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69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4451889_orig.jpg

 

 

어머니는 가을이 되면 항상 김장을 담그셨다. 알이 잘 밴 배추를 골라 사서 다듬고 소금을 뿌리는 것은 항상 혼자 하셨다. 절궈 놓은 배추를 건져내어 김치를 담글 때면 어디선가 동네 아낙들이 모여들었다. 어머니는 인덕이 넘치고 손이 크셨다. 한창 김장을 담글 때 다가가면 어머니는 어느새 알아차리시고 야무지게 쌈을 싸서 내 입에 넣어주셨다. 비릿한 굴 내음과 함께 어머니의 사랑이 목구멍까지 전해졌다. 그래서 그런지 나는 아직도 겉절이가 좋다. 특히 오이소백이는 익어버리면 맛이 없다. 겉절이 일 때가 더 맛이 있다.

배추가 “맛을 제대로 내는 김치가 되려면 다섯 번 죽어야 한다”고 한다. 배추가 땅에서 뽑힐 때 한 번 죽고, 통배추의 배가 갈라지면서 또 한 번 죽고, 소금에 절여지면서 또 다시 죽고, 매운 고춧가루와 짠 젓갈에 범벅이 되어서 또 죽고, 마지막으로 장독에 담겨 땅에 묻혀 다시 한 번 죽어야 비로소 제대로 된 김치 맛을 낸다는 것이다. 기가 막힌 말이다. 아직 배추의 ‘기’가 꺾이지 않고 살아있을 때를 ‘겉절이’라고 한다. 싱싱하고 씹으면 “아삭아삭” 소리가 나며 풋성귀의 맛을 그대로 느끼는 시기이다.

반면 “묵은지”는 어떠한가? 우리가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묵은지”와 “신김치”는 전혀 다르다는 것이다. 우선 둘은 숙성기간부터 다르다. 신 김치가 그야말로 몇 주 정도 만에 손쉽게 자연스레 만들어지는 것에 비해 묵은 지는 1년, 혹은 3년에 걸쳐 오랜 시간동안 숙성시키기 때문이다. 묵은지를 제대로 숙성시키지 않으면 배추가 물러지거나 군내가 나 먹을 수 없게 된다. 담그는 법도 차이가 난다. 묵은지를 담글 때에는 젓갈이나 액젓을 넣지 않는다. 젓갈이나 액젓을 넣으면 배추가 쉬이 물러져서 아삭한 맛이 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젓갈 대신 찹쌀 풀을 빼서 담기도 한다. 이 외에도 군내가 나지 않고 무르지 않게 하기 위해 무채를 쓰지 않고 갈아서 넣는 것도 일반 김치와 묵은지 용 김치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왜 서두부터 “묵은지”와 “겉절이” 타령일까? <가정이야기>를 하기 위해서이다. 아니, 가정과 김치가 무슨 관련이 있다는 말인가? 필자가 지금부터 풀어보는 이야기를 주목해 보시면 그 까닭을 알게 될 것이다. 과거의 가정은 “묵은지”였다. 겉으로 보기에는 고리타분하고 뭔가 원칙에 얽매어 있는 것 같은 모습이었다. 반면 지금은 “겉절이” 가정이 되었다. 시간이 걸리는 것을 싫어한다. 반응도 즉각적으로 나타난다. 상큼해 보이기도 하지만 깊은 맛을 잃어버린 지 오래이다. 가정의 위기는 묵은지의 은밀한 향을 잃어버리고 겉절이의 상큼함만 추구하기 때문인 것 같다.

과거의 가정은 묵은지 분위기였다. 밥을 해도 시간이 걸렸다. 가마솥에 쌀을 앉히고 아궁이에 불을 지폈다. 처음에는 불소시게로 약하게 불을 붙이다가 불길이 올라오면 장작을 넣기 시작한다. 솥두껑이 ‘들썩’이며 쌀이 익어가는 가 싶으면 장작을 ‘살살’ 밖으로 끄집어내어 온도를 조절한다. 밥이 다 되어도 절대 솥두껑을 열지 않는다. 최소량의 불씨를 놓아둔 채 뜸을 들이는 것이다. 그렇게 시간이 지난 후에 가마솥에 밥은 하얀 뱃살을 드러낸다. 밥을 풀 때에도 절대 마구 푸지 않는다. 할아버지로부터 장유유서의 서열을 따라 그릇에 정성스레 밥을 담는다. 정성이 있었고 질서와 사랑이 있었다.

