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23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돼.jpg

 

 

  코로나 19-바이러스가 덮치면서 우리 밀알선교단은 물론이요, 장애학교, 특수기관까지 문을 열지 못함으로 장애아동을 둔 가정은 날마다 전쟁을 치르고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복지관과 보호센터가 문을 닫은 몇 달간 발달장애인 돌봄 공백이 생기면서 가족들은 힘겨운 시간들을 감당하고 있다. 김현숙 씨의 딸은 자폐성 중증장애를 가지고 있다. 어느새 스무살이 넘어버린 딸 은주는 이제 엄마보다 키가 커져서 혼자 통제하기가 어렵다. 남편은 지방에서 일을 하고 위에 언니는 결혼을 하면서 이제 단둘이 지내고 있는 상황이다. 코로나 사태로 집에서만 지내는 딸은 하루종일 왔다갔다를 반복한다. 밖에 나가지 못하고 먹으면 잠만 자다보니 체중이 엄청나게 늘어나 버렸다. 지난 2월부터 어느새 7개월째다.

 

  20대 은주는 청년이라 에너지가 넘친다. 날마다 나가던 복지관의 문이 닫힌 후로 온종일 집에만 있다보니 너무도 답답 해 한다. 그나마 복지관에 가서 친구들과 어울리고 여러 가지 취미 활동을 하면서 소일하던 삶이 멈춰버리자 은주는 퇴행 징후를 나타내고 있다. 욕구 충족이 안되면 갑자기 화를 내기도 하고 짜증을 내는 퇴행을 반복하는 것이다. 급기야 밖으로 뛰쳐나가는 일이 시작되었다. “은주야! 안돼. 안돼. 들어와.” 갑자기 문을 열고 집 밖으로 나간 것이다. 엄마는 맨발로 달려나가 딸을 말려본다. “엄마 이것 봐, 엄마 맨발이야. 그렇지? 엄마 신발 신어야 하겠지?” 되돌아오는가 싶더니 갑자기 발길을 돌려 이제는 남의 집 문을 열려고 한다. “아니야, 아니야 남의 집 그러면 안 돼. 안돼. 안돼. 안돼.”

 

  집까지 되돌아왔다가 다시 뿌리치길 서너 차례. 간신히 신발을 챙겨신은 어머니가 딸과 산책길에 나선다. 딸이 향한 곳은 동네 마트였다. 여기저기 둘러보는가 싶더니 느닷없이 빵을 집어 먹는다. 놀란 엄마가 소리친다. “은주야! 너 이거 아까 먹었는데 만지면 안 돼. 알았어. 알았어. 우리 계산하고 먹자. 돈 내고.” 불쑥 다른 건물로 들어가 이곳저곳 문을 열고 들어가려 해 말리기 바쁘다. 어머니는 말한다. “예전에는 이러저러해서 이따가 나가자 그러면 말을 들었어요. 코로나 이후엔 이게 안 되는 거예요. 통제가 안 되는 거죠무엇을 원하는지 소통이 잘 안 되는 데다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나오는 돌발 행동 때문에 어머니는 파김치가 된다.

 

  최근에는 위험한 행동까지 자주 나타나고 있다. “안돼. 안돼. 여기 안돼. 안돼. 은주야! 여기 찻길이잖아. 차 온다. 안돼.” 코로나 사태 이후 발달장애인 부모 10명 중 9명은 자녀 돌봄으로 심한 스트레스를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만성 피로와 심해진 감정 기복, 수면 장애가 많았다. “아이는 살이 찌고 저는 계속 빠지고 있더라고요. 스트레스받으니까 역류성 식도염도 온 상태입니다.”(이희옥 어머니). “아플 수도 없어요. 아파서 누워 있을 수도 없어요. 저는 토요일, 일요일이 없어요.”(이은정 어머니) 지난달 광주에서는 어머니가 20대 발달장애인 아들과 극단적인 선택을 했고 지난 3월 제주에서도 10대 장애 아들과 어머니가 세상을 등졌다. 한국에는 전국에 발달장애인 24만 명이 있다. 그중에 이렇게 통제가 안되는 중증 장애인은 8만 명이나 된다.

