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3.02.17 09:08

군밤

조회 수 50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모처럼 한국 친구 목사와 전화통화를 하다가 “친구야, 용인에서 먹던 <묵밥>이 먹고 싶다.” 외쳤더니 한참을 웃다가 “너는 기억력도 좋다. 언제든지 와 사줄게.”하는 대답이 정겹게 가슴을 파고든다. 30대였을거다. 추운 겨울날에 친구와 시골밥집에 들렀다. 아랫목은 ‘팔팔’ 끓는데 위풍은 심해서 시종 손을 엉덩이에 깔고 있어야만 하였다. 드디어 들어온 “묵밥”은 정말 맛이있었다. 통화를 하다가 갑자기 그 ‘묵밥’이 떠오른 것이다. 나뿐일까? 사람들은 음식을 통해 추억을 찾고 옛 생각에 젖어들게 되는 경우가 있다. 우리 세대가 잊을 수 없는 음식이 있다면 그것은 “밤”이다. 먹을 것이 흔치 않던 시절에 겨울을 나면서 우리가 주로 먹었던 간식은 “고구마와 밤”이었다.

 

 돌아보면 겨울이 되면 집집마다 필수적으로 자리한 것이 “요강과 화로”였다. 추운 겨울밤에 자다가 재래식 화장실(뒷간)을 간다는 것은 고문중에 고문이었다. 따라서 요강은 따뜻한 방에서 용변을 해결할 수 있는 요긴한 도구였다. 또 하나 빼어 놓을 수 없는 것이 “화로”였다. 해도 해도 끝이없는 추억들이 “화로”에 담겨있다. 다른 곳보다 “화롯가”에서 나누었던 이야기들은 세월이 지나도 기억 속에 따뜻하게 남아있다. 그중에서도 오늘은 “군밤”을 생각해 냈다.

 

 초등학교 5학년 때로 기억한다. 엄마가 양평 읍내에 나간 틈을 타서 친구들을 집으로 불러 모았다. 악동들은 안방 화롯가에 둘러앉아 ‘낄낄’대며 놀고 있었다. 입이 심심해지자 군것질을 하고 싶었고 “뭐 먹을 것 없냐?”는 친구의 물음에 엄마가 다락에 고이 간직해 놓은 “밤”을 기억해 냈다. 지금보다도 그때 밤은 크기도 컸고 맛이 더 있었다. 아마 오래된 아름드리 밤나무에서 따낸 것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시장기가 돌아서인지 우리는 많은 양의 밤을 화로 불속에 집어넣었다. 잠시 후에 고개를 내어 밀 달콤한 군밤을 생각하면서 말이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한 10분이 지났을까? 갑자기 ‘펑!’ 하는 소리가 나더니 연속해서 ‘펑, 펑, 펑, 펑!’ 소리가 이어졌고, 급기야 밤은 천장을 치더니 화로 속에 재가 안방 전체를 뒤덮어버렸다. 그나마 화재가 나지 않은 것이 천만다행이었다.

 

 나중에 알았지만 ‘밤’을 구울 때는 흠집을 내어야 하는 것을 전혀 몰랐기에 일어난 사건이었다. 이후 엄마에게 엄한 꾸중을 들은 것은 물론이다. 지금도 군밤을 보면 그때 생각이 나서 슬며시 입가에 미소가 번진다. 몇 년전, 한국에 갔다가 지하철 역 입구에서 추운 겨울 칼바람을 맞으며 연탄 위에 석쇠를 올려놓고 밤을 굽고 있는 할머니를 보며 기억이 새로웠다. 노릿한 밤 내음이 코끝을 스친다. 똑같은 밤인데 ‘찐밤’과 ‘군밤’은 모양도 다르고 맛도 다르다. 밤을 구우면 살짝 벌어져서 먹기가 좋고 당도도 더 유지가 되는 것 같다. 겨울철에 동치미 국물과 곁들이면 부러운 것이 없었다. 군밤을 까먹다가 손에 검은 것이 묻은 줄도 모르고 얼굴을 문질러 ‘우수꽝’스럽게 변해 버린 친구의 얼굴을 보며 한바탕 웃는 것도 얼마나 재미있었는지 모른다.

 

 한국에 가도 이제는 소박하게 밤을 굽는 풍경은 찾아보기 힘들다. 뻥튀기 기계로 밤을 튀겨 팔고 있는데까지 장족의 발전을 했다. 까먹기는 훨씬 수월했지만 어린 시절에 투박하게 구워먹던 군밤의 정감어린 맛은 느껴지지 않아서 아쉽다. “밤”이 익기를 기다리고 다 구워진 군밤을 까먹으며, 이야기가 하도 재미있어 배가 아플 정도로 웃던 때가 그립다. 추억을 더듬으며 밤을 구워본다. 한 개 까서 입에 넣고 씹으니 은근한 향기와 구수한 맛이 입안 가득히 번져간다. 바스러지는 밤 알갱이들이 감미로운 맛을 혀끝에 남긴다.

