 것이 신인시절부터 세간에 관심을 끌었다. 작년, 월드컵 때는 부자가 나란히 앉아 축구해설을 하는 모습을 보여 선수생활은 마감한 것으로 알았다. 그런데 이번 대회에 수비수로 나서 현란한 드리블을 선보이며 결승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해냈다. 어린 후배 선수들을 독려하며 35세의 나이가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차두리는 “차미네이터”라는 별명에 걸 맞는 강한 인상을 선사했다. 공식은퇴를 앞두고 출전한 차두리가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멋지게 대미를 장식해 주기를 원했건만 그 기대는 무너졌다.

작년 이맘때에 열렸던 소치 올림픽에 피겨 여왕 김연아가 은퇴를 번복하며 대회에 출전했다. 역시 김연아는 우리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피겨스케이터에게는 버거운 연령이었지만 모든 종목에서 그녀는 최상의 기량을 선보였다. 파이널 경기가 열리던 날, 온 국민은 김연아가 멋지게 금메달을 목에 걸며 동계올림픽2연승의 명예를 안고 은반을 떠나가기를 기대하며 경기 장면을 지켜보았다. 하지만 주최국 러시아에 텃세와 이해할 수 없는 판정이 뒤섞이며 은메달로 만족을 해야만 했다. 아쉬움을 넘어서서 분이 올라오는 안타까운 순간이었다.

이처럼 인생을 살다보면 땅을 치고 안타까워해야하는 아쉬운 순간들을 지나야 할 때가 있다. “첫사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말은 사랑이 뭔지도, 사랑할 줄도 모르는 시절에 스쳐지나가듯 이성을 만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월이 지나며 “왜 그걸 몰랐지!” 아쉬워하며 나름대로 첫사랑을 미화하며 사는 것이다. 그것뿐이랴! 인생의 고비 고비마다 얼마나 많은 기회들을 놓치며 아쉬움 속에 살고 있는가?

공부할 기회, 사업할 기회, 직장을 잡을 기회가 있었다. 예민한 이야기지만 결혼도 마찬가지이다. ‘그때 그 여자(남자)를 나는 왜 마다했던가? 왜 나는 그때 그곳에 안 갔을까? 왜 나는 그때 그런 말을 했을까? 왜 그때 나는 참지 못했을까? 왜 나는 그런 선택을 했을까?’ 우리얘기를 하자. ‘왜 나는 영어 공부를 그리 안했을까? 미국에 오려면 진작에 올 것을 왜 나는 뒤늦게 미국에 왔던가? 아이들이 보다 어릴 때에 신앙을 심어주었을 것을 바쁘다는 핑계로 아이들 가슴에 신앙을 심지 못했을까?’

내 삶에도 아쉬움이 한없이 많다. 그중에서도 “장애”의 덫은 평생 아쉬움의 한숨을 토하게 한다. ‘왜 나는 장애인이 되었을까? 장애가 없었다면 보다 더 풍요롭고 멋진 삶을 살았을 텐데’ 남들은 평범하게 모든 것을 누리며 정도(正道)를 걸어가고 있을 때에 나는 저 뒷전에서 고통을 겪으며 아쉬움의 눈물을 삼켜야 했다.단지 장애인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철저히 무시되고 불이익을 당하는 아픔을 감내해야만 하였다.

그러면서 내가 자주 내뱉는 말이 있다. “그래, 인생은 다 아쉬움을 안고 가는 거지!” 자조적인 넋두리이지만 짧은 순간 위로가 된다. 아시안 컵은 다시 돌아온다. ‘김연아’는 떠났지만 또 다른 신예가 그 자리에 서며 국민에게 희망을 안겨줄 것이다. 아쉽지만 의연하게 그 인생의 파도를 견뎌낼 때에 생각지 못했던 위로와 환희가 아쉬움의 자리를 메워주며 새로운 길이 열릴 것이다. 힘을 내자! 아쉬움 없는 완벽한 인생이 어디 있으랴! 아쉬움이 있기에 겸손할 수밖에 없질 않은가?그 아쉬움 속에서 하나님을 찾고 예술의 경지에 오를 수 있다면 그 아쉬움은 고마운 아쉬움이다.


