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5.11.14 10:53

고집은 불편한 거울

조회 수 2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람마다 어느 정도 고집은 다 가지고 있다. 예로부터 고집하면 안, 강, 최라고 하였다. 이런 성씨를 가진 분들에게는 미안하지만 실제 겪어보니 실감이 난다. ‘최’는 우리 어머니가 경주 최씨라 뼈저리게 체험을 했다. 오죽하면 총각 시절 마음에 드는 자매가 있어 접근했다가도 ‘최씨’라기에 기겁을 하고 멀리했을까? ‘안’, ‘강’씨 성을 가진 친구가 있다. 역시 쎄다.

 

 그런데 겪어보니 강해 보이지만 실상은 결정적인 순간에는 상대에게 수긍하는 모습을 보이는 사람이 있는 반면 온유해 보이는 사람이 어떤 면에서는 외골수 고집을 노출되는 경우를 본다. 고집 없는 사람은 이 세상에 없다. 누군가는 그것을 성격이라 말하고, 누군가는 의지라고 부른다.

 

 고집에는 두 얼굴이 있다. 고집은 때로 나를 지켜주는 힘이 되기도 하지만 나를 가두는 벽이 되기도 한다. 나는 그 두 얼굴의 고집 사이에서 오래 머물러본 사람 중 하나다. 어린 시절 나는 “고집이 세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 희한한 버릇은 한번 꽂힌 옷을 계속 입어댔다. 엄마가 “벗어놓으라”고 매를 대도 안 벗고 버텼다.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냥 밀고 나갔다.

 

 스스로 나는 그것이 매력이라고 생각했다. 목회를 할 때도 그 고집은 신앙으로 굳어갔다. 자부심까지 생겨나기 시작했으니 심각했다. 이것은 보수신학을 한 사람들의 특징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사람들과의 대화에서도, 일의 방향을 정할 때도 누군가 내 방식에 이견을 제시하면 마음속에서 이상한 저항감이 일었다.

 

 그때마다 ‘나는 원칙이 있는 사람이다’라고 합리화했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그 원칙이라는 것은 사실 내 자존심이 만들어낸 벽이었다. 고집은 자기 자신을 믿는 힘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타인의 지혜를 막는 문이 되기도 하다. 내가 옳다고 굳게 믿는 그 순간부터 다른 사람의 말은 점점 들리지 않는다. 그렇게 마음의 문을 닫으면 결국 남는 건 외로움뿐이다.

 

 나이가 들어가고 삶의 연륜이 쌓이면서 고집이란 결국 ‘나의 방식으로 세상을 통제하고 싶은 마음’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세상은 내 뜻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사람의 관계도, 일의 결과도, 삶의 흐름도 내 고집대로 움직여지지 않는다. 이것을 깨닫는 것이 성숙이다.

 

 그러면서 ‘과연 고집은 나쁜 것일까?’ 질문을 던져보았다. 박정희의 고집이 아니었다면, 정주영의 고집이 없었더라면 한국의 근대화는 속도를 내지 못했을 것이다. 모든 고집이 나쁜 것은 아니다. 우리가 살아온 세월이 얼마인가? 세상은 언제나 나를 흔들어댔다. 사람의 말이 바람처럼 변하고, 상황이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뒤집힐 때가 많았다. 그럴 때마다 ‘조금만 더 버텨보자’는 고집이 남아 있었다.

 

 문제는 그 고집이 아집이 되면 안된다는 것이다. 자신의 체면, 위신, 사회적 지위를 고수하기 위한 고집은 유치하다. 그래서 고집은 깊이 들여다보면 교만과 상통하는 것을 발견한다. 교만하기에 고집스러운 경우가 많다. 그 고집 때문에 가족과 주위 사람들이 힘들어한다면 문제가 된다. 하지만 사람을 살리는 고집은 고상한 것이다.

 

 문제는 고집 그 자체가 아니라 고집의 방향이다. 내 뜻을 지키려는 고집은 교만이다. 반면 진리를 붙드는 고집은 믿음이 된다. 사람을 밀어내는 고집은 외로움을 낳지만, 사랑을 포기하지 않는 고집은 관계를 지킨다. 고집의 뿌리가 ‘나’이면 독이 된다. 그 뿌리가 ‘진심’이나 ‘신념’에 있을 때는 약이 된다.