 

 젊은 날에 데이트를 하다가 군밤 한 봉지를 사서 품에 안고 “까준다”는 핑계로 ‘슬쩍’ 잡아보던 그 누군가의 손길이 가슴 한켠에서 고개를 내어민다. 추운 겨울밤에도 군밤이 있기에 행복했다. 어쩌다 지나가는 “찹쌀떡” 장수의 운율이 겨울밤에 추임새를 넣어주었고, 이어 외치던 “메밀묵” 소리가 아직도 귓가에 머물고 있다.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골목길에 운치가 군밤의 추억을 안고 낭만으로 이끌어 간다.


  1. No Image

    시각 장애 반장

    장애를 안고 통합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과거에는 특수학교가 인기가 있었다. 종로에 “명휘원” 광진구에 있는 “정립회관”이 그곳이다. 어떤 면에서 장애를 가진 학생들끼리 편견없이 서로의 아픔을 공유하며...
    Views4934
    Read More
  2. No Image

    개를 산책시키는 남자

    작가의 삶과 작품은 연관성을 갖는다. 내 글에 내 인생의 체취가 묻어나는 것처럼 말이다. 책 이름이 하도 특이해서 손에 잡았고, 흥미진진하게 단숨에 읽어 나아갔다. 작가 전민식은 실로 꼬인 인생을 살았다. 한마디로 되는 일이 없는 사나이였다. 그러던 ...
    Views4798
    Read More
  3. No Image

    군밤

    모처럼 한국 친구 목사와 전화통화를 하다가 “친구야, 용인에서 먹던 <묵밥>이 먹고 싶다.” 외쳤더니 한참을 웃다가 “너는 기억력도 좋다. 언제든지 와 사줄게.”하는 대답이 정겹게 가슴을 파고든다. 30대였을거다. 추운 겨울날에 친...
    Views5090
    Read More
  4. No Image

    어른이 없다

    아버지의 권위가 하늘을 찌르던 시대에 나는 자라났다. 학기 초 학교에서 내어준 가정환경조사서의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지의 이름 석자가 자리했다. 간혹 엄마의 목소리가 담을 넘는 집도 있었지만 그때는 대부분 아버지가 가정의 모든 의사결정을 주도하...
    Views5264
    Read More
  5. No Image

    명절이 더 외로운 사람들

    지난 1월 22일은 우리나라 고유명절인 설날이었다. 명절은 누구에게나 기대감과 설레임을 안긴다. 하지만 일부 장애인에게는 해당이 안되는 것 같다. 안타까운 소식은 매년 100여명의 장애인이 버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버려진 장애인들은 ‘장애와 고...
    Views5504
    Read More
  6. No Image

    잊혀져 간 그 겨울

    겨울의 한복판을 지나고 있다. 날씨는 음력이 정확하게 이끌어 주는 것 같다. 설(22일)을 넘어 입춘(2월 4일)이 한주 앞으로 바싹 다가서고 있다. 불안한 것은 눈이 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별걱정을 다한다’고 할지 모르지만 겨울이 겨울답지 않...
    Views5131
    Read More
  7. No Image

    백수 예찬

    젊었을때는 누구나 쉬고 싶어한다. ‘언제나 마음놓고 쉬어볼까?’하며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삶에 열중한다. 아이들의 재롱에 삶의 시름을 잊고 돌아보니 중년이요, 또 한바퀴를 돌아보니 어느새 정년퇴직에 접어든다. 한국 기준으로 보통 60세가 ...
    Views5392
    Read More
  8. No Image

    겨울에도 꽃은 핀다

    사람의 처지가 좋아지면 꽃이 피었다고 표현한다. 여성을 비하한다는 위험성이 있지만 한때는 여성들을 곧잘 꽃에 비유했다. 바라만 보아도 그냥 기분 좋아지는 존재, 다르기에 신비로워서일까? 꽃을 보며 인상을 쓰는 사람은 없다. 어여쁜 꽃을 보면 누구나 ...
    Views5836
    Read More
  9. No Image

    돋는 해의 아침 빛<2023년 첫칼럼>

    사람들은 새해가 되면 해돋이를 위해 산이나 바다로 향한다. 따지고 보면 같은 태양이건만 해가 바뀌는 시점에 바라보는 태양의 의미는 다를 수도 있을 것 같다. 목사이기에 송구영신예배를 드리며 새해를 맞이하는 것은 당연한 모습이요, 삶이 된 것 같다. ...
    Views5829
    Read More
  10. No Image