  1. No Image

    삶은 위대한 선물

    누구나 그렇듯이 젊은 날에는 정신없이 달려 나간다. 그만큼 자신감도 충만한 시기이다. 밤을 새워도 좋고, 어디서든 굴러도 좋다. 낭만과 열정이 섞여 휘몰아 칠 때이니 말이다. 그때는 언제까지나 젊음이 내 곁에 있을 것만 같았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
    Views1064
    Read More
  2. No Image

    ADHD

    밀알선교단은 매주 화요일 저녁 정기모임을 가진다. 장애인들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자원봉사자들이 자리를 함께한다. 그들의 도움이 없이는 모임이 성사될 수 없다. 라이드, 식사, 부축해 주는 일까지. 따라서 젊은 봉사자들의 자녀들이 동반 참석하게 된다....
    Views1557
    Read More
  3. No Image

    소나무야, 소나무야

    작년 봄의 일이다. 집회 인도 차 한국을 방문하였다. 처음 행선지는 경기도 용인이었다. 운전하는 친구 곁에서 차창 밖으로 스쳐가는 봄의 정취에 빠져들고 있었다. 길목을 돌아서는 순간, 탄성을 자아내는 풍경이 다가왔다. 마치 눈을 뿌려 놓은 듯 하얀 꽃...
    Views1670
    Read More
  4. No Image

    뭐가 그리 서러워?

    사람마다 세대별로 서운함을 안고 인생을 엮어간다. 아이 때는 갖고 싶은 장난감을 가지지 못한 것부터, 형제가 많은 가정에서 자라난 까닭에 새 옷은 꿈도 꾸어보지 못하고 항상 맨 위부터 물려주는 것을 입어야 했던 서러움까지. 이성에 눈을 뜨는 시기에 ...
    Views2554
    Read More
  5. No Image

    나비 효과

    “브라질 아마존강에 살고 있는 나비가 날개를 흔드는 것이 미국 텍사스 주 토네이도(tornado) 태풍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놀랍게도 “그렇다”이다. 미국 MIT 대학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가 이런 의문...
    Views3421
    Read More
  6. No Image

    누구나 생각나는 스승이 있다

    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다. 스승의 노래는 이렇게 시작된다. “스승의 은혜는 하늘 같아서 우러러 볼수록 높아만 가네♬” 홀로 선 인생이 어디 있으랴! 기억에서는 희미 해 가지만 어리디 어린 나이로부터 겹겹이 쌓여진 세월과 함께 나를 가르치고...
    Views3781
    Read More
  7. No Image

    부부의 날

    어느 강좌 시간에 교수가 한 여성을 불러낸다. 그리고는 “앞에 나와서 칠판에 아주 절친한 사람 20명의 이름을 적어보세요.” 요구를 했다. 여성은 잠시 고개를 갸웃하더니 교수가 주문한대로 ‘가족, 이웃, 친구, 친척’등 20명의 이름...
    Views4074
    Read More
  8. No Image

    발달장애 가족 이야기

    작년 가을, 밀알 소풍을 가는 날이었다. Park로 출발하기 앞서 밀알선교센터에 모이기 시작했고 부모의 차를 타고 장애아동들이 당도하고 있었다. 한 어머니가 아들을 라이드하고 돌아서는 순간. 밀알에 나와 봉사하던 한 분이 놀란 눈으로 어머니의 손을 움...
    Views5114
    Read More
  9. No Image

    상처는 스승이다

    인생은 철모르는 어린아이 때 기대했던 것처럼 그리 녹록지 않았다. 굽이굽이 고비를 넘어야 했고, ‘이제 편한 세상이 되었나보다!’하면 어느새 무엇인가 꿈틀거리며 다가와 찔러 댔다. 생존은 마치 전쟁터 같은 느낌이 든다. 게다가 우리는 이민...
    Views5310
    Read More
  10. No Image

    숨겨져 있는 것에 소중함

    모든 것이 빨리 드러나기를 바라는 조급증이 사람들 마음에 도사리고 있다. 애를 쓴 만큼 열매가 맺어지기를 기대하며 인생은 달리고 있다. 학생들은 공부한 만큼 좋은 성적이 오르기를 애타게 갈망한다. 부모는 어린 자녀들이 속히 성장하여 앞가름하며 살기...
    Views5575
    Read More
  11. No Image

