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4:09

휠체어  7/7/2011

조회 수 802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6cc44da05.jpg

 

휠체어가 한 대 놓여있다. 사람들은 휠체어를 보면 어떤 생각을 할까? 우선 낯설게 느껴질 것이다. 두려운 마음이 들지도 모른다. 거동이 몹시 불편한 분들이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휠체어에 앉으신 분을 처음 보았을 때에 느낌이 떠오른다. 장애를 가지고 있는 나도 친근하지는 않았다. 답답해 보이고 두려운 생각까지 들었다. 같은 소아마비이지만 장애가 심한 분들은 어린나이부터 휠체어를 이용해야만 한다. 휠체어에 올라앉으면 그나마 이동이 편해지는 것이 사실이다. 스스로 휠체어 바퀴를 굴려야 하는데 그게 보기보다 너무나 힘들다. 손에 상처가 나다못해 구덕살이 배기는 것은 보통이고 가다가 조그마한 장애물만 나타나도 전진하기가 쉽지 않다.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휠체어를 타고 외출을 한다는 것은 전쟁이나 다름이 없는 듯하다.

나는 2살 때에 소아마비를 앓아 장애인이 되었다. 가정의 분위기부터 일상 대하는 친구들의 배려 속에 나는 내가 장애인이라는 사실을 거의 의식하지 못하고 살았다. 그렇다고 힘든 과정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학교에서 소풍을 가려하면 너무나 먼 거리여서 힘들었고 추운 겨울날에 드넓은 운동장을 걸어 나오다 보면 다리가 얼어 걸음을 비틀거릴 때에 마음이 많이 지쳐갔다. 문제는 <체육시간>이었다. 텅빈 교실을 홀로 지키며 아이들이 운동장에서 마음껏 뛰어노는 장면을 창밖으로 ‘물끄러미’ 바라보는 시간은 내게 가장 큰 고통의 시간이었다. 보행이 힘든 것은 사실이지만 극한 고통은 넘어갈 수 있었음이 감사하다.

초등학교 5학년 겨울이었다. 지금처럼 보일러 시설이 잘 되어있던 시대가 아니기에 추운 겨울날에 차디찬 이불속을 파고드는 일은 고역이었다. 그 날도 큰맘을 먹고 아랫목에 깔린 이불속으로 뛰어 들었다. “아휴, 추워!”를 연발하며 이불속에서 무의식적으로 다리를 움켜쥐었다. 그런데 이상했다. 오른쪽 다리가 성한 왼쪽 다리보다 현저히 가느다란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어, 내 다리가 왜 이러지?’ 장애를 가진 다리가 성장을 멈춘 줄도 모르고 살았던 것이다. 그날 밤 이불속에서 다리를 끌어안고 얼마를 울었는지 모른다. 그때부터 나는 더운 여름에도 반바지를 입지 못했다. 흉한 ‘짝짝이 다리’가 되어버린 모습을 노출하기에는 어린 가슴이 너무 여렸다.

초등학교 6학년이 되더니 자주 넘어지는 동작이 이어졌다. 몸은 장성해 가는데 그 체중을 지탱하기에는 오른쪽 다리가 버거웠던 것이다. 그때부터 손으로 오른쪽 다리를 짚어주지 않고는 보행이 불가능해졌다. 스스로 초라해 지는 내 모습 때문에 힘들어했다. 예민한 사춘기에 여학생들 앞에서 손을 짚고 걸어가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죽기보다 싫었다. 하지만 어쩌랴! 결국 목발을 짚어야 하는 단계까지 다다랐다. 그 당시 소아마비 장애를 가진 아이들 가운데 목발을 짚고 다니는 아이들이 많았다. 그들의 모습을 보며 “내 스스로 걸어 다닐 수 있다.”는 것이 다행스럽게 느껴졌었는데 나에게도 그런 순간이 다가오고 있었던 것이다. 아버지는 끝내 나에게 목발을 쥐어주지 않으셨다. 그것이 너무도 고마울 따름이다. 힘은 들었지만 목발 없이 보행훈련을 받으며 지금까지 살고 있다.

