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5.06.20 12:04

매너(manner)

조회 수 31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가 대학을 다니던 시절, 눈길을 끌던 것은 단연 CC(Campus Couple)였다. 같은 학교를 다니며 교제하는 이들을 보며 부럽기도 했지만, 또 한편으로는 부담스럽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창 공부해야 할 시기에 누군가를 의식하고 챙긴다는 것이 그리 만만한 일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렇게 교제하던 커플이 결국 부부가 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았다.

 

 요즘은 ‘BC’라는 말이 생겼다. ‘복지관 커플(Bokji-gwan Couple)’을 뜻하는 신조어다. 노인들이 자주 모이는 복지관에서 생겨나는 커플을 이르는 말이다. 남녀 간의 정은 나이가 들어도 여전해서, 사랑은 마치 재채기처럼 숨길 수 없다. 흥미로운 통계가 있다. 남성 노인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할아버지는 3위가 돈 많은 할아버지, 2위가 잘 생긴 할아버지, 그리고 대망의 1위는 매너 좋은 할아버지다. 반면 여성 노인들 사이에서는 예쁜 할머니가 단연 1위다. 남자들은 여전히 외모지상주의자들인 걸까?

 

 인류의 발전은 예절의 발전과 비례한다. 이는 곧 인간의 의식 수준이 성숙해질수록 예절 역시 함께 성장한다는 의미이다. 예절은 사람이 사람답게 행동하기 위한 기본 질서이며 동양에서는 이를 ‘예의범절’이라 불렀다. 우주는 놀라울 만큼 질서정연하게 움직인다.

 

 태양이 가는 길이 있다. 이를 ‘황도’라고 한다. 지구에서 바라볼 때 태양이 1년 동안 별들 사이를 지나가는 경로이다. 지구의 길도 있다. 공전 궤도라 부른다. 바람이 가는 길, 물이 흐르는 길이 있으며, 구름이 움직이는 길도 있다.

 

 주먹이 가는 길이 있으니, 그것이 바로 태권도다. 붓이 가는 길을 서도(書道)라고 한다. 마시는 차가 가는 길, 그것은 다도(茶道)이다. 이렇듯 모든 것에 길이 있다면, 사람이 가야 할 길도 있지 않을까? 바로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다. 부모로서, 자녀로서, 남자로서, 여자로서 지켜야 할 길이 있고, 어린이로서, 청소년으로서, 청년 · 장년 ·중년 · 노년으로서 각각 지녀야 할 삶의 예절과 도리가 있는 것이다.

 

 밥을 먹을 때에도 요령이 있고, 화장실을 사용할 때의 예절이 있다. 친구들과 지낼 때의 예의가 있고, 어른들과 함께 있을 때 지켜야 할 도리가 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요즘은 그 길을 잊은 듯하다. 한국에 갔을 때, 이른 아침 지하철 안에서 누가 보든 말든 보란듯이 짙은 화장을 하는 여성을 보고 적잖이 충격을 받았다. 내가 시대에 뒤떨어진 ‘꼰대’이기 때문일까?

 

 아주 오래 전, 동양의 어른들도 이러한 문제 의식을 가졌던 것 같다. 그래서 예절의 기준을 세우기 위해 『예기(禮記)』라는 책을 만들었고, 나아가 『소학(小學)』이라는 책으로 집대성하였다. 이 책을 정리한 주희는 58세, 유청지는 49세였다.

 

 서양에서는 어땠을까? 매너와 에티켓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기 시작한 것은 르네상스 시대이다. 16세기 인문학자 에라스무스는 『소년들을 위한 예절론』이라는 책을 통해 매너와 예절 교육의 필요성을 설파했다. 이러한 문화는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을 중심으로 집대성되었다.

 

 메디치 가(家)는 세계 각지에서 책을 수집했고, 결국 자신들만의 도서관을 만들 정도로 지식과 정보를 집중시켰다. 그 안에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예법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말하는 법, 걷는 법, 앉고 서는 법, 먹는 법, 마시는 법, 심지어 포크를 사용하는 매너까지. 당시 유럽 사람들은 손으로 식사를 했지만 최초로 포크를 사용한 이들은 메디치가였다. 이것이 프랑스 궁정으로 전해지며 에티켓의 본고장은 결국 프랑스가 되었다.

 

 옛사람들은 공부의 기본으로 ‘소쇄응대(瀟灑應對), 진퇴지절(進退之節)’을 강조했다. 말과 행동을 맑고 산뜻하게 하고, 사람을 공손히 맞이하며, 나아가고 물러날 줄 아는 분별이 있는 태도. 이런 공부가 빠진 지식은 모래 위에 세운 집과도 같다고 했다.

