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07.03 11:12

말아톤

조회 수 2268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말아톤.png

 

  장애아동의 삶이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만든 영화제목(2005)이다. 제목이 말아톤인 이유는 초원(조승우)이 일기장에 잘못 쓴 글자 때문이다. 영화 말아톤은 실제 주인공인 자폐장애 배형진이 19세 춘천마라톤 대회에 참가하여 서브쓰리(3시간 완주)를 달성한 과정을 담았다. 난히 마라톤을 좋아하던 아들의 재능을 발견한 어머니 박미경 씨는 아들 배형진을 마라토너로 키워냈고 <달려라! 형진아>라는 수기를 냈는데 책은 말아톤 원작이 되었다.

 

 주인공 초원은 쵸코파이, 짜장면, 얼룩말을 좋아한다. 엄마는 항상 초원이 다리는 백만 불짜리 몸매는 끝내줘요외치며 독려한다. 장애 연기는 고난도에 속한다. 명배우 조승우는 장애아 이상의 연기로 초원을 소화해 냈다. 어머니로 분한 김미숙의 연기도 놀랍기 그지없다. 주인공 윤초원는 다섯 살의 지능을 가진 자폐 청년이다. 어린 시절의 윤초원은 잠시 엄마를 잃어버려 정신적으로 큰 트라우마를 받게 된다. 주변에서는 병원에 보내라고 하지만 어머니 경숙(김미숙)은 아들의 재능을 발견하고 마라톤에 매진하게 한다. 초원이는 특별한 기억력은 좋지만 한 가지만 반복하는 증세가 있다.

 

  그러던 중 장애인 학교에 체육 교사가 새로 부임하게 된다. 그는 전직 마라톤 선수 손정욱이다. 음주운전을 한 후 사회봉사 명령을 받고 이 학교에 오게 된 것이다. 그는 마지못해 훈련을 하는척 만 한다. 가르치기도 귀찮아서 운동장 100바퀴를 뛰라고 해 놓고는 잠이 들어버렸다. 그런데 깨어보니 정말로 초원이 100바퀴를 돌고 있는 것이 아닌가? 감격한 교사는 초원에게 제대로 마라톤을 가르치기 시작한다. 지구력은 좋지만 속도(페이스)조절에 실패하던 초원의 약점을 집중 지도하게 된다.

 

  우연히 어머니가 아들의 훈련과정을 보게 된다. 대충 가르치는 코치와 말다툼이 벌어졌고 코치는 사랑과 집착을 착각하지 말라는 지나친 말을 내뱉는다. 그 후, 지하철역에서 초원이 얼룩말 무늬의 치마를 입은 여자의 엉덩이를 만지는 사건이 일어난다. 남자친구는 화가 나서 무지막지하게 폭행을 하는데 초원은 맞으면서 내 아들은 장애를 가지고 있습니다를 반복하게 된다. 평소 엄마가 하던 말이었다. 이 장면은 장애아를 가진 부모의 마음이 느껴져 눈물이 터지지 않을 수 없다.

 

  사건이 터진 뒤에 나타난 엄마에게 초원이 말한다. “동물원에서 나 버리려고 했지?”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싫다는 말을 하지 않고 훈련을 받아왔던 것은, 또 버림받을까 두려웠기 때문이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엄마는 충격에 빠지고 위병까지 도지게 된다. 그녀가 초원의 마라톤 훈련을 중지시키자 코치가 찾아오지만 더 이상 욕심으로 고생시키지 않겠다.”며 거절을 한다. 영화는 마라톤 대회 일정으로 옮겨진다. 받아놓았던 참가번호를 잃어버렸으나 동생이 찾아줘서 초원은 혼자서 버스를 타고 대회에 출전한다. 뒤늦게 안 엄마는 혼비백산해서 대회장으로 향한다.

 

  그녀는 초원을 찾아서 집에 가자고 한다. 그러나 초원은 뛰겠다고 한다. 난생처음으로 스스로 생각하고 선택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드디어 스스로 자기 의지로 뛰기로 한 초원. 코치와 동생도 오토바이를 타고 그를 응원한다. 하지만 역시나 힘든 경기에 초원은 주저앉아 버린다. 그때 누군가가 내어미는 초코파이. 다시 힘을 내어 초원은 달리고 결국 3시간 안에 마라톤을 완주하는 서브스리에 성공하게 된다. 마지막에 기자가 웃어보라고 하고, 초원이 활짝 웃으면서 영화는 막을 내린다.