    그래도 가야만 한다<송년>

    밀알선교단 자원봉사자 9학년 남학생에게 물었다. “세월이 참 빠르지?” 고개를 가로저었다. 아니란다. 그러면서 깨달았다. ‘그렇구나, 세월이 안간다’고 느끼는 세대도 있구나! 그러면서 그 나이에 나를 생각해 보았다. 경기도 양평...
    Views6148
    Read More
  11. 명품

    누군가는 명품 스포츠용품만 애호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흔히 신는 운동화 하나가 그렇게 고가인 줄은 전혀 몰랐다. 20년 전, 로스앤젤레스에 살고 있을 때이다. 한국에서 절친이 찾아왔는데 갑자기 “‘로데오거리’를 구경하고 싶다&rdquo...
    Views5868
    Read More
  12. 겨울 친구

    겨울의 차디찬 바람이 옷깃을 파고든다. 그래도 실내에 들어서면 온기가 충만하고 차에 올라 히터를 켜면 금방 따스해 지니 다행이다. 초등학교 시절에 겨울은 너무도 추웠다. 지금보다 날씨가 더 추웠는지 아니면 입은 옷이 시원치 않아서 그랬는지 그때는 ...
    Views5903
    Read More
  13. 누가 ‘욕’을 아름답다 하는가?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조용히, 어떨 때는 큰 소리로, 부드럽게 말을 할 때도 있지만 거칠고 성난 파도가 치듯 말을 하기도 한다. 말 중에 해독이 되는 것이 있는데 바로 ‘욕’이다. 세상을 살면서 욕 한마디 안 해본 사람이 있을까? 나는 비기...
    Views6329
    Read More
  14. 인연

    어느새 2022년의 끝자락이다. 3년의 길고 지루했던 팬데믹을 빠져나가는 듯한 느낌이 들어 금년 세모는 서러운 생각은 별로 안드는 것 같다. 돌아보니 금년에도 바쁘게 돌아쳤다. 1월 새해 사역을 시작하려니 오미크론이 번지며 점점 연기되어 갔다. 2월부터 ...
    Views5643
    Read More
  15. 인생을 살아보니

    젊을때는 긴장감을 놓을 수 없을 정도로 스쳐가는 삶을 살아야 한다. 미지의 세계를 향해 달려 나가는 청춘은 힘겹고 모든 것이 낯설다. 넘어지고 깨어지고 실수하지만 멈출 수도 없다. 학업, 이후의 취업. 그리고 인륜지대사 결혼. 이후에는 더 높은곳을 향...
    Views6295
    Read More
  16. 웃는 모습이 아름다워요

    사람을 만난다는 것은 인생에게 주어진 은총이다. 태어나 요람에 누우면 부모의 숨결, 들려주는 목소리가 아이를 만난다. “엄마해 봐, 아빠 해봐” 수만번을 어우르며 외치다 보면 드디어 아이의 입이 열린다. 말을 시작하며 아이는 소통을 시작한...
    Views6304
    Read More
  17. 결혼의 신기루

    연거푸 토요일마다 지인의 자녀 결혼식에 참석하느라 분주하게 보내고 있다. 바야흐로 결혼 시즌이다. 코발트색 가을하늘. 멋진 턱시도와 눈부신 웨딩드레스를 입고 서 있는 신랑 신부의 모습은 진정 영화의 한 장면처럼 영롱하다. 필라에는 정말 멋진 야외 ...
    Views6502
    Read More
  18. 기다려 주는 사랑

    누구나 눈을 뜨면 외출을 한다. 사업이나 직장으로, 혹은 사적인 일을 감당하기 위해 집을 나선다. 누군가 출입문을 나설때면 배웅을 해준다. 덕담을 곁들여서 말이다. 어린 시절에는 부모님께 “학교 다녀오겠습니다.” 깍듯이 인사를 하고 등교를...
    Views6243
    Read More
  19. 완전할 수 없는 인간의 그늘

    사람은 생각할수록 신비로운 존재이다. 우선 다양성이다. 미국에 살기에 실감하지만 피부색이 다르고 언어가 다를 뿐 아니라 문화가 다르다. 따라서 대화를 해보면 제스추어도 다양하다. 우리 한국 사람들은 정적이다. 대부분 목소리 톤이 낮다. 끄덕이며, 반...
    Views6341
    Read More
  20. 존재 자체로도 귀한 분들

    이 세상에서 제일 못난 사람이 있다면 자신의 부모를 부끄럽게 여기는 사람일 것이다. 부모는 자식의 뿌리이다. 부모 없이 내가 존재할 수 없다. 묻고 싶다. “과연 나는 나의 부모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학력, 인격, 경제력, 기타 어떤 조건을 ...
    Views606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