 

 오늘날 우리가 매너 교육, 예절 강의, 에티켓 수업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이유는 간단하다. 매너는 개인과 사회를 행복으로 이끄는 진정한 길이기 때문이다. 어디에서나 환영받고 나 자신을 행복하게 하려면 매너있는 인격을 갖추어야 한다.

 


  1. No Image

    재철아, 힘들었지?

    누구나 모교가 있다. 스승과 친구들의 추억 덩어리인 애교심(愛敎心)은 본능적이다. 나는 총신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대학은 4년동안 사당동 캠퍼스로 다녔지만 하필 신학대학원에 입학을 할 즈음에는 경기도 양지(용인)에 새 캠퍼스를 지으면서 먼 길...
    Views2675
    Read More
  2. No Image

    서라벌 추억

    설마설마 했는데, 결국 폐업 소식이 전해졌다. 얼마 전부터 “서라벌이 문을 닫는다는데”하는 입소문이 번져 갈 때도 “누가 그래? 서라벌이 그럴리가?”했다. 지난 3월. 지인과 그곳에서 식사하며 마침 서빙하는 가족에게 직접 물어도 ...
    Views3154
    Read More
  3. No Image

    매너(manner)

    우리가 대학을 다니던 시절, 눈길을 끌던 것은 단연 CC(Campus Couple)였다. 같은 학교를 다니며 교제하는 이들을 보며 부럽기도 했지만, 또 한편으로는 부담스럽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창 공부해야 할 시기에 누군가를 의식하고 챙긴다는 것이 그리 만만한...
    Views3118
    Read More
  4. No Image

    사랑 참 어렵다

    젊은 부부가 있었다. 누구나 그렇듯이 사랑으로 만났고 사랑해서 결혼을 했다. 하지만 결혼생활은 그리 행복하지 못했다. 세월이 흐르고 아이들이 끈이 되어 어느새 십수년이 지나갔다. 아내에게 병이 찾아왔고 ‘시름시름’ 앓더니 세상을 떠나고 ...
    Views3064
    Read More
  5. No Image

    자신을 통제하라

    사람의 성향을 다양하게 나눌 수 있지만 크게 ‘이성적이냐? 감성적이냐?’로 분류할 수 있다. 요사이 유행하는 MBTI로 하면 감성적인 성격은 F로. 이성적인 사람은 T로 시작된다. 나는 감성적인 성향이 강하다. 목소리가 크고 솔직해 보이지만 들...
    Views3262
    Read More
  6. No Image

    지금 시작해도 괜찮아

    봄이 깊어가고 있다. 이제 곧 그 손길은 더운 여름 기운을 끌어오겠지. 봄은 보여서 봄이다. 겨울내내 숨겨져 있던 대지에 따스한 기운이 스며들며 여기저기서 무언가 꿈틀대기 시작한다. 꽁꽁 얼어붙어 고요하던 산골짜기에 요란한 시냇물 소리가 울려퍼지기...
    Views2990
    Read More
  7. No Image

    천천히 씹어서 공손히 삼켜라

    가끔 가족들이 모여 식사를 한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다. 아이들이 콜라를 한모금 마시고는 그만이다. 내가 말한다. “아니 한번 땄으면 끝까지 마셔야지. 이게 뭐야?” “아니 어때서 그래요. 마시고 싶은 만큼만 먹는거지” 할말...
    Views2950
    Read More
  8.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첫 손자의 산일이 가까워지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아이의 이름을 짓는 일이었다. 오래전 이미 내 아이들의 이름을 지어준 경험이 있어 수월하게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다. 태어날 아이의 부모의 결정이 우선이었기 때문이다. 온 가족이 둘러앉아 장시...
    Views3049
    Read More
  9. No Image

    젖은 베개

    한국에는 34개의 “밀알선교단”이 활동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괄목할 만한 일은 대학마다 “밀알 동아리”가 만들어진 사실이다. 젊은이들의 가슴에 장애인들을 사랑하는 마음을 심는 것처럼 귀한 일도 없다. 오늘은 『이화여대 밀알선...
    Views2979
    Read More
  10. No Image

    신비한 눈의 세계

    나이가 들어가면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신체가 눈이다. 갑자기 눈이 부시고 야간 운전이 어려워지면 대개 백내장이 온 신호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눈 수술은 이제 일반화되어 있다. 20분이면 수술이 끝나고 다들 “시력이 너무 좋아졌다” 말들을 ...
    Views3125
    Read More
  11. No Image

    행복은 어디에?

