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01.31 13:54

조회 수 281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롯데껌.jpg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고급 식품(?)이었다. 껌 하나만 입에 물면 부러운 것이 없었다. 껌을 처음 맛본 후 껌이 씹고 싶어 애타하던 기억이 새롭다. 우리나라에 껌이 처음 들어온 것은 한국 전쟁에 참여한 미군 병사들에 의해서이다. 내가 어린 시절 미군이 지나갈 때 손을 흔들며 “Hello, Give Me!”하고 외치면 던져주던 것이 껌이었으니까.

 

  지금처럼 껌을 씹다가 단물이 빠지면 버린다는 것은 그 당시에는 상상도 못할 일이다. 껌을 씹다가 밥을 먹을 때면 밥상에 올려놓았다. 아버지가 뭐라고 하실까봐 상 옆모서리에 붙여 놓기도 했다. 밥을 다 먹고 나면 그 껌을 또 씹는다. 밤에 잘 때는 어떠했을까? 벽에다 붙여 놓고 잠을 잔다. 아침에 일어나 껌을 떼려하면 잘 떨어지지를 않는다. 간신히 떼어내면 껌에는 벽지가 같이 달라붙어 있었다. 대충 떼어내고 다시 씹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맛이 찝찔하고 이상하지만 우리는 그 정도에 흔들리지 않았다.

 

  그 시절에는 희한한 것만 있으면 들고나와 친구들에게 자랑하는 것이 아이들의 낙()이었다. 나의 어머니는 먹는 음식은 절대 집 밖으로 들고 나가서는 안 된다고 가르치셨기에 나는 하고 싶어도 참아야 했다. 그러나 껌은 예외였다. 그것은 엄연히 기호식품이 아니던가? 그날도 벌써 며칠째 고이 간직해 온 껌을 멋들어지게 씹으면서 친구들이 놀고 있는 마당으로 나아갔다. 그런데, ‘인식이 주위에 아이들이 잔뜩 몰려 있었다. 가까이 가보니 인식이가 씹던 껌을 손바닥에 놓고 자랑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껌의 색깔이 빨간색이었다. 그 당시에는 껌 색깔은 다 흰색이었기에 인식이의 껌은 촌놈(?)들의 부러움을 집중시키기에 충분하였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그 아이는 영악하게도 껌을 크레용과 함께 씹어서 색깔을 내었던 것이다. 그 이후 우리 동네 아이들이 씹는 껌은 다양한 색깔로 둔갑을 하기 시작했다.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을 그 당시 아이들은 아무렇지 않게 저지르며 살았다. 아직도 후유증이 없는 것을 보면 껌과 크레용을 함께 씹어 먹은 것은 크게 해롭지는 않았던 모양이다. 그러다가 큰 사건이 벌어졌다. 학교에 갔는데 명달리에 사는 아이가 풍선껌을 씹고 나타난 것이다. 그 아이가 껌을 씹다 말고 만들어 내는 풍선은 우리 반 아이들의 경악을 자아내기에 충분하였다. 한참 후에 만난 풍선 껌풍선은 맘처럼 만들어지지 않았고, 친구의 코치를 받으며 혀를 교묘하게 놀려 만들어 낸 껌 풍선을 보고 스스로 얼마나 감격했는지 모른다.

 

  그렇게 열심히 씹다보면 나중에는 껌이 삭아버린다. 그때서야 껌을 땅에 묻으며 얼마나 아쉬워했던지. 그런데, 나의 누이는 그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씹던 껌을 손으로 비벼 말아서 ,소리를 내며 가지고 놀다가 그제서야 버렸다. 껌은 갈증과 긴장감 해소에 좋다고 한다.  순환에도 유익하다나? 많은 스포츠 선수들이 경기 중 껌을 씹는 것은 그런 이유일 것이다. 돈이 얼마 되지 않을 때 우리는 종종 껌 값이라고 한다. 그러나 미국 내에서만 한해에 미국인들이 껌 값으로 지출하는 금액은 무려 27억 달러나 된다고 한다. 껌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껌 안에 카페인을 첨가시켜 정신 나게 해주는 껌에서 비타민 대신 먹는 껌, 살을 빠지게 해주는 껌, 입안의 냄새를 제거해주는 껌 등 그 종류는 갈수록 다양해져 가고 있다.

