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48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명퇴.jpg

 

 

 부지런히 일을 하며 달리는 세대에는 쉬는 것이 작은 소망이다. ‘언제나 일에서 자유로워져서 쉴 수 있을까?’ 젊은 직장인들의 한결같은 하소연이다. 해서 내 오랜 친구는 50에 접어들며 이런 넋두리를 했다. “재철아, 난 일찍 은퇴하고 싶어. 60대 초반이면 일반 목회를 접고 내가 꿈꿔왔던 일들을 추구하려 한다.” 그런데 50대 후반이 되어가며 친구는 말을 바꾸기 시작했다. 급기야 채 60이 되기 전에 은퇴가 없는 사역지로 옮겨가 버렸다. 사람 참 모를 일이다. 사람은 다 그런 것 같다. 일을 할 때는 지겨워하고 막상 그 일을 접을 때가 다가오면 아쉬워하며 놓기를 주저하게 된다.

 

 20대에 입사하여 평생을 헌신해 온 직장인이 있다. 이제 회사 중진이 되어 소신껏 꿈을 펼치려는 나이가 되자 회사에서는 보이지 않은 압력이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정년보다 조금 일찍 퇴직을 하면 넉넉한 퇴직금을 보장한다는 유혹이다. 오랫동안 갈등하던 끝에 드디어 퇴직을 했다. 이름하여 명예퇴직이다. 수십년간 근무하던 직장이니 시원함보다는 섭섭함이 앞선다. 눈물 콧물 다 흘리며 직장 동료들은 한 아름의 편지를 안겨 주었다. 며칠이 걸려 읽은 편지들은 미소 짓게 만든다.

 

 명예퇴직을 한지도 어언 한 달이 지나간다. 제일 먼저 찾아 온 것은 여유로움이다. 뜬금없이 찾아드는 불면의 밤도 늦잠을 잘 수 있으니 초조하지 않다. 출근을 위해 새벽 공기를 가르며 미친 듯이 뛰어 나가지 않아도 된다. 포근한 침대 속에서 즐기는 아침잠의 그 느긋함은 행복감을 느끼게 한다. 충분한 잠으로 전날의 피로가 씻어 지니 상쾌한 아침을 맞게 된다. 은행이나 병원진료 등도 눈치 보지 않고 들를 수 있어 좋다. 운동한답시고 늦은 밤에 들어 와 아침식사 준비로 밤늦게 떨그럭거리지 않아도 된다.

 

 초저녁부터 TV앞에 앉아 리모컨 운전만 열심히 하면 된다. 친구들이랑 차도 마시고 바람도 쏘이며 조잘대는 그 재미도 함께 할 수 있다. 평일 낮의 나들이가 얼마나 편안한지 느끼게 된다. 사람들은 퇴직하고 나니 어떠냐?”고 물어온다. 아직은 여유로움 외에는 잘 모르겠다. 연금이 월급만 하겠는가? 반 이하로 확 줄어버린 연금으로 경제적 부감감이야 당연히 느낀다. 시간이 귀해 늘 택시를 타고 다니던 그가 요즘은 버스나 전철을 타게 된다. 그 속에서 타인들의 사는 모습을 보면서 또 다른 인생을 느끼는 것도 흥미롭다.

퇴직을 하고 나면 4단계의 대학이 있다고 했던가? 하루 종일 바빠 하바드 대학. 하루 종일 와이프 뒤만 따라 다녀 하와이 대학. 하루 종일 동네 경로당에 있어 동경 대학. 그것도 다리 아파 못하면 방구석에 콕 박혀 방콕 대학이라지. 수십년간 직장에 매어 있었다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그는 백수생활에 젖어 들고 있다. 이제는 편안하게 동창들을 만난다. 자식들도 모두 장성해서 대부분 짝을 맞추었고 짧지 않은 세월 동안 같이 살아온 아내와 함께 한 시름 놓고 적당히 보기 좋은 주름살로 쌓아온 연륜도 즐길 수 있는 친구들이다.

 

 화제는 자연히 황혼의 삶을 어떻게 잘 마무리 할 수 있는가가 중심이었다. 옛일에 대한 향수를 더듬기보다 앞으로 맞이할 백수로서의 시간과 생활에 어떻게 잘 적응하며 여생을 마무리 하는가가 대화의 줄을 이어간다. 세상일은 늘 변화하고 움직이기 때문에 백수에게도 기회가 찾아오지 말라는 법은 없다. 퇴직했다고 멋진 꿈까지 접어서는 안 된다. 자신감과 긍정적인 태도로 퇴직의 여유로움을 느껴야 한다. 마음속에 자기만의 공간을 마련하고 그 속에 끝없는 도전과 희망의 나무를 심는 것이 필요하다.

