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89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기러기.jpg

 

초등학교 3학년으로 기억한다. 나는 그때 경기도 양평군 “강상”이란 곳에 살았다. 세를 들어 살았는데 집 주인은 양평과 강상사이를 오가는 배에 노를 젓는 뱃사공이었다. 집은 동리에서 조금 떨어져 있었고 집 위로 나지막한 산이 있었다. 문제는 바로 그곳에 나란히 자리한 산소 두 개였다. 친구들과 동리에서 놀다가 한밤중에 집으로 돌아 올 때가 문제였다. 거의 집에 당도할 즈음 왼쪽으로 눈을 돌리면 무덤 두 개가 시야에 들어왔다. 무서웠다. 그때는 귀신이야기가 많기도 많았다.

 

천천히 걸어오다가도 집이 가까워지면 부실한 걸음이지만 바삐 움직였다. 대문에 들어서자마자 번개처럼 대문을 닫고 빗장을 질렀다. 귀신이 뒷덜미를 낚아채는 것 같은 공포감이 엄습해 왔기 때문이다. 어린 나는 악몽을 많이 꾸었다. 그 당시 흔하게 퍼져 다니던 전설처럼 밤중만 되면 산소를 가르고 나오는 노인부부의 형상 때문이었다. 그러면서 죽음의 공포에 시달려야 했다.

 

어머니는 한밤중에 소리를 지르고 식은땀을 흘리며 잠을 깨는 나를 안쓰러운 눈으로 바라보셨다. 그리 길지 않는 세월이었지만 그때만큼 죽음을 깊이 생각한 시기도 없었던 것 같다. “죽음은 무엇일까?” 초등학교 어린 시절부터 스스로에게 수없이 던졌던 질문이었다. 전혀 신앙배경이 없는 내가 교회를 쉽게 찾게 된 것은 어린 시절에 다가온 “죽음에 대한 공포”가 계기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좋게 말하면 어릴 때부터 종교성이 풍부했다고나 할까?

 

내 삶에 충격적인 기억은 앳된 나이에 외할아버지의 시신이 땅속으로 들어가는 광경을 목격한 것이다. 사람들이 누런 색깔에 베로 둘둘 싸여진 시신을 관에서 꺼내(내 고향 포천에서는 탈관을 함) 매장하는 장면을 보게 된 것이다. 어머니는 내 시야를 가리려 애썼지만 기필코(?) 나는 그 금기장면을 목격하고야 말았다. 어린 마음이기에 무서웠다.

 

그러다가 초등학교 1학년 여름. 양평군 “지제”(지평)에서 살 때였다. 아버지가 경찰인 까닭에 나는 영화를 자유자재로 그것도 공짜로 볼 수 있는 특권이 있었다. 그 당시 경찰관 가족에게는 극장 프로가 바뀔 때마다 초대권이 꼬박꼬박 주어졌다. 그때 본 영화가“지옥문”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어떻게 어린 나이에 그런 무서운 영화를 보았는지 의문이다. 나중에 알았지만 그 영화는 윤회설을 근거한 불교영화였다. 영화장면 중에 지옥이 나오는데 무서운 불구덩이와 뱀들이 우글거리는 장면은 끔찍했다.

 

이런저런 성장과정을 통해 나는 일찍부터 ‘죽음’이라는 명제를 생각하며 살았다. 사람이 처음 태어날 때에는 모든 것이 두렵고 의심스럽고 불안하다. 그래서인지 모든 아기는 울면서 태어난다. 그러나 이 세상을 떠나 갈 때는 갈래 길에 서게 된다. 내가 누구이고 내가 어디로 가는지를 알고 가는 사람은 웃으면서 갈 수 있다. 어떻게 웃으면서 죽음을 맞이할 수 있을까? 삶에는 요령이 있고 수준이 있다. 의식 수준에 따라서 삶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지게 된다.