 

  다양한 모양과 맛의 껌을 마음대로 즐길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풍요 속에서 감사할 수 있음은 껌 하나만으로도 감격했던 어린 시절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고 신격호 회장은 우리가 씹은 껌으로 지상 123층의 롯데월드타워를 세웠다. 껌값이라고 무시해서는 안될 것 같다. ! 다함께 껌을 씹으며 오늘의 피로를 날려 버리자!

 


  1. 나와 맞짱뜨기 6/27/2014

    나는 공포영화를 좋아한다. 그것도 잔인하리만큼 참혹한 장면을 보는 것을 즐겨한다. 내 스스로도 ‘왜 그런 영화를 좋아하는지?’ 알아차리지도 못한 채 무방비로 그런 영화에 매료되었다. 어떤 때는 괴상한 형상을 한 물체가 등장하기도 한다. &l...
    Views66965
    Read More
  2. 나에게 영성은…

    같은 인생을 살면서도 눈앞만 보고 걷는 사람이 있고, 내다보고 사는 인생이 있다. 중학교 동창 중에 희한한 친구가 있다. 남들은 공부를 열심히 해서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좋은 대학교에 가는 것을 목표로 살아가고 있을때에 미국을 품는다. 벼...
    Views33043
    Read More
  3. 나빌레라

    딸에게서 톡이 왔다. “아빠, 아빠가 좋아할 듯한 드라마 소개할께요. 나빌레라” 일단 “댕큐”라고 답을 하고 한참이 지난 후에 드라마를 보았다. 금방 빠져들었다. 주인공 노인이 발레에 도전하는 획기적인 줄거리였다. 연기파 박인환...
    Views16719
    Read More
  4. No Image

    나비 효과

    “브라질 아마존강에 살고 있는 나비가 날개를 흔드는 것이 미국 텍사스 주 토네이도(tornado) 태풍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놀랍게도 “그렇다”이다. 미국 MIT 대학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가 이런 의문...
    Views1313
    Read More
  5. 나무야, 나무야

    초등학교 1학년. 당시 아버지는 경기도 양평 지제(지평)지서에 근무중이셨다. 이제 겨우 입학을 하고 학교생활에 흥미를 가지게 될 5월초였다. 방과 후 집에 돌아와 친구랑 자치기를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아버지가 나타나셨다. 그 시간이면 한창 근무할 때인...
    Views20121
    Read More
  6. 나만 몰랐다

    “김치만 먹는 개”라는 영상을 보았다. 개는 늑대의 후손이다. 과거에는 사람들이 먹고 남은 찌꺼기를, 이제는 사료를 먹지만 개는 사실 육식동물이다. 그런데 이 개는 김치만 먹는다. 그것도 아주 매운 김치만.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 그 이유가...
    Views18448
    Read More
  7.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8760
    Read More
  8. 나를 만든것은 바람 8/28/15

    미당 서정주 선생은 “자화상”이라는 시에서 이렇게 노래한다. “스믈세햇동안 나를 키운건 8할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 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입에서 천치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Views69099
    Read More
  9. 나도 아프다 8/25/2010

    세상을 사는 것은 언제나 콧노래를 부르는 여정이 아님을 나이가 들어가며 안다. 한국에는 여름이면 장마철이 찾아온다. 한창 뛰어놀기 좋아하던 어린 시절에는 우기(雨期)가 그렇게 미웠다. 어느 날, 처마 밑에 쪼그리고 앉아 쏟아지는 빗줄기를 바라보고 있...
    Views72473
    Read More
  10. 나도 가고 너도 가야지 11/27/15

