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10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challenge.jpg

 

 

인생이 아름다운 것은 내게 야성(野性)이 살아있을 때이다. 겁나는 것 없이 내달릴 때에 쾌감은 경험한 사람만이 안다.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철이 없을 때라고나 할까? 수학은 어렵다. 하지만 문제를 풀어갈 때에 상상할 수 없는 성취감을 맛보게 된다. 처음에는 기초를 쌓아가는 단계이기에 가볍게 문제를 풀어간다. 항상‘술술’ 풀리면 수학이 아니다. 점점 이상한 부호가 나타나고 단계가 높아지기 시작한다. 풀려고 해도 풀리지 않는 문제 앞에서 아이들은 좌절한다. 우리는 알아야 한다. 수학은 틀리면서 배운다는 사실을 말이다. 틀려야 정상이다. 틀려도 용감하게 틀려야 한다.

인생을 생각하자. 지난 토요일 꿈나무 큰잔치가 열렸다. 설치해 놓은 놀이기구에서 온몸을 적셔가며 물 미끄럼틀을 즐기는 아동들을 보며 나도 모르게 중얼거렸다. “걱정 근심 없을 때 란다. 그때가!” 어린 시절에는 사는 것이 얼마나 즐거운가? 궁금한 것도, 해보고 싶은 일도 수없이 많다. 그래서 아이들은 사고(?)를 많이 친다. 나는 학교를 다녀오다 눈앞에 펼쳐져 있는 도라지 밭에 들어가 한창 몽우리져 있는 5각형의 도라지꽃을 저녁까지 터뜨리고 다닌 적이 있다. 얼마나 재미가‘쏠쏠“하던지.

걔중에 사고 없이 사는 아이들이 있다. 소위 착한아이들이다. 그런 아이들이 평생을 잘 가면 좋은데 나이가 들어 사고를 친다. 이것은 보통 심각한 일이 아니다.사고는 어린 시절에 쳐야 한다. 그렇다고 사고를 치며 살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넘어질 것을 겁내며 살아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갓난아이들이 자라나면 어느 날부터 자꾸 걸으려고 애를 쓰기 시작한다. 수없이 넘어지고 고꾸라지고 나서야 아이는 걸음마를 터득한다.

수영을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물을 무서워해서이다. 아니, 어릴 때부터 부모들이 물가에 가는 것을 금했기 때문이다. 수영을 배우려면 수없이 물을 먹어야 한다.죽을 고비를 몇 번은 경험해야 한다. 그 과정을 겪다보면 어느 순간 유연하게 물위를 질주하는 행복을 얻게 된다. 두 다리가 멀쩡한데 자전거를 전혀 타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넘어지는 것과 쓰러지는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실패 없이 성장하는 사람이 있을까?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다 흔들리면서 피었나니 흔들리면서 줄기를 곧게 세웠나니 흔들리지 않고 사는 사람이 어디 있으랴!”(詩:흔들리며 피는 꽃/도종환) 그렇다. 정치, 학력, 경제적으로 정상에 서있는 사람들을 보라! 실패 없이 그 자리까지 갈수 있었을까? 수없는 좌절, 사람들의 수군거림, 실패를 통해 감당하기 힘든 고통의 시간들을 견뎌냈기에 지금 그 자리에 서있는 것이다. 그분들의 공통점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발명왕 에디슨이 전구를 발명하기 위해 9,999번의 실험을 했으나 잘되지 않았다. 그러자 그의 친구는 에디슨에게 “실패를 1만 번째 되풀이할 셈이냐?”고 비꼬았다. 에디슨은 의연하게 대답을 했다. “나는 실패한 것이 아니고, 다만 전구가 안 되는 이치를 경험했을 뿐이다.” 실패를 경험하지 않은 사람은 소중함을 모른다. 어찌 보면 그것도 축복일 수 있겠지만 그런 인생은 너무도 밋밋할 것만 같다. 실패는 쓰다. 넘어지는 것은 너무도 아프고 쓰리다. 하지만 단계를 넘어갈 때마다 누리는 감격과 대견함이 있다. 그 과정이 있기에 성취 후 그 사람은 넘어지지 않는다. 생의 순간의 소중함과 생의 아름다움을 깨닫는 사람이 진정한 행복자이다.

