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01.17 17:44

모르는 것이 죄

조회 수 242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화가 난다.jpg

 

 

 소크라테스는 죄가 있다면 모르는 것이 죄라고 했다. 의식 지수 400이 이성이다. 우리는 눈만 뜨면 화를 내며 산다. 다 알지 않는가? 화를 자주 내는 사람보다 전혀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것을. 한번 터지면 걷잡을 수 없다. 풀리지 않는 환경 때문에 화가 나고 가까운 가족으로부터 사람 때문에 화가 난다. 화를 안 내고 사는 것은 불가능하며 오늘 화병에 걸리지 않은 것은 기적중에 기적이다. 왜 화를 내는가? 화가 날 일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그런데 알고 보면 결코 화날 일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결국 이게 다 몰라서 벌어지는 일이다. 들어가 보면 나를 못 만나서 일어나는 일이다.

 

 같은 일을 겪으면서도 화를 내며 못 견뎌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무덤덤하게 받아들이며 새로운 삶의 변환기로 활용한다. 이민생활이 얼마나 바쁜가? 자신을 돌아볼 시간도, 여유도 없다. 그러니까 왜 화를 내는지도 모르며 산다. 이성을 차리고 보면, 그 시점에서 벗어나 보면 그 일이 결코 화날 일이 아닌 것을 깨닫게 된다. 왜 그럴까? 생각과 느낌을 분리할 줄 몰라서이다. 그것을 분리하는 단계에 들어가면 그 일이 화가 날 일이 아님을 깨닫게 되는데 말이다. 이것을 분리하는 사람을 고수라고 한다. 왜 기도를 할까? 도인들은 왜 큰 바위에 가부좌를 한 채 눈을 감고 집중하는 것일까? 생각과 느낌이 갈라지는 신비한 경험을 하면 내가 확연히 보인다. 이 경지에 이르면 얼굴이 편해지고 희망에 가득 차고 기쁨이 올라오며 행복 해진다. 사랑하는 마음이 우러나오게 되는 것이다.

 

 사랑은 결심한다고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우러나와야 진짜이다. 엄마가 자식을 보는 눈, 할아버지가 손자를 보는 눈. 다짐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저절로 그 단계에 이른다. 대학에 들어가면 새내기끼리 MT를 가게 된다. 같은 학번, 같은 과가 되어 같은 룸에 앉아 있지만 자기 소개 시간에 겉모습만 보여준다. 하지만 외딴 장소에 가서 함께 음식을 먹고 깊은 대화를 나누며 하룻밤을 함께 지내고 나면 저절로 동지애가 생긴다. 그냥 바라보아만 보아도 좋고 눈만 마주쳐도 웃음이 나온다. 사랑하면 돕게 된다. 부축하며 격려한다.

 

 사랑이란 내 기대치가 차서가 아닌 지금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들이는 모습이다. 사람을 인간(人間)이라고 한다. ‘사람과 사람사이라는 것이다. 사람은 홀로 있으면 사람이 아니다. 홀로 잘난체하면 사람이 아니다. 일단 어울려야 한다. 함께해야 사람이다. 우울증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는가? 사람이 싫어진다. 사람이 무서워진다. 단계가 깊어지면 고립되고 어지러운 생각의 늪에 빠지게 된다. 결국 극단적인 선택까지 하게 된다. 행복해 지고 싶은가? 그러면 사람을 사랑하는 기술부터 익혀야 한다.

 사람은 다 다르다. 나와 같은 사람은 없다. 나와 다르기에 인정해주고 품어주는 훈련을 해야 한다. 사람만큼 감동을 주는 존재는 없다. 사람이 참 아름답다고 느껴지는 것처럼 행운은 없다. 동양의 고전 <논어>에 보면 공자 學而時習之 不亦悅好(학이시습지 불역열호야)”, 무슨 뜻인가?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반면, 서양 고대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대표 철학 중 스토아학파(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스피노자)인간은 이성으로 인해 신과 하나가 된다.”고 했다.

 

 화가 나면 이성이 작동하지 않는다. 감정이 없어져야 이성이 작동하기 시작한다. 화의 속성을 알아야 한다. 들어가 보면 자존심이다. 그런데 자존심이 어떻게 생겼는가? 형체가 없다. 그런데 사람들은 이것에 붙들려 싸움을 하고 사람까지 죽인다. 화가 날 때 우리는 물어야 한다. “그것이 화가 날 일입니까?” 생각과 느낌을 갈라내야 한다. 감정은 순간순간 쉽게 변한다. 이성은 시간이 걸리지만 애를 쓰다보면 기쁘게 사는 노하우를 깨우쳐 준다. 따라서 배워야 한다. 연마해야 한다. 고도의 깨달음에 다다를 때까지 독서를 하고 사람들과 대화하며 익혀야 한다. 삶의 기회는 단 1회뿐이다. 살아있는 날 동안 배우고 깨달으며 행복의 경지에 도달하자.


  1. 두 팔 없는 미인대회 우승자

    각 나라마다 미인대회가 있다. 우리나라에도 1957년부터 미스코리아 선발대회가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름다움을 드러내어 뽐내고 싶은 마음은 여성들의 본능인 듯 싶다. 세월이 흘러 이제 그런 대회는 멈추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지만 상업...
    Views24055
    Read More
  2.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6329
    Read More
  3. 다시 태어난다면

    부부는 참 신비하다. 처음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할 때는 못죽고 못사는데 평생 평탄하게 사는 부부는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거의 세월의 흐름 속에 데면데면 밋밋한 관계가 된다. 누구 말처럼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고갈되어 그런 것인...
    Views24791
    Read More
  4. 모르는 것이 죄

    소크라테스는 “죄가 있다면 모르는 것이 죄”라고 했다. 의식 지수 400이 이성이다. 우리는 눈만 뜨면 화를 내며 산다. 다 알지 않는가? 화를 자주 내는 사람보다 전혀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것을. 한번 터지면 걷잡을 수 없다. 풀리...
    Views24298
    Read More
  5.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25892
    Read More
  6.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4898
    Read More
  7.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7150
    Read More
  8.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6993
    Read More
  9.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30134
    Read More
  10.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7658
    Read More
  11.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8902
    Read More
  12.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7789
    Read More
  13.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8317
    Read More
  14.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8733
    Read More
  15. 그래도 살아야 한다

    지난 14일.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살.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
    Views29859
    Read More
  16.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30148
    Read More
  17.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7755
    Read More
  18. 침묵 속에 버려진 청각장애인들

    “숨을 내쉬면서 혀로 목구멍을 막는 거야. ‘학’ 해 봐.” 6살 “별이”는 엄마와 ‘말 연습’을 하고 있다. 마주 앉은 엄마가 입을 크게 벌리고 “학”이라고 말하면 별이는 ‘하’ 아니면 &...
    Views31654
    Read More
  19.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7701
    Read More
  20.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89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