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9.07.28 14:40

쾌락과 기쁨

조회 수 391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Happiness.jpg

 

  사람들은 만나면 인사를 한다. “요즈음 재미 좋으세요?” 재미, 복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한마디로 사는 맛이 있느냐는 것이다. 대답은 갈라진다. “그저, 그렇지요.” 내지는 , 좋습니다.” 사실 사람은 재미를 찾아 길을 떠나는 나그네와 같다. 처음 겪어보는 일, 찾아가는 곳, 처음 만나는 사람들을 통해 사람은 재미를 느끼며 살고 싶어한다. 그래서 따라붙는 수식어가 이다. 첫 사랑, 첫 순간, 첫 연애, 첫 직장, 첫 경험 등. 풋풋하고 어설프게 무엇인지도 모르고 지나쳐버리는 것이 이다. 그러면서 나이가 들어가며 되뇌이고 곰 씹어보며 그리워하는 것도 이다. 인생 참 아이러니하다.

 

  처음은 그리도 아름답고 짜릿하건만 반복되고 익숙해지면 사람은 매력을 잃어버리고 만다. 절경을 찾아 탄성을 지르지만 다음에 가보면 그 감흥이 일어나지 않는다. 처음 먹어보는 별식에 놀란 눈을 치켜뜨지만 다음에 그 음식을 먹을 때는 그 맛이 안난다. 우리가 어릴때는 계란이 귀하고 귀했다. 이제는 싸고 흔한 것이 달걀이다. 찜을 하고 후라이를 해도 어릴 때 먹던 그 맛이 안 나는 것은 왜일까? 만남이 아름다워 사랑을 나누고 부부가 되지만 세월이 깊어지며 이내 밋밋한 삶을 이어간다. 이것이 인간의 속성일까?

 

  사람은 누구나 기쁨을 추구하며 산다. 좀더 기쁘게 살기 위해 공부를 하고 돈을 번다. 멋진 남성(여성)을 만나 연애를 하고 가정을 꾸민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본적인 욕구가 채워지면 더 자극적이고 깊은 쾌락을 탐닉하려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완벽한 환경에도 만족하지 못하고 선악과를 범한 인류시조들에게서 흘러들어온 무서운 유전자이다. 주어진 것에 만족하지 못할 때 사람은 기쁨의 경계선을 넘어 쾌락에 몸과 마음을 던지게 된다. 일상의 소소한 것에도 감사할 줄 알고 기쁨을 누리고 사는 것이 그래서 소중하다.

 

  한국에서 연이어 벌어지는 사건들을 대하며 충격을 받는다. 공중파 방송 뉴스를 진행하던 메인 앵커가. 상당한 연봉을 받으며 인기를 누리던 프로농구 스타 선수가, 팬들의 사랑을 받으며 승승장구하던 연예인이, 법을 집행하고 판결해야 하는 판사까지 욕망을 절제하지 못하다가 나락으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며 탄식이 나온다. 그 자리에 가기까지 얼마나 많은 노고와 땀과 눈물, 희생이 있었을까? 그 지위나 풍겨지는 인상을 보면 도저히 그런 일을 할 사람처럼 보이지 않는다. 왜 그들은 쾌락을 추구하다 무너지는 것일까?

 

  들어가 보면 채워지지 않는 목마름이 있는 것을 발견한다. 어린 시절의 상처가 그래서 무섭다. 사랑받지 못하고 그래서 위로받으려고 행하던 습관이 나이가 들어서도 그를 옥죄이며 끌고 다니는 것이다. 사춘기에나 행하던 요상한 짓(?)을 나이가 들어서도 버리지 못한다. 쾌락의 기억이 뇌에 저장되어 긴장을 풀면 여지없이 그곳으로 방향을 잡게 만든다. 쾌락에 몸을 던지는 순간부터 그들이 쌓아놓은 모든 명성과 명예는 모래성처럼 처참하게 무너져 버렸다.

 

  심리학자 칼 융은 행복을 PleasureHappiness, Joy로 설명한다. ‘Pleasure’는 감각적인 쾌락이고, ‘Happiness’는 정신적으로 기분이 좋은 상태, ‘Joy’는 깊은 깨달음의 즐거움을 뜻한다. Pleasure는 케이크를 먹는 것과 같다. 첫 한 입은 정말 맛있다. 그런데 열 입쯤 먹으면 질린다. ()도 그렇고, 마약도 그렇다. 모든 즐거움이 다 그렇다. 그것을 넘어 참 기쁨(Happiness, Joy)에 이르려면 전제가 있어야 한다. 바로 고통이다. 깊은 고통을 통과하며 얻는 Joy가 진정한 기쁨이다. 왜냐하면 밖이 아니라 내 안에서 오기 때문이다.