 

 나이가 들어가면 현역에서 물러나는 일은 당연한 이치이다. 그렇다고 그냥 주저 않아 죽을 날만 헤아리는 것은 바람직한 태도가 아니다. 나이에 덮여 백수의 아름다움 자체를 스스로 포기해서는 안 된다. 백수가 무엇인가? 백 가지 손을 가지고 최소한 백 가지의 여유를 만들 수 있는 때가 아닐까? 가슴을 펴고 백수의 노래를 불러보자. 그것이 진정 명예퇴직자의 영예이다.


  1. 야매 부부?

    지금은 오로지 장애인사역(밀알)을 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목회를 하면서 가정 사역을 하며 많은 부부를 치유했다. 결혼을 하고 마냥 행복했다. 먼저는 외롭지 않아서 좋았고 어여쁘고 착한 아내를 만났다는 것이 너무도 신기하고 행복했다. 하지만 허니문이...
    Views34500
    Read More
  2. 끝나기 전에는 끝난 것이 아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평탄한 길만 가는 것이 아니다. 험산 준령을 만날 때도 있고 무서운 풍파와 생각지 않은 캄캄한 밤을 지날 때도 있다. 그런 고통의 시간을 만날 때 사람들은 좌절한다. “이제는 끝이라”고 생각하고 포기 해 버린다. 이 땅에는 성...
    Views35355
    Read More
  3. 상큼한 백수 명예퇴직

    부지런히 일을 하며 달리는 세대에는 쉬는 것이 작은 소망이다. ‘언제나 일에서 자유로워져서 쉴 수 있을까?’ 젊은 직장인들의 한결같은 하소연이다. 해서 내 오랜 친구는 50에 접어들며 이런 넋두리를 했다. “재철아, 난 일찍 은퇴하고 싶...
    Views34877
    Read More
  4. 봄날은 간다

    봄은 보여서 봄이다. 겨울의 음산한 기운에 모든 것이 눌려 있다가 대기에 따스한 입김이 불기 시작하면 곳곳에서 생명이 움트기 시작한다. 숨어있던 모든 것들이 서서히 존재를 드러내는 것이다. 실로 봄은 모든 것을 보게 한다. 아지랑이의 어른거름이 아름...
    Views35331
    Read More
  5. 어린이는 "얼인"이다!

    5월은 가정의 달이요, 5일은 어린이 날이다. “어린이날”을 손꼽아 기다리던 때가 있었다. 어린이날은 왠지 모든 면에서 너그러웠기 때문이다. 어른들도 야단치는 것을 그날만은 자제하는 듯 했다. 화려하진 않았지만 어린이날은 우리에게 꿈을 주...
    Views36994
    Read More
  6. 장모님을 보내며

    수요일 오후 급보가 날아들었다. 근간 몇 년 동안 숙환으로 고생하시던 장모님이 하나님의 부름을 받은 것이다. 난감한 것은 월요일에 중요한 행사를 앞두고 있었다. 장모님이기에 한국에 나가긴 해야 하는데 너무도 부담스러웠다. 월요일 뉴욕에서 열리는 행...
    Views36801
    Read More
  7. No Image

    아빠, 내 몸이 할머니 같아

    장애인사역을 하면서 가장 가슴이 아플 때는 희귀병을 앓는 장애인을 만날 때이다. 병명도 원인도 모른 채 고통당하는 아이를 바라보는 부모와 가족들은 커다란 멍에를 지고 가는 듯 한 고통을 감내해야만 한다. 2개의 희귀질병 앓고 있는 김새봄 양. 대학입...
    Views34898
    Read More
  8. 혹시 중독 아니세요?

    사람은 누구나 무엇엔가 사로잡혀 산다. 문제는 “얼마나 바람직한 것에 이끌려 사느냐?” 하는 것이다. 사로잡혀 사는 측면이 부정적일 때 붙이는 이름이 있다. 바로 중독이다. 중독이란 말이 들어가면 어떤 약물, 구체적인 행동을 통제할 수 없어...
    Views37718
    Read More
  9.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니다

    봄이 성큼 다가서고 있다. 미주 동부는 정말 아름답다. 무엇보다 사계절이 뚜렷한 것이 커다란 매력이다. 서부 L.A.를 경험한 나는 처음 필라델피아를 만났을 때에 숨통이 트이는 시원함을 경험했다. 계절은 인생과 같다. 푸릇푸릇한 봄 같은 시절을 지내면 ...
    Views37996
    Read More
  10. 가위, 바위, 보 인생