 

가곡 “이별의 노래”(박목월 시, 김성태 곡)가 가슴으로 다가온다. “1. 기러기 울어 예는 하늘 구만리 바람이 싸늘 불어 가을은 깊었네 아~ 아~ 너도 가고 나도 가야지. 2. 한 낮이 기울면 밤이 오듯이 우리의 사랑도 저물었네 아~ 아~ 너도 가고 나도 가야지 3. 산촌에 눈이 쌓인 어느 날 밤에 촛불을 밝혀두고 홀로 울리라 아~ 아~ 너도 가고 나도 가야지” “아~ 아~ ”가 클라이막스건만 글로 표현하려니 한계가 있다. 그렇다. 언젠가 우리는 가야만 한다. 그 길을 가는 데는 예외가 없다.

 

공교롭게도 칼럼을 다듬어 가는 순간, “전 김영삼 대통령”의 서거소식을 들었다. 그는 암울한 시대에 청년들의 가슴에 민주화의 불길을 붙였던 기수였다. “위대한 국민여러분!”으로 시작하는 억센 경상도 억양의 외침이 귀에 쟁쟁하다. 그도 88세를 일기로 먼 길을 떠났다. 그러고 보니 신학동기들 중에도 젊은 나이에 천국으로 간 친구들이 있다. 그립다. 언젠가 나도 떠날 때가 오겠지? 이왕이면 많은 사람들을 울리며 떠나고 싶은 것은 과한 욕심일까?


  1. 나와 맞짱뜨기 6/27/2014

    나는 공포영화를 좋아한다. 그것도 잔인하리만큼 참혹한 장면을 보는 것을 즐겨한다. 내 스스로도 ‘왜 그런 영화를 좋아하는지?’ 알아차리지도 못한 채 무방비로 그런 영화에 매료되었다. 어떤 때는 괴상한 형상을 한 물체가 등장하기도 한다. &l...
    Views66965
    Read More
  2. 나에게 영성은…

    같은 인생을 살면서도 눈앞만 보고 걷는 사람이 있고, 내다보고 사는 인생이 있다. 중학교 동창 중에 희한한 친구가 있다. 남들은 공부를 열심히 해서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좋은 대학교에 가는 것을 목표로 살아가고 있을때에 미국을 품는다. 벼...
    Views33043
    Read More
  3. 나빌레라

    딸에게서 톡이 왔다. “아빠, 아빠가 좋아할 듯한 드라마 소개할께요. 나빌레라” 일단 “댕큐”라고 답을 하고 한참이 지난 후에 드라마를 보았다. 금방 빠져들었다. 주인공 노인이 발레에 도전하는 획기적인 줄거리였다. 연기파 박인환...
    Views16719
    Read More
  4. No Image

    나비 효과

    “브라질 아마존강에 살고 있는 나비가 날개를 흔드는 것이 미국 텍사스 주 토네이도(tornado) 태풍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놀랍게도 “그렇다”이다. 미국 MIT 대학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가 이런 의문...
    Views1313
    Read More
  5. 나무야, 나무야

    초등학교 1학년. 당시 아버지는 경기도 양평 지제(지평)지서에 근무중이셨다. 이제 겨우 입학을 하고 학교생활에 흥미를 가지게 될 5월초였다. 방과 후 집에 돌아와 친구랑 자치기를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아버지가 나타나셨다. 그 시간이면 한창 근무할 때인...
    Views20121
    Read More
  6. 나만 몰랐다

    “김치만 먹는 개”라는 영상을 보았다. 개는 늑대의 후손이다. 과거에는 사람들이 먹고 남은 찌꺼기를, 이제는 사료를 먹지만 개는 사실 육식동물이다. 그런데 이 개는 김치만 먹는다. 그것도 아주 매운 김치만.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 그 이유가...
    Views18448
    Read More
  7.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8760
    Read More
  8. 나를 만든것은 바람 8/28/15

    미당 서정주 선생은 “자화상”이라는 시에서 이렇게 노래한다. “스믈세햇동안 나를 키운건 8할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 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입에서 천치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Views69099
    Read More
  9. 나도 아프다 8/25/2010

    세상을 사는 것은 언제나 콧노래를 부르는 여정이 아님을 나이가 들어가며 안다. 한국에는 여름이면 장마철이 찾아온다. 한창 뛰어놀기 좋아하던 어린 시절에는 우기(雨期)가 그렇게 미웠다. 어느 날, 처마 밑에 쪼그리고 앉아 쏟아지는 빗줄기를 바라보고 있...
    Views72473
    Read More
  10. 나도 가고 너도 가야지 11/27/15