 

  쾌락과 기쁨은 다르다. 쾌락은 순간이다. 결코 길게 간직할 수 없는 약점이 있다. 결국 그 농도를 점점 높여야 하고 권태와 절망으로 전락시키고 만다. 진정한 기쁨은 내 자존감을 높여준다. 하지만 쾌락은 그 순간이 지나면 처절한 아픔과 초라함이 엄습한다. 표현하기 힘든 절망감까지 찾아든다. 아픔을 넘어서서 누리는 평안, 성취감은 내 삶을 고상하게 하고 참 기쁨을 안겨준다. 단조롭던 음악이 대교향곡이 되고 흑백 사진이 총천연색 사진이 되는 것이다.

 


  1. 밤나무 & 감나무

    나무마다 생긴 모양도 다르고 맺는 열매도 다양하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생김새가 다르듯 성향도 다 각각이다. 그것이 사람의 매력이다. 나무와 비교해 보자. 밤나무는 밤나무대로, 감나무는 나름대로 개성과 멋을 풍기며 자라고 열매를 맺는다. 밤나무는 ...
    Views36020
    Read More
  2. 장모님을 보내며

    수요일 오후 급보가 날아들었다. 근간 몇 년 동안 숙환으로 고생하시던 장모님이 하나님의 부름을 받은 것이다. 난감한 것은 월요일에 중요한 행사를 앞두고 있었다. 장모님이기에 한국에 나가긴 해야 하는데 너무도 부담스러웠다. 월요일 뉴욕에서 열리는 행...
    Views36131
    Read More
  3. 어린이는 "얼인"이다!

    5월은 가정의 달이요, 5일은 어린이 날이다. “어린이날”을 손꼽아 기다리던 때가 있었다. 어린이날은 왠지 모든 면에서 너그러웠기 때문이다. 어른들도 야단치는 것을 그날만은 자제하는 듯 했다. 화려하진 않았지만 어린이날은 우리에게 꿈을 주...
    Views36376
    Read More
  4. 죽음과의 거리

    지난 주간 우리는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만 했다. 젊은 목회자 가정에 불어 닥친 교통사고 소식에 모두는 말을 잃었다. 얼마나 큰 사고였으면 온 식구가 병원에 실려가야했고, 그 충격으로 세 자녀 중에 막내 딸은 결국 숨을 거두고 말았다. 겨우 5살 나이에...
    Views36867
    Read More
  5. 동화처럼 살고 싶다

    사람은 누구나 가슴에 동화를 품고 산다.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평생 가슴에 담고 싶은 나만의 동화가 있다. 아련하고 풋풋한 그 이야기가 있기에 사람은 나이가 들어도 늙지 않는다. 나이가 들면 저절로 철이 나고 의젓한 인생을 살줄 알았다. 하지만 나이...
    Views37086
    Read More
  6. 혹시 중독 아니세요?

    사람은 누구나 무엇엔가 사로잡혀 산다. 문제는 “얼마나 바람직한 것에 이끌려 사느냐?” 하는 것이다. 사로잡혀 사는 측면이 부정적일 때 붙이는 이름이 있다. 바로 중독이다. 중독이란 말이 들어가면 어떤 약물, 구체적인 행동을 통제할 수 없어...
    Views37090
    Read More
  7.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니다

    봄이 성큼 다가서고 있다. 미주 동부는 정말 아름답다. 무엇보다 사계절이 뚜렷한 것이 커다란 매력이다. 서부 L.A.를 경험한 나는 처음 필라델피아를 만났을 때에 숨통이 트이는 시원함을 경험했다. 계절은 인생과 같다. 푸릇푸릇한 봄 같은 시절을 지내면 ...
    Views37523
    Read More
  8. 핸드폰 없이는 못살아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의 손에는 핸드폰이 들려 있는 시대가 되었다. 모든 세대를 초월하여 핸드폰 없이는 사는 것 자체가 의미 없는 세상이 된 것 같다. 눈을 뜨면서부터 곁에 두고 사는 새로운 가족기기가 탄생한 것이다. 이제는 기능도 다양해져서 통화영역...
    Views37703
    Read More
  9. 절단 장애인 김진희

    인생을 살다보면 벼라 별 일을 다 겪게 된다. 영화나 드라마에나 나올법한 일이 현실로 닥쳐올 때에 사람들은 흔들린다. 그것도 불의의 사고로 뜻하지 않은 장애를 입으면 당황하고 좌절한다. 나처럼 아예 갓난아이 때 장애를 입은 사람은 체념을 통해 현실을...
    Views38120
    Read More
  10. 백년을 살다보니

    새해 첫 KBS 인간극장에 철학교수 김형석 교수가 등장했다. 평상시 즐겨보는 영상은 아니지만 제목이 눈에 들어왔고, 평소 흠모하던 분의 다큐멘터리이기에 집중해서 보았다. 김 교수는 이미 “백년을 살다보니”라는 책을 97세에 집필하였다. 이런...
    Views39024
    Read More
  11. 목사님, 다리 왜 그래요?