    누구나 살아오며 가장 많이 해 온 것이 가위 바위 보일 것이다. 누가 어떤 제의를 해오던 “그럼 가위 바위 보로 결정하자”고 손을 내어민다. 내기를 하거나 순서를 정할 때에도 사람들은 손가락을 내어 밀어 가위 바위 보를 한다. 모두를 승복하...
    Views40926
    Read More
  11. 절단 장애인 김진희

    인생을 살다보면 벼라 별 일을 다 겪게 된다. 영화나 드라마에나 나올법한 일이 현실로 닥쳐올 때에 사람들은 흔들린다. 그것도 불의의 사고로 뜻하지 않은 장애를 입으면 당황하고 좌절한다. 나처럼 아예 갓난아이 때 장애를 입은 사람은 체념을 통해 현실을...
    Views38740
    Read More
  12. 별밤 50년

    우리는 라디오 세대이다. 당시 TV를 소유한 집은 부유의 상징일 정도로 드물었다. 오로지 라디오를 의지하며 음악과 드라마, 뉴스를 접하며 살았다. 내 삶을 돌아보면 가장 고민이 많았던 때가 고교시절이었던 것 같다. 그때 다정한 친구처럼 다가온 것이 심...
    Views36052
    Read More
  13. 아이가 귀한 세상

    우리가 어릴 때는 아이들만 보였다. 어디를 가든 아이들이 바글바글했다. 한 반에 60명이 넘는 학생이 오밀조밀 앉아 수업을 들어야만 하였다. 복도를 지날 때면 서로를 비집고 지나갈 정도였다. 그리 경제적으로 넉넉할 때가 아니어서 대부분 행색은 초라했...
    Views40422
    Read More
  14. 동화처럼 살고 싶다

    사람은 누구나 가슴에 동화를 품고 산다.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평생 가슴에 담고 싶은 나만의 동화가 있다. 아련하고 풋풋한 그 이야기가 있기에 사람은 나이가 들어도 늙지 않는다. 나이가 들면 저절로 철이 나고 의젓한 인생을 살줄 알았다. 하지만 나이...
    Views37637
    Read More
  15. 환상통(幻想痛)

    교통사고나 기타의 질병으로 신체의 일부를 절단한 사람들에게 여전히 느껴지는 통증을 환상통이라고 한다. 이미 절단되었기에 통증은 사라졌을 법한데 실제로 그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다. 통증뿐 아니라 가려움증도 있고 스멀거리기도 한단다. 절단 ...
    Views42712
    Read More
  16. 종소리

    세상에 모든 존재는 소리를 가지고 있다. 살아있는 것만이 아니라 광물성도 소리를 낸다. 소리를 들으면 어느 정도 무엇인지 알아차리게 되어 있다. 조금만 귀기우려 들어보면 소리는 두 개로 갈라진다. 무의미하게 나는 소리가 있는가하면 가슴을 파고드는 ...
    Views40962
    Read More
  17. 누구나 가슴에는 자(尺)가 들어있다

    사람들은 다 자신이 공평하다고 생각한다. 누구보다 의롭고 정직하게 산다고 자부한다. 사건과 사람을 만나며 아주 예리하고 현란한 말로 결론을 내린다. 왜 그럴까? 성정과정부터 생겨난 자신도 모르는 자(尺) 때문이다. ‘왜 저 사람은 매사에 저렇게 ...
    Views43914
    Read More
  18. 땅이 좋아야 한다

    가족은 토양이고 아이는 거기에 심기는 화초이다. 토양의 질에 따라 화초의 크기와 향기가 달라지듯이 가족의 수준에 따라 아이의 크기가 달라진다. 왜 결혼할 때에 가문을 따지는가? 집안 배경을 중시하는가? 사람의 성장과정이 너무도 중하기 때문이다. 미...
    Views41511
    Read More
  19. 목사님, 다리 왜 그래요?

    어린아이들은 순수하다. 신기한 것을 보면 호기심이 발동하며 질문하기 시작한다. 아이는 솔직하다. 꾸밈이 없다. 하고 싶은 말을 거리낌 없이 내뱉는다. 상황과 분위기에 관계없이 아이들은 속내를 배출한다. 그래서 나는 아이들이 무섭다. 한국에서 목회를 ...
    Views39642
    Read More
  20. 가상과 현실

    고교시절 가슴을 달뜨게 한 노래들이 멋진 사랑에 대한 로망을 품게 했다. 70년대 포크송이 트로트의 흐름을 잠시 멈추게 하며 가요판세를 흔들었다. 템포가 그리 빠르지 않으면서도 서정적인 가사는 청춘의 발걸음을 멈추게 만드는 묘한 매력을 지니고 있었...
    Views4334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