 

  어머니의 소원은 초원이보다 하루 늦게 죽는 것이라는 말에 가슴이 미어온다. COVID-19로 인해 장애아동 가정의 짐은 가중되고 있다. 초원이처럼 다시 일어나 달리는 날이 오기를!

 

 


  1. 모나미 볼펜 3/7/2012

    우리세대는 연필세대이다. 연필의 이점은 잘못 썼을 때에 지우면 된다는 데 있다. 문제는 연필의 질이었다. 부러지기 일쑤였고, 가끔은 쪼개지는 일까지 속출하였다. 그때에 비하면 지금 아이들이 쓰는 연필은 고급 중에 고급인 셈이다. 공책도 질이 떨어져서...
    Views77838
    Read More
  2. 명품

    누군가는 명품 스포츠용품만 애호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흔히 신는 운동화 하나가 그렇게 고가인 줄은 전혀 몰랐다. 20년 전, 로스앤젤레스에 살고 있을 때이다. 한국에서 절친이 찾아왔는데 갑자기 “‘로데오거리’를 구경하고 싶다&rdquo...
    Views9050
    Read More
  3. No Image

    명절이 더 외로운 사람들

    지난 1월 22일은 우리나라 고유명절인 설날이었다. 명절은 누구에게나 기대감과 설레임을 안긴다. 하지만 일부 장애인에게는 해당이 안되는 것 같다. 안타까운 소식은 매년 100여명의 장애인이 버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버려진 장애인들은 ‘장애와 고...
    Views8260
    Read More
  4. 멕시코 땅 “엔세나다” 2/11/2011

    지난 1월 12일(수) 폭설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나는 L.A.행 비행기에 탑승하고 있었다. 밀알선교단 행사와 집회인도를 위해서였다. 혹한의 겨울날씨가 맹위를 떨치는 필라델피아와는 달리 L.A.는 코발트색깔의 하늘과 매일 75˚를 유지하는 쾌적한 날씨가 이어...
    Views67630
    Read More
  5. No Image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

    고교 시절에 가장 많이 읽었던 책은 박계형의 소설이었다. 그녀의 소설은 우선 단순하다. 그러면서도 책을 읽다가 실눈을 뜨고 ‘뜨락’을 바라보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다. 간혹 야한 장면이 여과 없이 표현되어 당황하기도 하지만 그래서 사춘기 ...
    Views5547
    Read More
  6. 맥도날드 할머니

    인생은 참으로 짧다. 하지만 그 세월을 견디는 순간은 길고도 지루하다. ‘희희락락’하며 평탄한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은 드물다. 반면 ‘기구하다.’고 표현할 정도로 험난한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일명 ‘맥도...
    Views63140
    Read More
  7. 말아톤

    장애아동의 삶이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만든 영화제목(2005년)이다. 제목이 “말아톤”인 이유는 초원(조승우)이 일기장에 잘못 쓴 글자 때문이다. 영화 말아톤은 실제 주인공인 자폐장애 배형진이 19세 춘천마라톤 대회에 참가하여 서브쓰리...
    Views22685
    Read More
  8. 만남이 인생이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가장 소중하게 여겨야 하는 것이 있다면 “만남”이다. 다른 말로 하면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잘산다는 것이 무엇일까? “관계를 잘한다.”는 것이다. 가진 것이 많아도, 지식과 교양이 높아도 관계를 ...
    Views56349
    Read More
  9. 마음이 고프다 4/1/2013

    사춘기에 접어들며 나는 식탐하는 습관이 생겼다. 음식을 보면 도가 지나칠 정도로 집착을 했다. 우리 집안 내력이 대식가라는 것을 차치하고라도 정말 음식을 잘도 먹었다. 어머니는 항상 “福”자가 그려진 ‘대밥그릇’에 고봉으로 밥...
    Views74500
    Read More
  10. 마음의 빗장을 열고