 

  마침 북가주 밀알선교단(샌프란시스코) 단장과 통화를 했다. 산불로 뒤숭숭한 분위기에 긴급전화가 왔단다. “자폐아들이 하이퍼 되어 자신들이 통제가 힘들다.”는 연락이었다. 가보니 난리가 아니었다. 덩치가 산 만한 아이가 집안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있었다. 목사님도 한 덩치하지만 제압을 할 수가 없었다. 결국 경찰관 3명이 출동하고야 진정을 찾을 수 있었다. 길게 이어지는 코로나 상황 속에 장애인을 비롯한 취약계층들은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발달장애아동이 자해를 했다는 연락이 온다. 기도할 뿐이다. 속수무책이다. 장애아동 가정에서 가장 많이 흘러나오는 외침은 안돼이다. 어서 이 사태가 속히 지나가 해맑은 장애아동들의 미소를 만나고 싶다.

 

 


  1. 세월은 쉬어가지 않는다

    나는 어린 시절 남한강 줄기에서 자랐다. 강은 보는 각도에 따라 모양과 느낌을 달리한다. 언덕 위에서 볼 때는 마냥 푸르고 잔잔해 보이지만 모래사장에 내려서면 잔잔히 출렁이는 물결이 건너편을 저만치 밀어낸다. 물가에서 보면 만만해 보이지만 일단 몸...
    Views19179
    Read More
  2. 테스형

    지난 추석 KBS는 <대한민국 어게인 나훈아>라는 야심 찬 기획을 세운다. 무려 11년 동안 소식이 없던 그가 다시 무대에 선다는 것 자체가 커다란 이슈였다. 이혼과 조폭 연루설로 인해 힘들어하던 시기 대중 앞에서 “바지를 내리겠다”고 외치며 ...
    Views19338
    Read More
  3. It is not your fault!

    인생이란 무엇일까? 왜 사람들은 평생 그렇게 바쁘게 돌아치며 살고 있을까? 분명히 뭔가 잡으려고 그렇게 달려가는데 나중에는 ‘허무’라는 종착역에 다다르게 되는 것일까? 세상의 모든 것을 원 없이 누렸던 솔로몬은 유언처럼 남긴 전도서에서 ...
    Views19959
    Read More
  4. 지연이의 효심

    장애를 안고 살아가는 당사자도 고통스럽지만 그 모습을 바라보고 사는 가족들의 아픔은 말로 표현이 안된다. 우연히 마트에서 손에 약봉지를 든 지인과 마주쳤다. “누가 아파요?” “제 아내가 루게릭병으로 힘들게 살고 있습니다.” ...
    Views20239
    Read More
  5. 1회용

    바야흐로 1회용품이 상용화된 시대이다. 컵부터 시작하여 세면용품, 밴드, 도시락, 가운, 렌즈, 면도기, 카메라, 기저귀, 주사기, 다양한 모양의 그릇까지 요즘에는 일회용으로 만들지 않는 것이 없다. 실로 1회용품 홍수시대이다. 1회용품 중에는 한번 쓰고 ...
    Views21163
    Read More
  6. 라떼는 말이야~

    나는 라떼를 좋아한다. 블랙은 매번 도전을 해 보지만 취향이 아니고 아직은 촌스러워서 달달한 커피가 좋다. 에스프레소에 우유를 갈아서 만드는 라떼는 부드럽고 단맛이 혀 끝에 닿으며 기분을 up 시켜 주어 좋다. 지인들은 첨가물 없이 커피를 즐기며 한마...
    Views21257
    Read More
  7. 미묘한 결혼생활

    가정은 소중하다. 천지창조 시 하나님은 교회보다 가정을 먼저 만드셨다. 그 속에는 가정이 첫 교회라는 비밀이 숨겨져 있다. 하나님은 가정을 통해 참교회의 모습을 계시하셨고 파라다이스를 경험하게 하셨다. 하나님이 아담을 지으신 후 “독처하는 것...
    Views20477
    Read More
  8. 그것만이 내 세상

    우리 밀알선교단에는 다수의 장애인들과 장애아동들이 있다.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것은 힘겨운 일이다. 아울러 가족 중에 장애인이 있는 것도 삶이 평탄하지 않음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18년 전,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였을때에 전신마비 장애인이 ...
    Views21024
    Read More
  9. 그 애와 나랑은

    갑자기 그 애가 생각났다. 아무것도 모른 채 무거운 책가방을 들고 진학의 꿈을 향해 달리던 그때, 그 애가 나타났다. 초등학교 6학년이 되면서 전근을 자주 다니던 아버지(경찰)는 4살 위 누이와 자취를 하게 했다. 그 시대는 중학교도 시험을 쳐서 들어가던...
    Views21168
    Read More
  10. 창문과 거울