목발이 불편한 것은 체중을 목발에 의지하기 때문에 오로지 상체만 발달하게 되고 팔과 어깨에 엄청난 무리가 가게 된다. 또한 어디를 가든 목발을 짚고 걸으면 사람들의 시선이 집중하게 된다. 목발로도 안 되면 필연적인 것이 “휠체어”이다. 휠체어에 앉아 생활하는 것은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힘들다. ‘전동 휠체어’가 있지만 무게가 많이 나가서 장거리 여행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 가고 싶은 곳을 마음껏 갈 수 있는 것만이 휠체어 장애인들의 유일한 꿈이다. 하지만 꿈은 꿈으로 끝나는 것이 휠체어 장애인들의 현실이다. 휠체어를 밀어줄 사람이 없기에 장애인들은 오늘도 답답한 가슴을 쓸어내리며 살고 있다. 휠체어를 볼 때마다 사람들이 잃어버렸던 감사를 회복했으면 좋겠다. 내가 얼마나 많은 것들을 누리며 살고 있는지를 깨닫고 아파하는 이웃을 돌아보는 가슴 따뜻한 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1. 희망을 쏘아올린 골든벨 2/13/2013

    <도전, 골든벨!>(KBS-1TV)은 사람들의 손에 땀을 쥐게 한다. 무려 50개항에 퀴즈를 풀어가는 동안 벼라별 해프닝이 속출한다. 학생들의 교복과 모자에는 응원자들과 탈락한 친구들의 명찰이 ‘치렁치렁’ 매어달리고 서서히 생존자(?)들이 줄어들기...
    Views85712
    Read More
  2. 희망과 추억이 가득한 성탄 12/24/2012

    한해가 조용히 저물어 가고 있다. 식당과 쇼핑몰마다 캐롤송이 울려 퍼지고 구세군 자선냄비와 어우러져 들려오는 종소리를 들으며 성탄이 가까워 옴을 느낀다. 아빠 차에 오른 딸에게 물었다. “너는 캐롤을 들으면 가슴이 설레이니?” “모...
    Views92920
    Read More
  3. 흘러가는 세월을 붙잡고

    세월은 흐르는 물처럼 빨리도 지나간다. ‘그런 말은 결코 다시 쓰지 않으리라!’ 다짐을 하건만 이맘때가 되면 또다시 되뇌이게 된다. 젊음이 오랜 줄 알고 그냥 저냥 지내던 20살 때에 고향 ‘포천’에서 사촌 형님이 오셨다. 우리 집...
    Views62899
    Read More
  4. 흔들바위 부부 8/19/2013

    고교 2학년 때에 설악산으로 수학여행을 떠났다. 우리세대는 기억한다. 그 당시에 수학여행이 실로 추억덩어리였음을. 떠나는 순간부터 돌아오는 날까지 쉼 없이 몸을 흔들고 노래를 불러댔다. 목소리가 거의 나오지 않을 때까지 말이다. 그래도 피곤을 모를 ...
    Views77041
    Read More
  5. 휠체어  7/7/2011

    휠체어가 한 대 놓여있다. 사람들은 휠체어를 보면 어떤 생각을 할까? 우선 낯설게 느껴질 것이다. 두려운 마음이 들지도 모른다. 거동이 몹시 불편한 분들이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휠체어에 앉으신 분을 처음 보았을 때에 느낌이 떠오른다. 장애를 가지...
    Views80264
    Read More
  6. 후진을 더 조심해야 한다 8/26/2013

    3년 전 여름, 비가 몹시 쏟아지는 날이었다. 한아름 마트에 들렀다가 차를 후진하면서 승용차 문을 ‘살짝’ 들이받는 사고를 냈다. 뒤에 아무것도 없는 줄 알고 후진 기어를 넣었는데 뭔가 닿는 느낌이 들어 차를 세워보니 그곳에 까만색 승용차가...
    Views69868
    Read More
  7. 황혼기 갈등 6/5/2015

    이 세상에 갈등이 없는 부부가 얼마나 될까? 부부는 만나면서 “갈등”을 전제하고 시작하는 지도 모른다. 전혀 다른 관습과 환경 속에서 성장한 청춘남녀가 ‘사랑’이라는 가느다란 끄나풀로 시작하는 것이 부부이다. 그 사랑이라는 것...
    Views68498
    Read More
  8. 환상통(幻想痛)

    교통사고나 기타의 질병으로 신체의 일부를 절단한 사람들에게 여전히 느껴지는 통증을 환상통이라고 한다. 이미 절단되었기에 통증은 사라졌을 법한데 실제로 그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다. 통증뿐 아니라 가려움증도 있고 스멀거리기도 한단다. 절단 ...
    Views39661
    Read More
  9. No Image

    화장은 하루도 못가지만

    낯선 사람과 마주치며 느끼는 감정이 첫인상이다. 어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①복장(服裝) ②헤어스타일 ③얼굴 표정 ④목소리 톤, 말투 ⑤자세로 밝혀졌다. 첫인상과 관련해서 ‘6초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겨우 6...
    Views3264
    Read More
  10. 화가 올라올 때 8/23/2014

