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48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휠체어.jpg

 

  사람에 대한 호칭이 중요하다. 성도들이 목사님이라고 부르면서 강단에 올라 대표 기도를 할 때에는 그 명칭이 다양해진다. “목사님, 주의 사자, 은 이해가 간다. 어떤 분은 오늘 주의 종님이 말씀을 증거하실때에라고 한다. 종은 종이지 거기에 님을 붙이니 헷갈린다. 우리가 어릴 때는 대통령에게 각하라는 말을 붙였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대통령님이라고 한다. 뭔가 어색하다. 국문학자가 아니기에 어떤 의미로 그렇게 바뀌었는지는 몰라도 높이려면 높이고 낮추려면 낮춰야 하지 않을까? 그런 면에서 같은 직업인데도 호칭이 많이 달라졌다. 시청 청소원을 환경미화원”, 때밀이를 세신사”, 간호원을 간호사”, 미용사를 헤어디자이너”, 보험사원을 생활설계사”, 집안에서 허드렛일을 하는 분을 가사도우미로 부른다. 호칭을 바꾸면서 그 일에 종사하는 분들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 것은 틀림없다.

 

  우리 밀알선교단은 장애인선교를 하는 곳이다. 선교회가 아니라 선교단이라고 하는 이유는 40년 전 밀알선교단을 세울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9. 그때에는 장애인에 대한 호칭이 거의 없었다. 장님, 꼽추, 절뚝발이, 벙어리, 병신, 바보, 앉은뱅이. 나는 고등학교에 다닐 때지체부자유자로 불리웠다. 밀알선교단을 처음 설립한 이재서 박사(당시 전도사)<선교단>이라는 특이한 이름을 붙였다. 그 의미는 올림픽선수단이 대회를 치르고 나면 해체하듯이 밀알선교단으로 출발해서 교회나 사회 전반에서 장애인 선교를 적극적으로 펼치는 날이 오면 밀알선교단은 자동 해체되어야 한다는 긴장 의식을 갖자는 깊은 의미였다. 내가 설교를 하러 가서 가면 목사님들 대부분은 밀알선교회로 부르고 있다.

 

  그러면 이제 더 예민한 장애인 호칭에 대해 생각해 보자. 처음에는 장애자였다. 그런데 한문으로 놈 라며 사람 이 되었다. 한때 많이 쓰던 명칭이 장애우이다. 듣기가 참 좋아 보인다. 친구 하지만 나이가 지긋한 분들을 향해 장애우라고 부르는 것은 실례이다. 우리 할아버지가 장애우이신데앞뒤가 맞지 않는다. 장애인의 날이라고 하면서 장애우라고 부르는 것도 모순이다. ‘장애인(障碍人)’은 장애를 가진 사람이다. 그런데 장애우(障碍友)’라고하면 장애를 가진 친구가 된다. “나는 장애우입니다.” 이것도 어법에 맞지 않는다. 이제 다시 장애인이 통칭이 되었다. 대한민국에서의 법적인 공식 용어는 장애인이다.

그러면 장애인의 반대말은 무엇일까? 사람들은 정상인이라는 말을 서슴없이 사용한다. 그러면 장애인은 비정상인이라는 말인가? 정상의 기준이 장애가 있고, 없음이라는 잣대를 들이대는 것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건강한 사람들조차 스스로 말한다. “이 세상에 장애인 아닌 사람이 있나요?” 장애인 사역자들이 가장 흔히 듣는 말이다. 장애인의 반대말은 비정상인이 아니라 비장애인이라는 단어를 새삼 각인하게 되는 경우였다.

 

  내친김에 장애인을 부르는 말을 정리해 보고 싶다. 현재 잘못 사용하고 있는 용어를 노골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양해를 바란다. 장님, 소경, 봉사는 시각장애인. 애꾸눈, 외눈박이도 같은 명칭을 사용해야 한다. 사팔눈, 사팔뜨기는 사시장애인. 바보, 얼간이, 등신, 백치는 정신지체인. 정신박약, 저능아는 정신지체로 불러야 한다. 그럼 육신이 불편한 분들은 어떻게 불러야 할까? 앉은뱅이, 절름발이, 절뚝발이, 찐따는 지체장애인. 곱사등, 꼽추, 곱사는 척추장애인. 외팔이, 외팔뚝이는 지체장애인 혹은 절단장애인으로 해야 한다. 난쟁이는 왜소증. 언어와 듣는 것에 장애를 가진 분들이 있다. 귀머거리는 청각장애인, 벙어리는 언어장애인. 언청이, 째보는 구개파열장애(언어장애인)로 호칭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전통적으로 Disabled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다. 한때 Handicapped라고 불렀지만 장애우와 비슷한 이유로 쓰이지 않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Disability, Challenged가 있다. 같은 상황이라면 누가 들어도 좋고 특히 당사자들에게 보다 부드럽고 순화적인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바로 배려요, 사랑이다.