사람들은 통계를 가지고 말한다. 상황을 앞세우며 기를 죽인다. “생각을 해보라. 그것이 될 일이냐?”며 다그친다. 그럴 때 외쳐야 한다. “수학은 틀려야 한다. 틀려도 용감하게 틀려야 한다.” 상황과 형편을 넘어서는 열정을 가진 사람을 하나님은 도우신다. 나이가 들어가는 것은 너무도 많은 것을 알게 된다는 의미이다.알다보니 도전을 못한다. 궁금한 것도, 도전해 보고 싶은 것도 서서히 사라져 갈 때에 인생의 야성도 식어 간다. 약하기에 사람이다. 넘어졌다고 좌절하거나 자책하지 말고 힘을 내자! 틀리자, 용감하게 그리고 다시 일어나자!


  1. 바다 그리고 음파 9/18/15

    세상에는 노래가 많다. 사실 들리는 모든 소리가 리듬을 타고 있다. 어린 시절에 우리 동네에는 물레방아가 있었다. 그 옆에는 대장간이 마주했다. 친구들과 심심하면 그 앞에 자리를 틀고 앉았다.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모습은 신기하기 이를 데 없었다. 커다...
    Views67342
    Read More
  2. 니, 우째 잠이오노? 9/11/15

    한국의 격동기 시절. 경남 고성에 18살 먹은 철없는 아가씨가 있었다. 시절이 어려운지라 친정아버지는 ‘부랴부랴’ 혼처를 알아보고 딸을 출가시킨다. 엄처시하의 환경 속에서도 해맑은 신부는 철없는 행동을 하지만 시부모님의 사랑을 받으며 효...
    Views69234
    Read More
  3. 밀알의 밤 바다 9/4/15

    가을이 되면 밀알선교단에서는 음악회를 연다. 2003년 7월.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여 장애인사역의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지만 당시 선교단의 상황은 열악했다. 전임 단장이 채 3년을 채우지 못하고 급작스럽게 사임하면서 시...
    Views67405
    Read More
  4. 나를 만든것은 바람 8/28/15

    미당 서정주 선생은 “자화상”이라는 시에서 이렇게 노래한다. “스믈세햇동안 나를 키운건 8할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 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입에서 천치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Views70510
    Read More
  5. 생각바꾸기 8/14/15

    인생은 한마디로 “어떤 생각을 하고 사느냐?”입니다. 성경은 말합니다. “대저 그 마음의 생각이 어떠하면 그 위인도 그러한 즉”(잠언 23:7). 생각이 그 사람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위대한 발명왕 에디슨은 “천재는 1%의 영감과...
    Views68682
    Read More
  6. 아내는 “에제르”(Ezer) 8/14/15

    하나님은 사람을 만드시되 먼저 남자를 만드셨다. 그리고는 “남자가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판단하시고 여자를 만들어 배필로 주셨다. 아내의 다른 이름은 '돕는 배필'이다. 이 말은 남자 스스로 인생을 만들어내기보다 아내가 ...
    Views80672
    Read More
  7. 장애인을 어떻게 불러야 하나요? 8/7/15

    장애인 호칭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혼돈을 일으킨다. 내가 어릴 때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들을 여과 없이 쏟아냈다. “장애자”에서 다듬어진 호칭은 이제는 “장애인”이라는 말로 정착을 했다. 한때는 “장애우”라는 말을 ...
    Views77055
    Read More
  8. 한국 풍경 7/31/15

    나는 지금 한국에 머물고 있다.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땅. 하지만 올 때마다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공항을 벗어나자마자 숨을 멈추게 할 정도의 더운 바람이 폐를 파고든다. 그 옛날 동리 앞 개울가에서 ‘멱’(수영)을 감다가 나와...
    Views71645
    Read More
  9. 아, 한강! 7/24/15

    필라에는 “아리수”라는 이름의 한식당이 있다. 누군가 물었다. “아리수가 무슨 뜻입니까?” 주워들은 이야기가 있어 자신 있게 대답했다. “아, 순수한 우리나라 말로 ‘한강’을 뜻합니다.” 상대방은 고개를 &l...
    Views74636
    Read More
  10. 짜장면 좋아하세요? 7/17/15

