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10.16 10:03

나무야, 나무야

조회 수 197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나무의자태.jpg

 

 

  초등학교 1학년. 당시 아버지는 경기도 양평 지제(지평)지서에 근무중이셨다. 이제 겨우 입학을 하고 학교생활에 흥미를 가지게 될 5월초였다. 방과 후 집에 돌아와 친구랑 자치기를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아버지가 나타나셨다. 그 시간이면 한창 근무할 때인데 필요한 것이 있어서 집에 들르신 것 같았다. 집을 나서던 아버지가 내게 다가오셨다. 다짜고짜 자치기하던 나무를 나꿔채더니 이것은 재철이 나무다말씀하시며 장독대 옆 땅에 나무를 찔러 넣으셨다. 황당해 하는 나를 뒤로하고 아버지는 손을 흔들며 지서로 가버리셨다. 지금 생각해도 이해가 안간다. 왜 하필 아들이 즐겨하던 자치기 나무를 심으셨는지? 아버지의 독특한 취향에 미소가 번진다. 그렇게 식목 아닌 식목을 하게 되었다. 미루나무는 잘도 자랐다. 여름이 깊어지며 자치기 나무는 내 키만큼 올라왔다.

 

 

 

  2학년이 되면서 아버지는 양평경찰서 본서로 전근을 하셨다. 아버지를 따라 이사를 하면서 마음에 걸린 것은 재철이 나무였다. 헤어지는 아쉬움을 뒤로하고 우리 가족은 그곳을 떠났다. 이후 강상, 서종으로 전학을 다니면서도 가끔 떠오르는 것은 그 나무의 모습이었다. 6학년이 되어서였을까? 우연히 가게 된 지제. 친구들에게 물어물어 5년 전 내가 살던 옛집에 들르게 되었다. 집을 돌아서서 장독대 앞에 다다르자 우람한 나무 한그루가 자태를 드러냈다. 바로 재철이 나무였다. 정말 잘 자라있었다. 나무 아래로 제법 널찍한 그늘을 펼쳐뜨리며 집 풍광을 돋보이게 하고 있었다. 반가웠다. 고마웠다. 그리운 사람을 만난듯 눈물이 솟구쳤다.

 

 

 

  서종에 살 때는 집 앞에 오리나무가 동네 중심을 잡아주었다. 그 곁에 우물과 작은 도랑. 그리고 평행봉. 조금 더 나아가면 자그마한 시냇물이 그림처럼 흘렀다. 지금도 눈을 감으면 손에 잡힐 듯 떠오르는 행복한 풍경이다. 우리는 틈만 나면 나무에 올랐다. 우리 세대의 시골아이들은 나무를 잘 탔다. 마치 원숭이처럼 능숙하게 나무에 올랐다. 아래에서보다는 높은 나무에 올라 잎사귀 사이로 바라보는 마을의 풍경은 정취가 남달랐다. 그렇게 우리는 노래를 부르고 꿈을 꾸고 어른들이 나누던 소문을 공유하며 부자가 되어갔다.

 

 

 

  결혼을 했다. 장인은 자그마한 분재원을 운영하고 계셨다. 처가 곳곳에 기괴한 형상의 크고 작은 돌들이 자리를 하고 그 사이사이에 모양과 크기가 다른 나무들이 즐비하게 서 있었다. 장인은 차를 타고 가다가도 세우고 돌을 실었다. 나무를 수집하셨다. 평범한 돌과 나무가 장인의 손질을 거치면 명품으로 가꾸어졌다. 처가에 가면 설명을 들으며 분재원을 돌아보는 것이 첫 코스였다. 그 누구보다 나무를 사랑하는 장인의 정성이 장수의 비결인 듯도 싶다.

 

 

  식물 중에 가장 사람을 닮은 것이 나무인 듯하다. 땅에 깊은 뿌리를 내리고 위로 솟아오르는 모습, 그리고 두 팔을 벌린 듯 뻗어가는 가지들. 숲을 거닐면 나무의 독특한 향들이 다가온다. 나무는 다가오는 사람에게 안락함과 편안함을 안겨준다. 한 그루의 나무가 우뚝 서기까지의 과정은 결코 녹록치 않다. 비바람과 온갖 벌레의 성가심을 견뎌내야만 한다. 실로 모진 환경을 매몰차게 견뎌야 새봄 연녹색 이파리를 피어낼 수 있다. 그렇게 어엿한 어른 나무로 자라나면 어여쁜 잎과 꽃이 피어나기 시작한다. 온갖 새들이 찾아와 세상 소식을 들려주고 동물들의 놀이터로 온몸을 내어준다. 무더운 여름에는 사람들에게 시원한 그늘도 만들어 준다.