 

 

 

 


  1. No Image

    상처는 스승이다

    인생은 철모르는 어린아이 때 기대했던 것처럼 그리 녹록지 않았다. 굽이굽이 고비를 넘어야 했고, ‘이제 편한 세상이 되었나보다!’하면 어느새 무엇인가 꿈틀거리며 다가와 찔러 댔다. 생존은 마치 전쟁터 같은 느낌이 든다. 게다가 우리는 이민...
    Views1179
    Read More
  2. No Image

    아버지를 만나야 한다

    그의 아버지는 항상 완고했다. 때로는 가정폭력을 행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그는 아버지가 싫었다. 나이가 들어가며 아들로 기본예의는 갖추었지만 누구처럼 아버지에게 살갑게 다가가지 못했다. 결국 그는 상담을 받게 되었고, 조언을 받아들여 아버지와의 ...
    Views1379
    Read More
  3. 아, 정겨운 봄날이여!

    “어느 계절을 가장 좋아하세요?”라고 물으면 취향은 다양하다. 하지만 춥고 지루하고 변덕스러운 겨울을 지나 맞이하는 봄은 누구나에게 포근함을 안겨준다. 봄은 희망이다. 봄은 말 그대로 봄(view)이다. 죽은 듯 보이던 대지에서 파아란 새싹이...
    Views1661
    Read More
  4. No Image

    ‘호꾸’와 ‘모난 돌’

    갑자기 중 · 고 시절 입던 교복이 생각났다. 까만색 교복에 모자까지 눌러쓰고 다녀야 하는 세월이 무려 6년이었다. 하복은 그렇다치고 동복에는 ‘호꾸’라는 것이 있었다. 하얀색 얇은 플라스틱으로 된 칼라를 목 안쪽에 장착하고 채워야...
    Views1647
    Read More
  5. No Image

    데이모스의 법칙

    삶은 생각이라 할 수 있다. 사람은 잠에서 깨어나면서 하루 종일 생각하며 산다. 과연 내 삶을 스치는 생각은 얼마나 될까? 우리나라 말에 “오만가지 생각이 다 난다”는 표현이 있다. 그렇다. 묘하게도 사람은 하루에 5만~6만 가지 생각을 한다. ...
    Views2468
    Read More
  6. No Image

    결혼하고는 완전 다른 사람이예요!

    결혼 3년 차에 접어든 새댁이라면 새댁이 내뱉은 말이다. 연애할 때는 그렇게 친절하고 매너가 좋았는데. 그래서 ‘이 남자하고 살면 마냥 행복할 줄 알았는데’ 결혼해 살아보니 “말짱 꽝”이다. 연애 할 때는 이벤트로 깜짝깜짝 놀라...
    Views2814
    Read More
  7. No Image

    H-MART에서 울다

    희한하다. 딸은 나이가 들어가며 엄마를 닮아간다. 사춘기 시절 엄마가 다그칠때면 “난 엄마처럼 안 살거야” 외쳐댔다. 그런데 지금 내 모습이 엄마를 너무도 닮았다. 아이들을 야단치며, 거친 말을 내뱉을 때 스스로 놀란다. 그렇게 듣기 싫은 ...
    Views2949
    Read More
  8. No Image

    이런 인생도 있다

    지극히 평범한, 아니 처절하리만큼 모진 삶을 살다가 미국 한복판에서 미군 고급장교로 인생을 마무리했다면 어떤 생각이 들까? 서진규 씨의 기사를 접하고 혀를 내둘렀다. 학력이 뛰어났다든가? 어릴때부터 머리가 명석했다든가? 명문가문에서 태어난 분이 ...
    Views2466
    Read More
  9. No Image

    하트♡

    우리가 사용하는 말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단어가 “사랑”이다. 사람을 사랑속에 태어나 사랑을 받고 사랑으로 양육되어진다. 간혹 어떤 분들은 “자신은 사랑을 받아본 적이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면밀히 삶을 돌이켜보면...
    Views2526
    Read More
  10. No Image

    있을 수 없는 일?