    밀알선교단 모임에서 “당장 죽음이 가까워 온다면 꼭 먹고 싶은 음식은 무엇입니까?”라는 화두로 대화의 광장을 열었다. 희한한 질문에 장애인들 대부분은 “짜장면”이라고 대답했다. 사람이 철이 나려면 세 가지 현상이 나타나야한단...
    Views83303
    Read More
  11. 욕쟁이 할머니 7/10/15

    서울 명동의 한 음식점은 점심때가 되면 만원을 이룬다. 회사원들을 물론이요, 소문을 듣고 찾아온 사람들로 발 디딜 틈이 없다.그 음식점의 사장이자. 주방장은 “욕쟁이 할머니”로 유명하다. 내돈주고 밥 한 그릇을 사먹으면서도 욕 몇 마디를 ...
    Views75492
    Read More
  12. 아빠 죽지마 7/3/2015

    “사랑하는 우리 가족 중에 건강한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잠도 좁은 방에서 다 같이 자야 하지만 나는 웃을 수 있습니다. 이 세상에서 제일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있으니까요.” 뇌병변 장애 1급으로 누워계신 아버지, 힘든 간병생활로 얻은 허...
    Views71468
    Read More
  13. 들으면 열린다! 6/26/2015

    사람의 얼굴을 보면 코와 입은 하나인데 눈과 귀는 둘이 있다. 이목구비 모두 요긴하지만 보는 것과 듣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성경 야고보서 1:19절은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거니와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
    Views66333
    Read More
  14. 0시의 다이얼 6/19/2015

    나는 음악을 좋아한다. 아니 너무도 사랑한다. 집에 있을 때나 차를 운전할 때에도 항상 음악을 즐겨 들으며 산다. 목사라고 찬송이나 복음성가만 듣지 않는다.즐겨 듣는 음악의 장르는 다양하다. 클래식부터 발라드, 락(Rock)까지 비오는 날에는 7080 가요를...
    Views82221
    Read More
  15. 수학은 틀려야 한다 6/12/2015

    인생이 아름다운 것은 내게 야성(野性)이 살아있을 때이다. 겁나는 것 없이 내달릴 때에 쾌감은 경험한 사람만이 안다.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철이 없을 때라고나 할까? 수학은 어렵다. 하지만 문제를 풀어갈 때에 상상할 수 없는 성취감을 맛보게 된다. 처음...
    Views71002
    Read More
  16. 황혼기 갈등 6/5/2015

    이 세상에 갈등이 없는 부부가 얼마나 될까? 부부는 만나면서 “갈등”을 전제하고 시작하는 지도 모른다. 전혀 다른 관습과 환경 속에서 성장한 청춘남녀가 ‘사랑’이라는 가느다란 끄나풀로 시작하는 것이 부부이다. 그 사랑이라는 것...
    Views70631
    Read More
  17. 바뀌어야 산다 5/29/2015

    사람은 다 다르다. ‘다르다’는 것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새로운 것에 너무 철벽을 쌓는 사람을 만나면 답답함을 느낀다. “바꿈”에 아주 인색한(?) 분들이 있다. 자신이 살아왔던 방식, 의식, 전통을 목숨처럼 고수하는 사람 말이다. ...
    Views64865
    Read More
  18. 캐나다 행복기 5/22/2015

    미국과 가장 가까이 있는 나라는 남쪽으로 멕시코, 북쪽으로는 캐나다이다. 멕시코는 몇 차례 다녀왔지만 희한하게도 캐나다 땅을 밟아본 경험이 없는 것이 항상 아쉬웠다. 지난 2월, 캐나다 밀알선교단 단장인 “김신기 목사님”으로부터 전화 한...
    Views80673
    Read More
  19. 잘 되는 나 5/16/2015

    이것은 ‘긍정의 힘’의 저자 조엘 오스틴이 내놓은 역작의 제목이다. 너무 노골적이지만 현대인들은 그런 취향에 익숙해 진지 오래이다. 조엘 오스틴의 책을 접하면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음을 나도 느낀다. 아마 그것은 정식으로 신학을 하...
    Views74814
    Read More
  20. 아버지를 만나야 한다 5/7/2015

    누구에게나 아버지가 있다.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느낌과 생각이 다르다. 어머니는 편하다. 아니 만만하다. 아버지는 어렵다. 아니 걸끄럽다. 한 사나이를 상담했다. “나이가 들어도 여전히 아버지는 타인처럼 느껴져 힘이 들다.”는 고백이었다...
    Views7124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