지금은 겉절이 시대가 되었다. 언젠가부터 전기밥솥이 등장하였다. 대충 쌀을 앉히면 몇십분이 지나 자기가 밥을 만들어 낸다. “햇밥”은 그런 과정도 필요가 없다. 그냥 데피면 맛있는 밥이 상에 오른다. 식구들의 서열이 없다. 누구든지 배가 고픈 사람이 먼저 퍼서 먹으면 된다. 참 편리해 졌다. 실속이 있어 보인다. 그런데 그러는 중에 가정이라는 단단한 소속이 느슨 해 지기 시작하였다. 아이들만 놓아두고 어딘가 며칠을 다녀 와보면 밥은 아예 지어먹은 흔적이 없다. 거의 ‘페스트후드’로 끼니를 때운 것이다. 이제 신세대들은 ‘밥의 철학’을 잊은 지 오래다. 우리는 하얀 쌀밥에 고기 국을 먹는 것이 소원이었는데 말이다.

묵은지 가정은 지켜야할 전통과 깊은 맛이 배어나오는 곳을 말한다. 옛날에는 집안에 전화기가 단 한 대밖에 없었다. 그것도 꼭 거실이나 안방에 있었다. 전화벨이 울리면 온 식구들이 관심을 가졌다. 전화를 받는 사람은 둘 중에 하나였다. 가장 힘이 있는 아버지가 받는 가정이 있는가 하면 제일 나이가 어린 자녀가 받았다. 아버지가 전화를 받는 가정은 분위기가 엄했다. 친구들도 전화를 하기 꺼려하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그런 가정에 비하면 아이가 전화를 받는 가정은 분위기가 민주주의적이었다. 전화를 받은 사람의 호출을 기다린다. 반응도 각각이었다. “누구야?”라고 물으며 전화기로 다가가거나 무조건 다가와 낚아채듯이 전화를 받거나 였다. 통화가 끝나면 가족들이 관심을 가지고 물어온다. “누구야? 무엇 때문에 전화를 했어?” 이것이 묵은지 가정의 따뜻함이었다.

묵은지 가정은 거의 한방에서 살았다. 그 당시 방은 ‘고무줄 방’이었다. 가끔 손님이 와도 수용능력에는 지장이 없었다. 온 가족이 한 이불을 덮고 누우면 잠이 들 때까지 그날에 있었던 이야기가 줄줄이 엮어져 나갔다. 비좁았지만 행복했다. 엉켜 자면서 가족이 있음이 너무도 소중했다. 가정에 텔레비전은 단 한 대였다. 시청을 안 할 때는 아예 문을 걸어 잠그도록 된 TV도 있었다. 그 당시에는 “TV 채널 권을 누가 가지고 있느냐?”가 최대관심사였다. 집집마다 거의 아버지가 채널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저녁상을 물리고 나면 온가족이 둘러앉아 간식을 먹으며 TV 시청을 하였다. 같이 웃고 함께 울며 TV를 통해 가족의 사랑은 깊어갔다. 따라서 TV 프로그램은 건전하고 아름다운 주제가 주를 이루었다. 성경에서 말하는 가정이었다. 위로가 있고 격려와 사랑이 풍성하게 넘치는 곳 그곳이 바로 “묵은지 가정”이었다.

