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9.11.01 15:10

그래도 살아야 한다

조회 수 329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자살.jpg

 

 지난 14.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격이다. 설리의 자살은 그 여파가 만만치 않다. 이른바 베르테르 효과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2003, 홍콩 배우 장국영이 자살하자 9시간 만에 그의 팬 6명이 자살했고, 2008, 최진실과 안재환이 자살한 그해 10월의 자살률은 월별 자살률보다 3배나 높았다. 이처럼 자살은 전염성이 강하다.

 

 살면서 자살 충동을 전혀 받지 않고 사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나는 생후 2살에 홍역을 앓으며 소아마비 장애인이 되었다. 나이가 들수록 장애의 무게는 점점 나를 짓눌러왔다. 돌아보면 정말로 삶을 포기하고 싶을때가 부지기 수였다. 전혀 길이 보이지 않고 아무리 밀어도 끄떡하지 않는 벽을 마주할 때도 있었다. 하지만 이를 악물고 버텼고 신앙을 가진 이후에는 삶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지면서 장애의 아픔을 견뎌낼 수 있었다. 앞뒤좌우를 둘러보는 시각이 있는 사람은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가 없다. 떠난 자보다 남은 자의 아픔을 생각한다면 자살을 할 수가 없는 것이다.

 

 내가 어린 시절에는 모두가 어려운 시대였다. 반면에 이웃 간의 관계가 끈끈했고 가정이 모든 것을 품었다. 하지만 80년대에 들어서며 다원화 시대를 맞은 한국은 여러 분야에 약진을 이뤄내며 계층의 불균형이 생기기 시작했다. 경제가 나아진 것은 분명했지만 반면 정신위생은 점점 약화 되고 사회경쟁은 심화되어갔다. 핵가족화가 가속화되면서 삶의 응집력이 무너졌다. 상대적인 박탈감과 스트레스로 인한 면역체계의 붕괴, 사회 가치체계가 무너지면서 자살이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작년 한 해만도 자살수가 13,000여 명에 이른다. 매일 40명의 사람들이 삶을 포기하고 있는 것이다. 분명 우리 사회는 심리적 건강 척도가 위험수위에 이르렀다.

 

 안타까운 것은 교회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이다. 자살을 가장 큰 죄로 보는 교회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관심을 갖고 있을까? 또한 생명의 소중함과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하여 어떤 교육을 하고 있는 것일까? 나타난 통계를 보면 묘하게도 일반인들과 크리스천의 자살률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현실이 이렇다면 이제 교회와 목회자는 자살 예방에 초점을 맞춰야 할 때이다. 무엇보다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워 삶의 의미를 깨닫게 해야 하고 인생 여정에서 맞이하는 위기에 대처하는 내면세계의 메커니즘을 구축하게 해야 한다.

 

  삶을 극단적으로 포기한 사람을 무조건 지옥에 갔다고 말할 것이 아니라, 교회가 생명공동체로서 그들을 이해하고 품지 못했음을 성찰해야 한다. 무엇보다 남은 유족들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품는 돌봄의 목회로 나아가야 한다. 한 사람의 극단적 선택은 최소한 8명에게 큰 충격을 준다고 한다. 한 번 극단적 선택을 하기까지 약 25번의 준비가 진행된다고 한다. 이런 현실을 보면 목회자의 헌신과 그리스도인들의 배려가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

 

 심리학자 조이너는 <왜 사람들은 자살하는가>라는 책을 통해 자살을 실행하는 3가지 심리 조건에 대해 언급한다. 첫째는 사회적으로 고립되었다고 느끼는 마음(상실감), 둘째는 스스로 타인에게 짐이 된다고 생각하는 무능감, 셋째는 죽음의 고통을 받아들일 만한 육체적 심리적 조건들이었다. 조이너는 이 3가지 심리 조건 중 단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으면, 절대로 자살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나는 장애인 사역자이다. 그래서인지 다운타운 길목에서 만나는 노숙자들을 보면 울분부터 올라온다. 멀쩡한 사람이 풀린 눈으로 구걸을 하는 모습이 연민을 넘어 분노로 다가온다. 이 땅에는 불편한 몸을 이끌고도 살아보려 몸부림치는 분들이 많다. 한국사회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자살이라는 특급열차를 타고 있다. 이 열차를 멈추게 하기위해 기도하며 힘을 모아야 할때이다.


  1. 생각의 시차

    한국의 지인에게 전화를 할라치면 반드시 체크하는 것이 있다. ‘지금, 한국은 몇시지?’ 시차이다. 같은 지구별에 사는데 미국과 한국과는 13시간이라는 차이가 난다. 여기는 밤인데 한국은 대낮이고, 한창 활동하는 낮이면 반대로 한국은 한밤중...
    Views32625
    Read More
  2. 시각장애인의 찬양

    장애 중에 눈이 안 보이는 어려움은 가장 극한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 중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존경의 대상이 될 만한 인물들이 속속 배출된 것을 보면 고난은 오히려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끈질긴 내성을 키워내는 것 같다. 한국이...
    Views32290
    Read More
  3.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31937
    Read More
  4.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31767
    Read More
  5.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31762
    Read More
  6.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31697
    Read More
  7. 부부의 사랑은~

    아이들은 혼자서도 잘 논다. 그러다가 친구를 알고 이성에 눈을 뜨며 더 긴밀한 관계를 알아차리게 된다. 사춘기에 다가서는 이성은 등대처럼 영롱하게 빛으로 파고든다. 청춘에 만난 남 · 녀는 로맨스와 위안, 두 가지만으로 충분하다. 눈을 감고 내 ...
    Views31135
    Read More
  8.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30970
    Read More
  9.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30712
    Read More
  10.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30664
    Read More
  11. 한센병은 과연 천형(天刑)일까?

    병(病)의 종류는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의학이 발달하면 할수록 희귀병은 늘어만 간다. 지금 우리는 듣도보도 못한 바이러스로 인해 삶의 터전이 송두리째 무너지고 있다. 옛날에 가장 무서운 병은 “문둥병”이었다. 표현이 너무 잔인하...
    Views30597
    Read More
  12.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30419
    Read More
  13.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30412
    Read More
  14.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30186
    Read More
  15. 왜 남자를 “늑대”라고 하는가?

    나이가 든 여성들은 잘생기고 듬직한 청년을 보면 “우리 사위 삼았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한다. 그런데 나이가 든 남성들은 예쁘고 매력적인 자매를 보면 다른 차원에서의 음흉한 생각을 한다고 한다. 물론 점잖은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있으시...
    Views30090
    Read More
  16.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30012
    Read More
  17.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9324
    Read More
  18. 겨울이 전하는 말

    겨울은 춥다, 길다. 지루하다. 하지만 그 겨울이 전해주는 말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깊은 내면으로 빨려 들어가는 마력이 있다. 겨울은 해를 바꾸는 마술을 부린다. 열심히 살아온 정든 한해를 떠나보내게 하고 신선한 새해를 맞이하는 길목이 겨울이다. 남미...
    Views29270
    Read More
  19.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28973
    Read More
  20. 어쩌면 오늘일지도

    전화벨이 울렸다. 뉴욕의 절친 목사 사모였다. “어쩐 일이냐?”고 물을 틈도 없이 긴박한 목소리가 전해져 왔다. “지금 목사님이 코로나바이러스 양성판정을 받고 상태가 악화되어 맨하탄 모 병원 중환자실에 들어가셨어요.” 앞이 하...
    Views2879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