 

 고집은 불편한 거울과 같다. 그 거울을 통해 우리는 나의 ‘진짜 중심’을 본다. 그 중심이 자기 자랑으로 가득하다면 고집은 어둠이 될 것이다. 진실한 믿음과 사랑으로 채워져 있다면 고집은 빛이 된다. 때로는 고집을 내려놓을 줄 알아야 하고, 때로는 붙잡을 줄도 알아야 한다. 그 두 가지의 균형을 배우는 것이 인생의 지혜다. 그리할때에 고집은 비로소 나를 지배하기보다 나를 성장시키는 선생이 된다.


  1. No Image

    고집은 불편한 거울

    사람마다 어느 정도 고집은 다 가지고 있다. 예로부터 고집하면 안, 강, 최라고 하였다. 이런 성씨를 가진 분들에게는 미안하지만 실제 겪어보니 실감이 난다. ‘최’는 우리 어머니가 경주 최씨라 뼈저리게 체험을 했다. 오죽하면 총각 시절 마음...
    Views259
    Read More
  2. No Image

    북 콘서트를 열며

    “목사님, 이렇게 오래 글을 쓰셨는데. 책 한권 내세요” 만나는 사람마다 무심코 내뱉던 말이다. 그러고 보니 <주간필라>에 글을 실은 세월이 20년이 넘었다. 언뜻 헤아려 보아도 수필 천편이 넘는다. 하지만 정작 나는 굳이 책을 내야 하는 것에 ...
    Views879
    Read More
  3. No Image

    가을은 다시 창밖에

    필라의 여름은 한국처럼 끈적거리거나 따갑지 않아서 좋다. 가는 곳마다 울창한 숲이 우거져있고 간간히 숲을 적시는 빗줄기가 있기에 그렇다. 한낮에는 기온이 치솟다가도 밤중에 창을 두드리는 빗소리는 마음을 평온하게 한다. 처음 미국 L.A.로 이민을 왔...
    Views1043
    Read More
  4. No Image

    벤저민 프랭클린 효과

    인생을 살다보면 정말 가까이 하기에는 부담스러운 사람을 만난다. 안 만나면 그만일 때도 있지만 그 사람이 가족이나, 직장동료, 교회공동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물질의 어려움을 겪을때에 힘들다. 건강의 문제가 생기면 더 힘들다. 하지만 인간관계의 ...
    Views1258
    Read More
  5. No Image

    달빛

    주차장에 차를 대고 집안에 들어서려다가 나도 모르게 고개가 하늘로 향한다. 휘영청 밝은 달이 나를 내려다보고 있다. “아, 오늘이 보름이구나!” 똑같은 달인데 머나먼 타국에서 바라보는 달은 그 느낌이 다르다. 역시 달은 고요 속에서 바라보...
    Views1379
    Read More
  6. No Image

    눈물로 씻은 눈만이 세상을 본다

    사람은 누구나 후회를 반복하며 인생을 이어간다. “나는 살면서 한 번도 후회한 적이 없다.”고 하는 사람들을 가끔 만난다. 정말 그럴까? 과연 그런 인생이 가능할까? 존경보다는 묘한 거리감이 느껴진다. 사실일 수도 있지만 어쩌면 자신을 되돌...
    Views1606
    Read More
  7. No Image

    고향집에 들어서면

    추석이다. 고국에서는 교통체증에 시달리면서도 저마다 고향을 찾아가고 있다. 처음 미국에 왔을때는 비디오 가게에 들러 VHS로 겨우 고향의 정취를 느껴야 했다. 이제는 유튜브가 있어 언제든지 향수를 머금을 수 있어 다행이다. 이민 생활 수십년이 명절에 ...
    Views1486
    Read More
  8. 밀알의 밤, 21년!

    가을이다. 사람들이 물어온다. “금년 <밀알의 밤>에는 누가 오나요?” 귀한 관심에 고마운 마음이 밀려온다. 무려 21년이다. 팬데믹이 아니었다면 23회. 처음 밀알의 밤을 열 때에 몹시 긴장하던 나의 모습이 떠올랐다. 희한하게도 그날은 단장으...
    Views1867
    Read More
  9. No Image

    마인드 맵(Mind Map)

    공자가 이런 말을 남겼다. “들으면 잊어버린다. 보면 기억한다. 행동하면 이해한다.” 그렇다. 듣는 것 같지만 돌아서면 잊어버리는 것이 인간의 속성이다. 우리는 오늘도, 한 주간도 많은 사람을 만나고 대화를 했다. 온갖 매스 미디어를 통해 수...
    Views2059
    Read More
  10. No Image