    초등학교 3학년으로 기억한다. 나는 그때 경기도 양평군 “강상”이란 곳에 살았다. 세를 들어 살았는데 집 주인은 양평과 강상사이를 오가는 배에 노를 젓는 뱃사공이었다. 집은 동리에서 조금 떨어져 있었고 집 위로 나지막한 산이 있었다. 문제...
    Views68925
    Read More
  11. 나는 엄마다 2/25/2012

    젊은 남녀가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식을 올린다. 1년 만에 예쁜 딸이 태어났다. 얼마나 착하고 말을 잘 듣는지 가정에는 항상 웃음꽃이 피었다. 몇 년 만에 다시 임신을 하고 아들을 낳았다. 아이가 자라며 놀이방에 맡겼는데 얼마 되지 않아 원장에게 &ldquo...
    Views74145
    Read More
  12. No Image

    나는 멋진 사람

    대부분 핸드폰을 열면 가족사진이나 풍경이 배경으로 깔려있다. 독특하게 내 폰은 배경이 나다. 언젠가 가족모임을 가지면서 독사진을 찍었는데 내 웃는 얼굴이 마음에 들어서이다. 며칠 전, 지인과 대화 중에 내 핸드폰을 보며 “특이하시네요. 핸드폰 ...
    Views5968
    Read More
  13. 나는 괜찮은 사람인가?

    사람들마다 자아상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스스로 느끼는 방향과 다른 사람을 통해 받는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얼마 전, 한국에 나가 대학 동창을 만났다. 개척하여 성장한 중형교회를 건실하게 목회해 왔는데 무리를 했는지 급격히 건강이 악화되어 작년 말....
    Views7807
    Read More
  14. 끝나기 전에는 끝난 것이 아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평탄한 길만 가는 것이 아니다. 험산 준령을 만날 때도 있고 무서운 풍파와 생각지 않은 캄캄한 밤을 지날 때도 있다. 그런 고통의 시간을 만날 때 사람들은 좌절한다. “이제는 끝이라”고 생각하고 포기 해 버린다. 이 땅에는 성...
    Views32990
    Read More
  15. 끊고 시작하고 1/28/2011

    중학교를 시골(양평)에서 다닌 후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로 진학을 하면서 나는 그리운 친구들과 헤어지게 되었다. 기차역까지 배웅을 나와 떠나가는 나를 향해 플랫 홈에서 손을 흔들어주던 친구들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어린 날에 정들었던 친구들과...
    Views76752
    Read More
  16. 꽃은 말한다

    봄이다. 난데없이 함박눈이 쏟아져 사람들을 ‘화들짝’ 놀라게 하지만 봄은 서서히 대지를 점령해 가고 있다. 가을을 보내며 만났던 겨울. 화롯불에 고구마를 구어 먹는 옛 정취는 사라졌지만 그런대로 겨울 찬바람에 정이 들어갔다. 간간히 뿌리...
    Views69494
    Read More
  17. 꼰대여, 늙은 남자여!

    사람은 다 늙는다. 여자나 남자나 다 늙어간다. 나이가 들어가는 서러움을 달랠량으로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소리쳐 보지만 늙어가는 것은 어찌할 수가 없다. 젊은이들에게 나이든 남자의 이미지를 물었다.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
    Views57424
    Read More
  18.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8117
    Read More
  19. 깨어나십시오!

    신앙생활을 한다는 것은 한마디로 깨어난다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지 않은 인생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캄캄한 길을 가는 사람과 같다. 그러니까 평생을 헤매 일 수밖에 없다.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면 눈이 떠진다. 인생이 어디에서 왔으며, 무엇을...
    Views60803
    Read More
  20. 깡통차기

    초등학교 시절, 학교를 나서며 찌그러진 깡통 하나를 발견했다. 처음에는 장난삼아 ‘툭툭’치고 가다가 시간이 지나며 ‘사명감’(?)에 차고 나가고, 나중에는 오기가 발동하면서 집에 올 때까지 ‘깡통차기’는 계속된다. 잘...
    Views542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