 

  나무는 고맙게도 자신을 올라타 휘감고 조이어 오르는 각종 넝쿨을 너그럽게 받아주며 공생을 한다. 숲을 지키던 우람한 나무(때죽나무)는 생명이 다하면 마지막 남은 진액으로 사력을 다해 잎이 돋아나는 것을 참고 꽃만을 흠뻑 피우고 일생을 마감한다. 나무는 한동안 잎과 가지도 없이 서서 독수리 쉼에 자리가 된다. 쓰러져 버섯의 자리가 되고 굼벵이에 집터가 된다. 결국 조용히 흙으로 돌아가 삶을 내려놓고 마감한다. 나무야! 너는 어쩜 사람의 일생을 닮았구나! 떠나는 그 순간까지도 남을 위해 모든 것을 내어주는 너는 진정 고귀한 선물이로고.

 

 

 

 

 

 


  1. 나와 맞짱뜨기 6/27/2014

    나는 공포영화를 좋아한다. 그것도 잔인하리만큼 참혹한 장면을 보는 것을 즐겨한다. 내 스스로도 ‘왜 그런 영화를 좋아하는지?’ 알아차리지도 못한 채 무방비로 그런 영화에 매료되었다. 어떤 때는 괴상한 형상을 한 물체가 등장하기도 한다. &l...
    Views66411
    Read More
  2. 나에게 영성은…

    같은 인생을 살면서도 눈앞만 보고 걷는 사람이 있고, 내다보고 사는 인생이 있다. 중학교 동창 중에 희한한 친구가 있다. 남들은 공부를 열심히 해서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좋은 대학교에 가는 것을 목표로 살아가고 있을때에 미국을 품는다. 벼...
    Views32519
    Read More
  3. 나빌레라

    딸에게서 톡이 왔다. “아빠, 아빠가 좋아할 듯한 드라마 소개할께요. 나빌레라” 일단 “댕큐”라고 답을 하고 한참이 지난 후에 드라마를 보았다. 금방 빠져들었다. 주인공 노인이 발레에 도전하는 획기적인 줄거리였다. 연기파 박인환...
    Views16271
    Read More
  4. 나무야, 나무야

    초등학교 1학년. 당시 아버지는 경기도 양평 지제(지평)지서에 근무중이셨다. 이제 겨우 입학을 하고 학교생활에 흥미를 가지게 될 5월초였다. 방과 후 집에 돌아와 친구랑 자치기를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아버지가 나타나셨다. 그 시간이면 한창 근무할 때인...
    Views19764
    Read More
  5. 나만 몰랐다

    “김치만 먹는 개”라는 영상을 보았다. 개는 늑대의 후손이다. 과거에는 사람들이 먹고 남은 찌꺼기를, 이제는 사료를 먹지만 개는 사실 육식동물이다. 그런데 이 개는 김치만 먹는다. 그것도 아주 매운 김치만.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 그 이유가...
    Views18101
    Read More
  6.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8308
    Read More
  7. 나를 만든것은 바람 8/28/15

    미당 서정주 선생은 “자화상”이라는 시에서 이렇게 노래한다. “스믈세햇동안 나를 키운건 8할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 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입에서 천치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Views68508
    Read More
  8. 나도 아프다 8/25/2010

    세상을 사는 것은 언제나 콧노래를 부르는 여정이 아님을 나이가 들어가며 안다. 한국에는 여름이면 장마철이 찾아온다. 한창 뛰어놀기 좋아하던 어린 시절에는 우기(雨期)가 그렇게 미웠다. 어느 날, 처마 밑에 쪼그리고 앉아 쏟아지는 빗줄기를 바라보고 있...
    Views71757
    Read More
  9. 나도 가고 너도 가야지 11/27/15