    가끔 정신이 ‘멍’해지는 뉴스를 접할때가 있다. 상상이 안되는 충격적인 사건이 벌어지면 사람들은 “있을 수 없는일이 벌어졌다”고 말한다. 밀알선교단 창립 45주년 행사 참석차 한국을 방문했다. 지인과 서울을 오가다가 성수대교를...
    Views2727
    Read More
  11. No Image

    “자식”이란 이름 앞에서

    누구나 태어나면 자녀로 산다. 부모가 능력이 있고 없고를 떠나서 그 그늘 아래에 사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나이가 들어서야 깨닫게 된다. 철없이 투정을 부리고 때로는 부모의 마음을 속타게 하며 자라난다. 장성하여 부모가 되고 나면 그분들의 노고와 ...
    Views2591
    Read More
  12. No Image

    오체불만족

    일본인 ‘오토다케’는 태어날 때부터 팔다리가 없이 태어났다. 산모가 충격을 받을까봐 낳은 뒤 한 달 후에야 어머니와 첫 만남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그의 어머니는 놀라지도 않고 “귀여운 우리 아기”라고 말하며 아가를 끌어안는다...
    Views2591
    Read More
  13. No Image

    화장은 하루도 못가지만

    낯선 사람과 마주치며 느끼는 감정이 첫인상이다. 어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①복장(服裝) ②헤어스타일 ③얼굴 표정 ④목소리 톤, 말투 ⑤자세로 밝혀졌다. 첫인상과 관련해서 ‘6초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겨우 6...
    Views2394
    Read More
  14. No Image

    '무’(無)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에 한 왕이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무’(無)라고도 하고 ‘영’(靈)이라도 했다. ‘그’라고 부르기는 하겠지만 그는 남자도 여자도 아니었다. 형체도 모양도 없었다. 실제는 그의 이름도 없었다. &ls...
    Views2595
    Read More
  15. No Image

    이제, 희망을 노래하자!

    새해가 밝았다. 새해가 되면 누구나 펼쳐질 미지의 세계에 대해 기대감을 가진다. 더 나아지고, 행복해지기를 바라는 것이다. 하지만 연초에 쏟아지는 예측은 사람들의 희망을 앗아간다. 무엇보다 예민한 것은 경제전망이다. 꼭 맞아떨어지는 것도 아닌데 그...
    Views2832
    Read More
  16. 윤슬 =2024년 첫 칼럼=

    아버지는 낚시를 즐기셨다. 공직생활의 여유가 생길때마다 도구를 챙겨 강을 찾았다. 지금처럼 세련된 낚시가 아닌 미끼를 끼워 힘껏 강으로 던져놓고 신호를 기다리는 “방울낚시”였다. 고기가 물리면 방울이 세차게 울린다. 아버지는 잽싸게 낚...
    Views2920
    Read More
  17. No Image

    무슨 “띠”세요?

    2023년이 가고 2024년이 밝아온다. 사람을 만나 대화를 하다가 나이를 물으면 바로 “몇살입니다.”라고 대답하는 경우는 드문 것 같다. 대개 “저는 몇 년생입니다.”로부터 “저요? ○○ 띠입니다.”라고 해서 한참을 계산해야...
    Views2582
    Read More
  18. No Image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

    어느새 세월이 흘러 2023년의 끝자락이 보인다. 한해가 저물어감에 아쉬움이 밀려오지만 마음이 서럽지 않은 것은 “크리스마스”가 있기 때문이다. 사실 “크리스마스”는 기독교의 축제날이다.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 하나님의 아들 예...
    Views2477
    Read More
  19. No Image

    못생긴 나무가 산을 지킨다

    나는 어린 시절을 시골(양평)에서 자랐다. 집 앞에 흐르는 실개천에 한여름 장마가 찾아오면 물의 깊이와 흐름이 멱감기에 안성맞춤이었다. 물이 불어난 그곳에서 온 종일 아이들과 고기를 잡고 물장구를 치며 놀았다. 동네 뒤편에는 병풍을 두른 듯 동산이 ...
    Views2555
    Read More
  20. No Image

    숙명, 운명, 사명

    살아있는 사람은 다 생명을 가지고 있다. 생명, 영어로는 Life. 한문으로는 生命-분석하면 살 ‘生’ 명령 ‘命’ 풀어보면 “살아야 할 명령”이 된다. 엄마의 태로부터 태어난 그 순간부터 우리는 “살라는” 명을...
    Views26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