이제는 겉절이 가정이 되었다. 겉절이의 매력은 즉흥적인 맛이다. 기다리기를 싫어한다. 전통을 빨리 벗겨버리고 당장에 ‘짜릿함’에 몰두한다. 나이가 어리든 많든 제각기 방이 있어 가족들의 생활이 분리된 지 오래다. TV가 방마다 있는 것은 이미 옛이야기다. 이제는 인터넷으로도 웬만한 영상물은 다 시청한다. 가족들끼리 이마를 마주대고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는 것 보다는 인터넷으로 바깥사람들을 만나는 일을 더 즐기는 시대가 되었다. 그게 신식이란다. 아이들은 눈을 뜨는 순간부터 핸드폰으로 문자 메세지를 날리며 스피드 한 삶을 즐기고 있다. 김치는 몰라도 가정은 “묵은지”가 좋은 것 같다. 약간은 세련되지 못하고 투박하지만 가족들의 깊은 정이 배어나오는 그냥 함께만 있어도 좋은 그런 가정 말이다. 김치가 되기 위해 다섯 번이나 죽고 또 죽는 배추같이 삶의 깊은 맛을 이웃에게 전하기 위해 스스로 자신의 모든 것을 내려놓을 수 있는 마음의 여유로 오늘을 살았으면 좋겠다. 


  1. 낯설다 12/6/2010

    경기도에서 자란 나에게 서울은 별천지였다. 어쩌다 서울에 올라치면 준비과정이 복잡하였다. 시골촌놈이 서울에 온다는 것이 얼마나 가슴 뛰었는지 모른다. 지금은 30분이면 오는 서울을 그때는 버스로 두 시간이 더 걸렸던 것으로 기억된다. 먼지 날리는 비...
    Views66090
    Read More
  2. 향수병(鄕愁病) 12/6/2010

    사람은 한곳에 머무르지 못하고 많은 곳을 떠돌며 인생을 엮어간다. 우리는 모두 한국 사람이다. 세상에 태어나자마자 자신이 외국에 나가 살게 될 줄을 예측한 사람이 있을까? 철저한 계획을 세우고 오신 분들도 없지 않아 있겠지만 대부분 어쩌다가 미국에 ...
    Views73681
    Read More
  3. 친구가 필요합니다! 12/6/2010

    기나긴 인생여정을 지나며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비결은 친구를 가지는 것이다. 친구를 만나고 삶을 나누며 인생길을 걷다보면 편안하고 든든 해 진다. 친구도 종류가 다양하다. <꽃>과 같은 친구가 있다. 꽃이 피어서 예쁠 때는 그 아름다움에 찬사를 아끼지 ...
    Views74517
    Read More
  4. 아름다운 동행 10/8/2010

    노진희 자매. 그녀는 뇌성마비 1급 장애인이다. 다시 말하면 중증장애인이다. 그녀는 경남 통영에 있는 장애인 시설에서 21년을 살았다. 독립해서 4년을 살다가 기적적으로 비장애인 남편을 만나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고 있다. 오늘은 그녀의 이야기를 들려드...
    Views65347
    Read More
  5. 송정미 & 차인홍

    가을이다. 낮에는 햇살이 제법 따갑지만 아침저녁으로는 스산한 바람이 옷깃을 스친다. 새해를 맞이하며 꿈에 부풀었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세월은 가을바람처럼 너무도 빠르게 지나가고 있다. 미국과 한국의 가을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미국은 어디를 가나...
    Views69172
    Read More
  6. 웃으면 행복 해 져요! 9/22/2010

    사람과 짐승이 다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사람만이 웃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개나 고양이는 웃지 못한다. 사람만이 다양한 소리를 내며 웃을 수 있다. 웃음은 “만국공통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닐 듯싶다. 웃음소리만 들어서는 한국인인지 외국인인...
    Views68177
    Read More
  7. 떠나가는 배  9/20/2010

    나는 어린 시절부터 강가에서 살았다. 태어난 곳은 전혀 강이 없는 “포천”이지만 8살 때부터는 경기도 “양평”에서 성장했기 때문이다. 남한강과 북한강을 오가며 많은 것을 가슴에 담았다. 나중에는 서울 “한강”을 바라...
    Views65313
    Read More
  8. 어머니의 아린 마음 9/7/2010

    이 땅에는 어머니가 있다. “어머니!” 그 한마디에 사람들은 지그시 눈을 감는다. 가난, 외로움, 버려짐에 사각지대에서 오직 자식만을 바라보며 살던 여인들이 우리시대에 어머니이기 때문이다. 맛있는 것을 자식들 앞에 갖다놓으며 항상 하시는 ...
    Views68291
    Read More
  9. 구름 9/7/2010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아름다운 것은 하늘과 땅, 바다가 조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날마다 땅을 밟으며 우리는 인생 이야기를 엮어간다. 어쩌다가 만나는 지평선을 보며 저 땅 너머에 있는 세계를 그려본다. 그러다가 찾아가는 바다는 “지구의 ...
    Views75914
    Read More
  10. 나도 아프다 8/25/2010