    초등학교 3학년으로 기억한다. 나는 그때 경기도 양평군 “강상”이란 곳에 살았다. 세를 들어 살았는데 집 주인은 양평과 강상사이를 오가는 배에 노를 젓는 뱃사공이었다. 집은 동리에서 조금 떨어져 있었고 집 위로 나지막한 산이 있었다. 문제...
    Views68292
    Read More
  10. 나는 엄마다 2/25/2012

    젊은 남녀가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식을 올린다. 1년 만에 예쁜 딸이 태어났다. 얼마나 착하고 말을 잘 듣는지 가정에는 항상 웃음꽃이 피었다. 몇 년 만에 다시 임신을 하고 아들을 낳았다. 아이가 자라며 놀이방에 맡겼는데 얼마 되지 않아 원장에게 &ldquo...
    Views73536
    Read More
  11. No Image

    나는 멋진 사람

    대부분 핸드폰을 열면 가족사진이나 풍경이 배경으로 깔려있다. 독특하게 내 폰은 배경이 나다. 언젠가 가족모임을 가지면서 독사진을 찍었는데 내 웃는 얼굴이 마음에 들어서이다. 며칠 전, 지인과 대화 중에 내 핸드폰을 보며 “특이하시네요. 핸드폰 ...
    Views5754
    Read More
  12. 나는 괜찮은 사람인가?

    사람들마다 자아상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스스로 느끼는 방향과 다른 사람을 통해 받는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얼마 전, 한국에 나가 대학 동창을 만났다. 개척하여 성장한 중형교회를 건실하게 목회해 왔는데 무리를 했는지 급격히 건강이 악화되어 작년 말....
    Views7522
    Read More
  13. 끝나기 전에는 끝난 것이 아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평탄한 길만 가는 것이 아니다. 험산 준령을 만날 때도 있고 무서운 풍파와 생각지 않은 캄캄한 밤을 지날 때도 있다. 그런 고통의 시간을 만날 때 사람들은 좌절한다. “이제는 끝이라”고 생각하고 포기 해 버린다. 이 땅에는 성...
    Views32598
    Read More
  14. 끊고 시작하고 1/28/2011

    중학교를 시골(양평)에서 다닌 후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로 진학을 하면서 나는 그리운 친구들과 헤어지게 되었다. 기차역까지 배웅을 나와 떠나가는 나를 향해 플랫 홈에서 손을 흔들어주던 친구들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어린 날에 정들었던 친구들과...
    Views76017
    Read More
  15. 꽃은 말한다

    봄이다. 난데없이 함박눈이 쏟아져 사람들을 ‘화들짝’ 놀라게 하지만 봄은 서서히 대지를 점령해 가고 있다. 가을을 보내며 만났던 겨울. 화롯불에 고구마를 구어 먹는 옛 정취는 사라졌지만 그런대로 겨울 찬바람에 정이 들어갔다. 간간히 뿌리...
    Views68831
    Read More
  16. 꼰대여, 늙은 남자여!

    사람은 다 늙는다. 여자나 남자나 다 늙어간다. 나이가 들어가는 서러움을 달랠량으로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소리쳐 보지만 늙어가는 것은 어찌할 수가 없다. 젊은이들에게 나이든 남자의 이미지를 물었다.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
    Views56675
    Read More
  17.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7666
    Read More
  18. 깨어나십시오!

    신앙생활을 한다는 것은 한마디로 깨어난다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지 않은 인생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캄캄한 길을 가는 사람과 같다. 그러니까 평생을 헤매 일 수밖에 없다.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면 눈이 떠진다. 인생이 어디에서 왔으며, 무엇을...
    Views60210
    Read More
  19. 깡통차기

    초등학교 시절, 학교를 나서며 찌그러진 깡통 하나를 발견했다. 처음에는 장난삼아 ‘툭툭’치고 가다가 시간이 지나며 ‘사명감’(?)에 차고 나가고, 나중에는 오기가 발동하면서 집에 올 때까지 ‘깡통차기’는 계속된다. 잘...
    Views53665
    Read More
  20. 깍두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 중에 하나가 “깍두기”이다. 무우를 알맞은 크기로 잘라 적당히 양념을 버무려놓으면 감칠맛 나는 “깍두기”가 탄생한다. “깍두기”하면 설렁탕이 생각나는 것은 둘이 너무나 궁합이 잘 맞기 때문...
    Views8504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