    마트 푸드코트에 들러 음식을 주문했다. 메뉴가 다양했다. “어떤 것이 맛이 있습니까?” 넌지시 물었다. 퉁명스러운 대답이 흘러 나왔다. 기분이 상했다. 찾아온 손님을 대하는 태도가 아니었다. 돈을 지불하며 한마디 했다. “조금만 부드럽...
    Views2981
    Read More
  12. No Image

    봄비

    비가 내린다. 겨울의 찬 기운에 지쳐버린 나뭇가지를 녹여내며 봄비가 내린다. 조금씩 고운 기침을 하는 꽃나무를 달래듯 타고 내린다. 살아있음의 향기를 온몸으로 피워 올리는 꽃나무를 차분히 적셔간다. 이제 막 깨어나 기쁨에 겨워 잔기침을 하는 나무들...
    Views3254
    Read More
  13. No Image

    불꽃 같은 삶

    한번 밖에 주어지지 않은 인생을 건강하고 평안하게 살고 싶은 소원은 누구에게나 있다. 하지만 장애인들은 태어날때부터 그 소박한 꿈을 접고 살아야 하는 존재이다. 사람은 자신이 경험한 것만 이해한다. 평생 장애를 안고 산다는 것은 결코 만만하지 않다....
    Views3904
    Read More
  14. No Image

    야구의 묘미

    바야흐로 야구의 계절이 왔다. 몹시도 춥고 지루했던 겨울이어서일까? 한국 프로야구는 개막전부터 만석에 구름 관중이 몰려 성황을 이루고 있다. 나는 장애가 있어 그라운드를 누비지 못하는 안타까움이 있지만 구기종목을 좋아한다. 축구, 배구, 탁구 무엇...
    Views3355
    Read More
  15. No Image

    돈이 곧 그 사람이다

    몇 해전, 한국에 갔을 때 일이다. 지인이 별식을 대접한다며 차에 나를 태웠다. ‘도대체 무슨 음식을 사주려나?’ 호기심과 기대감이 스멀스멀 올라왔다. 서울을 벗어나 가평쪽으로 달리던 차는 큰길을 벗어나 논길로 접어들었다. 허름해 보이는 ...
    Views3630
    Read More
  16. No Image

    모닥불과 개미

    러시아의 소설가이며, 1970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솔제니친이 어느날 산보를 하다가 모닥불을 발견한다. 무심코 모닥불 옆에 뒹굴고 있는 썩은 통나무 하나를 불속에 집어넣었다. 안타깝게도 거기에 개미들이 둥지를 틀고 있었다. 처음에는 개미들이 뜨거움...
    Views3909
    Read More
  17. No Image

    앓음에서 알음으로

    인생을 아름답게 보고 아름답게 사는 것, 이보다 더한 축복은 없을 것이다. 독일의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에서 명성을 날리던 ‘강수진 발레리나’의 영상을 접한 적이 있다. 그녀는 매일 새벽 5:30분에 기상하여 스트레칭을 두 시간씩 하고 걸어서 5...
    Views3947
    Read More
  18. No Image

    계란 하나면 행복했던 그때

    지금은 흔하디 흔하지만 내가 어린시절에는 계란이 참 귀했다. 어머니가 5일장에 다녀올 때면 달걀 열 두개가 짚으로 엮은 길다란 꾸러미 속에 가지런히 누워 있었다. 계란은 주로 찜을 해 먹었다. 그래야 온 식구가 고루 먹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을까? 노르...
    Views3884
    Read More
  19. No Image

    자발적 망명, 이민

    미주밀알은 매년 1월 단장컨퍼런스를 가진다. 한해동안 열심을 다해 분주히 사역을 하고 연말에 숨을 고른 후, 새해 사역을 시작하기 전에 전미주 밀알 지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마인드를 함께 하는 것이다. 처음 필라델피아 밀알 단장으로 부임했을때에 내 ...
    Views4703
    Read More
  20. No Image

    이런 목사도 있다

    70년대만 해도 목회자가 교회 수에 비해 현저히 모자랐다. 경제적 어려움은 물론이고 목양자체가 힘든 사역이기에 그랬던 것 같다. 하지만 어디에가든 목사를 존경하는 사회 분위기였다. 하지만 현실은 목회자가 존경받지 못하고 있는 세태가 서글프다. 교회...
    Views470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9 Next
/ 39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