    세상을 사는 것은 언제나 콧노래를 부르는 여정이 아님을 나이가 들어가며 안다. 한국에는 여름이면 장마철이 찾아온다. 한창 뛰어놀기 좋아하던 어린 시절에는 우기(雨期)가 그렇게 미웠다. 어느 날, 처마 밑에 쪼그리고 앉아 쏟아지는 빗줄기를 바라보고 있...
    Views70142
    Read More
  11. 목사도 사람이다?  8/17/2010

    이 말은 목사가 목사답게 살지 못하는 모습을 보며 사람들이 하는 말이다. 목사가 신실한 모습을 나타내며 외길을 갈 때는 그런 말이 나올 리가 없다. 아니 필요가 없다. 목사가 어쩌다(?) 실수하는 모습을 보며 사람들이 해 주는 이 말에 위로를 받는다. 그...
    Views65020
    Read More
  12. 묵은지와 겉절이  8/16/2010

    어머니는 가을이 되면 항상 김장을 담그셨다. 알이 잘 밴 배추를 골라 사서 다듬고 소금을 뿌리는 것은 항상 혼자 하셨다. 절궈 놓은 배추를 건져내어 김치를 담글 때면 어디선가 동네 아낙들이 모여들었다. 어머니는 인덕이 넘치고 손이 크셨다. 한창 김장을...
    Views66921
    Read More
  13. 보리밭  8/12/2010

    삶은 참 분주하다. 한해를 시작 했는가 했는데 어느새 7월을 달리고 있다. 이달 말에 있는 “장애인 캠프”를 준비하느라 정신이 없다. 그런 분주함 중에도 나는 가끔 눈을 감고 내 어린 날을 추억하며 행복한 미소를 짓는다. 오늘은 갑자기 &ldquo...
    Views69938
    Read More
  14. 우리들의 천국 8/9/2010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누구나 누려야 할 권리와 자유를 제한 받는 일은 안타까운 일이다. 밀알선교단이 좋은 이유는 장애인들이 ‘존재의 의미’를 깨닫고 마음껏 자신을 발산하며 살게 해 주는 곳이기 때문이다. 교회가 아무리 좋아...
    Views77057
    Read More
  15. 삼소 7/27/2010

    방송을 보다가 기가 막힌 말을 듣고 메모를 했다. 바로 “삼소”에 대한 이야기였다. 여성들의 권위가 신장되고 아내들의 말발이 거세졌다는 것을 한마디로 표현한 것이 “삼소”이다. 삼소란? 1. 부인의 말씀은 “옳소!” 2. ...
    Views66133
    Read More
  16. 오체불만족 7/22/2010

    『오체 불만족』은 일본에 중증장애인 “오토다케 히로다타”가 지은 책이름이다. 책 속에는 그가 태어났을 때부터 지금까지의 일상이 오롯이 담겨있다. 오토다케는 태어날 때부터 팔다리가 없이 태어났다. 산모가 충격을 받을까봐 낳은 뒤 한 달 ...
    Views85881
    Read More
  17. 방학숙제 7/22/2010

    공부를 하는 것은 힘이 들지만 “방학”이 있기에 학생들은 꿀보다 더 단 휴식을 취하게 된다. 초등학교 시절, 방학식을 하는 날은 수업이 오전만 있어서 좋았다. 방학하는 날은 가슴이 설레이는 날이다. 성적표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필자...
    Views67996
    Read More
  18. 단장 이재철 목사 사역 소개  7/18/2010

    ◕ 매주 금요일 주간지 <뉴스코리아>와 <주간 필라>에 "칼럼"을 집필합니다. ◔ “밀알의 소리” 필라델피아 기독교 방송국 진행- 매주 화요일 오전 11시 생방송 ◓ 각 교회 초청 설교-현재까지 대필라지역 90개 교회의 강단에서 설교를 하였습니다. ...
    Views844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