    ‘호꾸’와 ‘모난 돌’

    갑자기 중 · 고 시절 입던 교복이 생각났다. 까만색 교복에 모자까지 눌러쓰고 다녀야 하는 세월이 무려 6년이었다. 하복은 그렇다치고 동복에는 ‘호꾸’라는 것이 있었다. 하얀색 얇은 플라스틱으로 된 칼라를 목 안쪽에 장착하고 채워야...
    Views5855
    Read More
  12. No Image

    아버지를 만나야 한다

    그의 아버지는 항상 완고했다. 때로는 가정폭력을 행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그는 아버지가 싫었다. 나이가 들어가며 아들로 기본예의는 갖추었지만 누구처럼 아버지에게 살갑게 다가가지 못했다. 결국 그는 상담을 받게 되었고, 조언을 받아들여 아버지와의 ...
    Views6192
    Read More
  13. 아, 정겨운 봄날이여!

    “어느 계절을 가장 좋아하세요?”라고 물으면 취향은 다양하다. 하지만 춥고 지루하고 변덕스러운 겨울을 지나 맞이하는 봄은 누구나에게 포근함을 안겨준다. 봄은 희망이다. 봄은 말 그대로 봄(view)이다. 죽은 듯 보이던 대지에서 파아란 새싹이...
    Views6460
    Read More
  14. No Image

    화장은 하루도 못가지만

    낯선 사람과 마주치며 느끼는 감정이 첫인상이다. 어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①복장(服裝) ②헤어스타일 ③얼굴 표정 ④목소리 톤, 말투 ⑤자세로 밝혀졌다. 첫인상과 관련해서 ‘6초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겨우 6...
    Views6622
    Read More
  15. No Image

    '무’(無)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에 한 왕이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무’(無)라고도 하고 ‘영’(靈)이라도 했다. ‘그’라고 부르기는 하겠지만 그는 남자도 여자도 아니었다. 형체도 모양도 없었다. 실제는 그의 이름도 없었다. &ls...
    Views6658
    Read More
  16. No Image

    하트♡

    우리가 사용하는 말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단어가 “사랑”이다. 사람을 사랑속에 태어나 사랑을 받고 사랑으로 양육되어진다. 간혹 어떤 분들은 “자신은 사랑을 받아본 적이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면밀히 삶을 돌이켜보면...
    Views6699
    Read More
  17. No Image

    숙명, 운명, 사명

    살아있는 사람은 다 생명을 가지고 있다. 생명, 영어로는 Life. 한문으로는 生命-분석하면 살 ‘生’ 명령 ‘命’ 풀어보면 “살아야 할 명령”이 된다. 엄마의 태로부터 태어난 그 순간부터 우리는 “살라는” 명을...
    Views6807
    Read More
  18. No Image

    있을 수 없는 일?

    가끔 정신이 ‘멍’해지는 뉴스를 접할때가 있다. 상상이 안되는 충격적인 사건이 벌어지면 사람들은 “있을 수 없는일이 벌어졌다”고 말한다. 밀알선교단 창립 45주년 행사 참석차 한국을 방문했다. 지인과 서울을 오가다가 성수대교를...
    Views6867
    Read More
  19. No Image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

    고교 시절에 가장 많이 읽었던 책은 박계형의 소설이었다. 그녀의 소설은 우선 단순하다. 그러면서도 책을 읽다가 실눈을 뜨고 ‘뜨락’을 바라보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다. 간혹 야한 장면이 여과 없이 표현되어 당황하기도 하지만 그래서 사춘기 ...
    Views6889
    Read More
  20. No Image

    무슨 “띠”세요?

    2023년이 가고 2024년이 밝아온다. 사람을 만나 대화를 하다가 나이를 물으면 바로 “몇살입니다.”라고 대답하는 경우는 드문 것 같다. 대개 “저는 몇 년생입니다.”로부터 “저요? ○○ 띠입니다.”라고 해서 한참을 계산해야...
    Views69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