    집의 경관을 창문이 좌우한다. 창문의 모양과 방향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진다. 창문 밖으로 펼쳐지는 장면은 시야로 흡수되고 느낌을 풍성히 움직인다. 영화의 한 장면처럼 통유리가 있는 집에 살고 싶었다. 창을 통해 시원하게 펼쳐진 정원을 바라보는 것이 ...
    Views21802
    Read More
  11. 나무야, 나무야

    초등학교 1학년. 당시 아버지는 경기도 양평 지제(지평)지서에 근무중이셨다. 이제 겨우 입학을 하고 학교생활에 흥미를 가지게 될 5월초였다. 방과 후 집에 돌아와 친구랑 자치기를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아버지가 나타나셨다. 그 시간이면 한창 근무할 때인...
    Views21743
    Read More
  12. 컵라면 하나 때문에 파혼

    팬데믹으로 인해 결혼식을 당초 예정일보다 5개월 늦게 치르게 된 예비 신부와 신랑. 결혼식 한 달을 앞두고 두 사람은 신혼집에 거주하면서 가구와 짐을 정리하며 분주한 일상을 보내고 있었다. 주말에 신혼집을 찾은 예비 신부가 집 정리를 끝낸 시간은 자...
    Views21431
    Read More
  13. 우리 애가 장애래, 정말 낳을 거야?

    결혼을 하고 자녀를 낳는 것은 모든 부부의 바램이다. 임신소식을 접하며 당사자 부부는 물론이요, 가족들과 주위 사람들이 다 축하하며 즐거워한다. 그런데 태아에게 장애가 발견되었을때에 부부는 당황하게 된다. ‘낳아야 하나? 아니면 다른 선택을 ...
    Views21310
    Read More
  14. 반 고흐의 자화상

    누구나 숨가쁘게 삶을 달려가다가 어느 한순간 묻는 질문이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그토록 애를 쓰며 살아왔을까?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라는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화가들이 최고의 경지에 이르면 자화상을 그린다. 뒤...
    Views21476
    Read More
  15. 버거운 이민의 삶

    교과서에서 처음 배운 미국, 스펙터클 한 허리우드 영화, ‘나성에 가면’이라는 노래로 그리던 L.A. ‘평생 한번 가볼 수나 있을까?’ 고등학교 때부터 함께 뒹굴던 친구가 졸업하자마자 미국으로 떠나버린 날, 강주와 나는 자취방에서 ...
    Views21553
    Read More
  16. 기찻길

    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자란 동네에서 어릴 때부터 익숙하게 접하는 것이 있다. 바닷가 근처에 살았다면 푸른 바다와 그 위를 유유히 가르며 다니는 크고 작은 배들. 비행장 근처에 살았다면 헬리콥터로부터 갖가지 모양과 크기에 비행기를 보며 살게 된다. 나...
    Views28066
    Read More
  17. “안돼” 코로나가 만든 돌봄 감옥

    코로나 19-바이러스가 덮치면서 우리 밀알선교단은 물론이요, 장애학교, 특수기관까지 문을 열지 못함으로 장애아동을 둔 가정은 날마다 전쟁을 치르고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복지관과 보호센터가 문을 닫은 몇 달간 발달장애인 돌봄 공백이 생기면서 ...
    Views22394
    Read More
  18. 인생은 집 짓는 것

    어쩌다 한국에 가면 좋기는 한데 불안하고 마음이 안정되지 않는다. 정든 일가친척들이 살고 있는 곳, 그리운 친구와 지인들이 즐비한 곳, 내가 태어나고 자라나며 곳곳에 추억이 서려있는 고국이지만 일정을 감당하고 있을 뿐 편안하지는 않다. 왜일까? 내 ...
    Views23127
    Read More
  19. 그러려니하고 사시게

    대구에서 목회를 하고 있는 절친 목사에게 짧은 톡이 들어왔다. “그려려니하고 사시게”라는 글이었다.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대형교회를 목회하고 있다. 부친 목사님의 연세가 금년 98세이다. “혹 무슨 화들짝 놀랄만한 일이 생기더라도...
    Views21923
    Read More
  20. 부부는 『사는 나라』가 다르다

    사람들은 결혼식을 올리고 혼인 신고만 하면 부부인 줄 안다. 그것은 부부가 되기 위한 법적인 절차일 뿐이다. 오히려 결혼식 이후가 더 중요하다. 결혼식은 엄청나게 화려했는데 몇 년 살지 못해 이혼하는 부부들이 얼마나 많은가? 왜 그럴까? 남편과 아내는...
    Views2257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