    초등학교 3학년으로 기억한다. 나는 그때 경기도 양평군 “강상”이란 곳에 살았다. 세를 들어 살았는데 집 주인은 양평과 강상사이를 오가는 배에 노를 젓는 뱃사공이었다. 집은 동리에서 조금 떨어져 있었고 집 위로 나지막한 산이 있었다. 문제...
    Views68925
    Read More
  11. 나는 엄마다 2/25/2012

    젊은 남녀가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식을 올린다. 1년 만에 예쁜 딸이 태어났다. 얼마나 착하고 말을 잘 듣는지 가정에는 항상 웃음꽃이 피었다. 몇 년 만에 다시 임신을 하고 아들을 낳았다. 아이가 자라며 놀이방에 맡겼는데 얼마 되지 않아 원장에게 &ldquo...
    Views74145
    Read More
  12. No Image

    나는 멋진 사람

    대부분 핸드폰을 열면 가족사진이나 풍경이 배경으로 깔려있다. 독특하게 내 폰은 배경이 나다. 언젠가 가족모임을 가지면서 독사진을 찍었는데 내 웃는 얼굴이 마음에 들어서이다. 며칠 전, 지인과 대화 중에 내 핸드폰을 보며 “특이하시네요. 핸드폰 ...
    Views5968
    Read More
  13. 나는 괜찮은 사람인가?

    사람들마다 자아상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스스로 느끼는 방향과 다른 사람을 통해 받는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얼마 전, 한국에 나가 대학 동창을 만났다. 개척하여 성장한 중형교회를 건실하게 목회해 왔는데 무리를 했는지 급격히 건강이 악화되어 작년 말....
    Views7807
    Read More
  14. 끝나기 전에는 끝난 것이 아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평탄한 길만 가는 것이 아니다. 험산 준령을 만날 때도 있고 무서운 풍파와 생각지 않은 캄캄한 밤을 지날 때도 있다. 그런 고통의 시간을 만날 때 사람들은 좌절한다. “이제는 끝이라”고 생각하고 포기 해 버린다. 이 땅에는 성...
    Views32990
    Read More
  15. 끊고 시작하고 1/28/2011

    중학교를 시골(양평)에서 다닌 후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로 진학을 하면서 나는 그리운 친구들과 헤어지게 되었다. 기차역까지 배웅을 나와 떠나가는 나를 향해 플랫 홈에서 손을 흔들어주던 친구들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어린 날에 정들었던 친구들과...
    Views76752
    Read More
  16. 꽃은 말한다

    봄이다. 난데없이 함박눈이 쏟아져 사람들을 ‘화들짝’ 놀라게 하지만 봄은 서서히 대지를 점령해 가고 있다. 가을을 보내며 만났던 겨울. 화롯불에 고구마를 구어 먹는 옛 정취는 사라졌지만 그런대로 겨울 찬바람에 정이 들어갔다. 간간히 뿌리...
    Views69494
    Read More
  17. 꼰대여, 늙은 남자여!

    사람은 다 늙는다. 여자나 남자나 다 늙어간다. 나이가 들어가는 서러움을 달랠량으로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소리쳐 보지만 늙어가는 것은 어찌할 수가 없다. 젊은이들에게 나이든 남자의 이미지를 물었다.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
    Views57424
    Read More
  18.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8117
    Read More
  19. 깨어나십시오!

    신앙생활을 한다는 것은 한마디로 깨어난다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지 않은 인생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캄캄한 길을 가는 사람과 같다. 그러니까 평생을 헤매 일 수밖에 없다.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면 눈이 떠진다. 인생이 어디에서 왔으며, 무엇을...
    Views60803
    Read More
  20. 깡통차기

    초등학교 시절, 학교를 나서며 찌그러진 깡통 하나를 발견했다. 처음에는 장난삼아 ‘툭툭’치고 가다가 시간이 지나며 ‘사명감’(?)에 차고 나가고, 나중에는 오기가 발동하면서 집에 올 때까지 ‘깡통차기’는 계속된다. 잘...
    Views542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