    결혼 일곱 고개

    가을이라 그런지 여기저기서 결혼 소식이 날아든다. “짝”을 찾아 두리번거리며 살다가 드디어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결혼을 약속한다. 결혼식 날은 오직 신랑 신부가 주인공이다. 화려하고 환상적이다. 꿈만 같다. 그런 나날들이 계속되면 얼마...
    Views2085
    Read More
  11. No Image

    어느 날 갑자기

    인생은 한편의 드라마가 아닐까? 전혀 나와는 상관없는 일인 줄 알았는데 어느 날 내게 다가온다. 우리 집에는 17살 “쵸코”(요크샤테리아)가 있다. 쵸코가 우리집에 처음 왔을때에 아이들은 뛸 듯이 기뻐했다. 쓰다듬고 안아주고 산책을 하고 인...
    Views2303
    Read More
  12. No Image

    인생은 버릴 것이 없다

    가수 송창식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 자랐다. 서울예고에 입학했지만 등록금을 마련하지 못해 결국 중퇴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그의 삶은 방황과 노숙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그 고통의 시간 속에서도 그는 음악을 놓지 않았다. 홍대에 다니는 친구들을 따라다...
    Views2000
    Read More
  13. No Image

    영화 《Il Postino》

    때로는 아련한 추억을 되살아내게 하는 영화를 만날 때가 있다. <일 포스티노> 이태리 말로 “우편배달부”이다. 1950년대 칠레에서 정치적 이유로 망명한 시인 파블로 네루다는 이탈리아의 작은 어촌 마을에 머물게 된다. 이 마을의 젊은이 마리오...
    Views2237
    Read More
  14. No Image

    세월이 남긴 고운 잔향

    누구나 만나면 습관처럼 주고받는 인사가 있다. “세월 참 빠르다.”이다. 마치 봄바람이 나뭇가지를 스치듯 하루하루가 고요히 그러나 빠르게 우리 곁을 지나간다. 비슷한 연배의 사람을 만날 때는 시간의 흐름을 감지하지 못한다. 하지만 어느새 ...
    Views2005
    Read More
  15. No Image

    비빔밥, 맛의 교향곡

    사람들이 식당에 가서 음식을 주문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자리에 앉자마자 망설임 없이 메뉴를 고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어떤 이는 흐름을 좇아 메뉴를 결정한다. 사람들은 대체로 심각하지 않은 ‘결정장애’를 안고 산다. 예를 들어, 중화요리...
    Views2124
    Read More
  16. 30회 밀알 사랑의 캠프

    수십년의 세월동안 밀알사역을 감당하며 스스로 놀랄때가 있다. ‘어떻게 이런 일을, 이토록 놀라운 사역을 46년간 이어올 수 있었을까?’하는 것이다. 그 안에서 주님의 능력을 본다. 하나님이 장애인들을 얼마나 끔찍하게 사랑하시는지를 피부로 ...
    Views2055
    Read More
  17. No Image

    광화문 연가

    그 사람이 즐겨 부르는 노래를 들으면 세대가 드러난다. 나이가 들면 트로트를 즐겨 듣는 것 같다. 나는 희한하게 그 음악이 부담스럽다. 어렸을때는 남진 흉내를 곧잘 내기도 했건만 이상하게 트로트에는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 요즘 아이돌 가수들의 무대를...
    Views2378
    Read More
  18. No Image

    언어의 온도

    언어에는 온도가 있다. 얼굴과 삶에도 온도가 있다. 어떤 말은 마음을 포근히 감싸 안고, 어떤 말은 아무렇지도 않게 웃으며 던졌지만 가시처럼 꽂혀 오래도록 마음에 남게 만든다. 사람의 얼굴에도 온도가 있다면, 그 온도는 아마도 그의 말투와 미소에서 비...
    Views2196
    Read More
  19. No Image

    숨겨진 정원 가꾸기

    가정은 정원과 같다. 어떤때는 나만 바라보지만 때로는 지나가는 사람이, 어쩌다 들른 사람들이 들여다보기 때문이다. 차를 몰고 거리를 지난다. 대로를 갈 때도 있지만 어떤 때는 주택가를 지나갈 때가 있다.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앞마당이다. 주차장과 ...
    Views2076
    Read More
  20. No Image

    재철아, 힘들었지?

    누구나 모교가 있다. 스승과 친구들의 추억 덩어리인 애교심(愛敎心)은 본능적이다. 나는 총신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대학은 4년동안 사당동 캠퍼스로 다녔지만 하필 신학대학원에 입학을 할 즈음에는 경기도 양지(용인)에 새 캠퍼스를 지으면서 먼 길...
    Views256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9 Next
/ 39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