    한국 사람의 언어 중에 독특한 단어가 “우리”이다. ‘우리나라, 우리 학교, 우리 동네’로부터 심지어 ‘우리 아내, 우리 남편’이라고 한다. 외국사람들이 처음 들으면 기절초풍을 한다. ‘아니 아내(남편)가 저리도 ...
    Views57270
    Read More
  11. No Image

    마음 속 어린아이

    사람은 누구나 궁금함에서 삶을 시작한다. 그것을 호기심이라고 하기에는 범위가 너무 좁다. 사람의 즐거움은 다양하다. 우선 오감을 자극시켜 주는 즐거움이 있다. 사람의 인지능력은 시력을 통해 가동되는 경향이 높다. ‘무언가 새로운 것을 보고 싶...
    Views6925
    Read More
  12. 로봇다리; 세진 엄마

    내가 배 아파 낳은 자식을 키우기도 힘이 드는데 아무 연고도 없는 아이를 입양하여 멋지게 사는 분이 있다. “양정숙”씨(47)는 장애인 시설 자원봉사를 갔다가 운명처럼 만난 “세진”이를 아들로 입양한다. 그것도 두 다리와 오른손 ...
    Views73956
    Read More
  13. 라떼는 말이야~

    나는 라떼를 좋아한다. 블랙은 매번 도전을 해 보지만 취향이 아니고 아직은 촌스러워서 달달한 커피가 좋다. 에스프레소에 우유를 갈아서 만드는 라떼는 부드럽고 단맛이 혀 끝에 닿으며 기분을 up 시켜 주어 좋다. 지인들은 첨가물 없이 커피를 즐기며 한마...
    Views20925
    Read More
  14. 또 다른 “우영우”

    지난 23일. 대구에서 30대 엄마가 자폐 증세가 있는 자신의 아이를 살해한 뒤 극단적 선택을 했다. 2살 아들을 흉기로 살해한 뒤 아파트 베란다 아래로 뛰어내려 숨진 것이다. 집 안에서는 “가족들에게 미안하다”라는 내용을 담은 유서가 발견되...
    Views8655
    Read More
  15. 떠나가는 분을 그리며 12/26/2011

    9년 전 필라델피아에 와서 밀알사역을 감당하면서 눈에 들어온 후원자의 이름이 있었다. 특이하게 이름이 네 자였다. “남궁” “독고” “황보”성을 가지신 분들은 자연스럽게 이름이 네자가 나올 수 있지만 그분은 나처럼 &...
    Views67939
    Read More
  16. 떠나가는 배  9/20/2010

    나는 어린 시절부터 강가에서 살았다. 태어난 곳은 전혀 강이 없는 “포천”이지만 8살 때부터는 경기도 “양평”에서 성장했기 때문이다. 남한강과 북한강을 오가며 많은 것을 가슴에 담았다. 나중에는 서울 “한강”을 바라...
    Views68547
    Read More
  17. No Image

    때 이른 성공

    신동이란 어린 나이에 별스런 재주를 나타내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지식은 물론, 예 · 체능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할때에 그런 명칭이 붙는다. 일단 그를 낳은 부모들이 자긍심을 느끼고, 주위 사람들의 경탄을 불러일으킨다. 우리 시대에도 신...
    Views7072
    Read More
  18. 땅이 좋아야 한다

    가족은 토양이고 아이는 거기에 심기는 화초이다. 토양의 질에 따라 화초의 크기와 향기가 달라지듯이 가족의 수준에 따라 아이의 크기가 달라진다. 왜 결혼할 때에 가문을 따지는가? 집안 배경을 중시하는가? 사람의 성장과정이 너무도 중하기 때문이다. 미...
    Views40410
    Read More
  19. No Image

    등대

    항구마다 바다를 마주한 아름다운 등대가 있다. 등대는 가야 할 길을 몰라 방황하는 배와 비행기에 큰 도움을 주며, 때로는 많은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도 한다. 등대 빛을 알아볼 수 있는 최대 거리를 ‘광달거리’라 한다. 한국에서 광달거리가 큰...
    Views5694
    Read More
  20. 들으면 열린다! 6/26/2015

    사람의 얼굴을 보면 코와 입은 하나인데 눈과 귀는 둘이 있다. 이목구비 모두 요긴하지만 보는 것과 듣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성경 야고보서 1:19절은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거니와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
    Views661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