    어린아이들은 순수하다. 신기한 것을 보면 호기심이 발동하며 질문하기 시작한다. 아이는 솔직하다. 꾸밈이 없다. 하고 싶은 말을 거리낌 없이 내뱉는다. 상황과 분위기에 관계없이 아이들은 속내를 배출한다. 그래서 나는 아이들이 무섭다. 한국에서 목회를 ...
    Views39034
    Read More
  12. 쾌락과 기쁨

    사람들은 만나면 인사를 한다. “요즈음 재미 좋으세요?” 재미, 복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한마디로 사는 맛이 있느냐는 것이다. 대답은 갈라진다. “그저, 그렇지요.” 내지는 “예, 좋습니다.” 사실 사람은 재미를 찾아 ...
    Views39161
    Read More
  13. 아이가 귀한 세상

    우리가 어릴 때는 아이들만 보였다. 어디를 가든 아이들이 바글바글했다. 한 반에 60명이 넘는 학생이 오밀조밀 앉아 수업을 들어야만 하였다. 복도를 지날 때면 서로를 비집고 지나갈 정도였다. 그리 경제적으로 넉넉할 때가 아니어서 대부분 행색은 초라했...
    Views39866
    Read More
  14. 가위, 바위, 보 인생

    누구나 살아오며 가장 많이 해 온 것이 가위 바위 보일 것이다. 누가 어떤 제의를 해오던 “그럼 가위 바위 보로 결정하자”고 손을 내어민다. 내기를 하거나 순서를 정할 때에도 사람들은 손가락을 내어 밀어 가위 바위 보를 한다. 모두를 승복하...
    Views40311
    Read More
  15. No Image

    새벽송을 그리워하며

    어느새 성탄을 지나 2018년의 끝이 보인다. 기대감을 안고 출발한 금년이 이제는 과거로 돌아갈 채비를 서두르고 있는 것이다. 지난 토요일(22일) 첼튼햄 한아름마트 앞에서 구세군남비 모금을 위한 자그마한 단독콘서트를 가졌다. 내가 가진 기타는 12줄이다...
    Views40337
    Read More
  16. 여자가 나라를 움직일 때

    내가 결혼 했을 즈음(80년대) 대부분 신혼부부들의 소망은 떡두꺼비 같은 아들을 낳아 부모님께 안겨드리는 것이었다. 이것은 당시 최고 효의 상징이었다. 그런 면에서 나는 딸 둘을 낳으면서 실망의 잔을 거듭 마셔야 했다. 모시고 사는 어머니의 표정은 서...
    Views40374
    Read More
  17. 종소리

    세상에 모든 존재는 소리를 가지고 있다. 살아있는 것만이 아니라 광물성도 소리를 낸다. 소리를 들으면 어느 정도 무엇인지 알아차리게 되어 있다. 조금만 귀기우려 들어보면 소리는 두 개로 갈라진다. 무의미하게 나는 소리가 있는가하면 가슴을 파고드는 ...
    Views40385
    Read More
  18. 땅이 좋아야 한다

    가족은 토양이고 아이는 거기에 심기는 화초이다. 토양의 질에 따라 화초의 크기와 향기가 달라지듯이 가족의 수준에 따라 아이의 크기가 달라진다. 왜 결혼할 때에 가문을 따지는가? 집안 배경을 중시하는가? 사람의 성장과정이 너무도 중하기 때문이다. 미...
    Views40978
    Read More
  19. No Image

    별들의 고향으로!

    2013년 9월, 우리 시대 최고 소설가인 최인호 작가가 세상을 떠났다. 더벅버리를 하고 청년문화를 외치며 명동 뒷골목을 누비고 다닐때에 그는 진정 우리의 우상이었고 젊은 가슴을 풍성하게 한 시대의 작가였다. 서글서글한 인상과 구성진 목소리가 친근감을...
    Views40999
    Read More
  20. No Image

    월급은 통장을 스칠 뿐

    서민들에게 월급봉투는 생명 줄과 같다. 애써 한 달을 수고한 후에 받는 월급은 성취감과 새로운 꿈을 안겨준다. 액수의 관계없이 월급봉투를 받아드는 순간의 희열은 경험해 본 사람만 안다. 세대가 변하여 이제는 온라인으로 급여를 받는다. 편리할지는 모...
    Views4109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