    지금은 모르겠지만 내 생을 가만히 돌아보면 화를 자주 내며 산 것으로 기억이 된다. 굳이 변명을 하자면 걸음은 부실하고 하고 싶은 것은 많은데 몸은 따라주지 못하는 장애가 화를 유발하는 원인이었던 같다. 화를 자주 내는 사람들은 이미 매사에 화 기운...
    Views70346
    Read More
  11. 홀로 산다는 것

    나이가 들어가는 청년들을 만났을 때 “언제 결혼하냐?”고 묻는다면 당신은 상꼰대이다. 시대가 변했다. 결혼을 목표로 공부를 하고 스팩을 쌓던 시대는 이미 지났다는 말이다. 우리가 어릴 때는 대가족 시대였다. 식사 때가 되면 3대가 온 상에 ...
    Views11450
    Read More
  12. 혹시 중독 아니세요?

    사람은 누구나 무엇엔가 사로잡혀 산다. 문제는 “얼마나 바람직한 것에 이끌려 사느냐?” 하는 것이다. 사로잡혀 사는 측면이 부정적일 때 붙이는 이름이 있다. 바로 중독이다. 중독이란 말이 들어가면 어떤 약물, 구체적인 행동을 통제할 수 없어...
    Views34384
    Read More
  13. 혹시 고집불통 아니세요?<2월 27일>

    사람들은 말한다. “나는 고집이 별로 없어!” 그런데 그를 아는 사람들은 “그 사람 고집이 쇠 힘줄이야!”라고 한다. 하도 오래되어서 이젠 우리 부부가 ‘가정사역자’라고 말하기도 민망하지만 부부들에게 물어보면 &ldquo...
    Views73768
    Read More
  14. 헐∼ 3/27/15

    나에게 재산이 있다면 소중한 친구들이다. 성격도, 만난시기도 다 다른 친구들이 여기저기 포진(?)하며 내게 힘을 준다. 그중에서도 ‘봉채’는 고 1때 만나 지금까지 끈끈한 우정을 이어오고 있다. 가만히 헤아려보니 어언 40여년이 흘러갔다. 고...
    Views83810
    Read More
  15. 허풍 8/31/2011

    사역을 하다보니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잔잔하고 진실한 성격의 사람을 만나기도하고 때로는 ‘척’들어도 허풍 같은 이야기를 천연덕스럽게 구사하는 사람까지 참 다채롭다. 심리학자 ‘칼융’의 학설처럼 겉으로 드러나...
    Views73252
    Read More
  16. 향수병(鄕愁病) 12/6/2010

    사람은 한곳에 머무르지 못하고 많은 곳을 떠돌며 인생을 엮어간다. 우리는 모두 한국 사람이다. 세상에 태어나자마자 자신이 외국에 나가 살게 될 줄을 예측한 사람이 있을까? 철저한 계획을 세우고 오신 분들도 없지 않아 있겠지만 대부분 어쩌다가 미국에 ...
    Views75041
    Read More
  17. 행복한 수고 10/29/2012

    이왕이면 건강한 아이를 키우고 싶은 심정은 부모라면 똑같은 바램이다. 하지만 인생이 사람의 마음대로 안된다는 것을 절실하게 느끼는 분들이 장애아동을 가진 학부모들이다. 평범하게 살고 싶었던 부부에게 장애아가 태어 났을때에 그 충격은 당사자가 아...
    Views67477
    Read More
  18. 행복한 부부생활의 묘약

    누구나 행복하기 위해 결혼을 한다. 그런데 “행복”이라는 것이 말처럼 쉽게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님을 얼마 지나지 않아 깨닫는다. 실로 결혼은 “종합 예술”이라고 하면 지나친 표현일까? 세상에서 남녀가 만나 한 가정을 이루며 산다...
    Views66382
    Read More
  19. 행복한 부부생활의 묘약

    세상에 그냥 되는 일은 없다. 남녀가 만나면 feel이 통하고 그래서 사랑을 하고 무르익으며 결혼을 한다. 결혼은 시작이다. 그런데 많은 부부들이 결혼을 하면 다 된 줄 안다. 젊은 부부를 만나면 노파심에 하는 말이 있다. “노력 없이는 부부생활은 어...
    Views8064
    Read More
  20. 행복하십니까? 5/16/2012

    사람들은 오늘도 행복에 목말라 하고 있다. 행복은 무엇일까? 과연 누가 가장 행복한 사람일까? 필자가 어린 시절에는 행복이란 간단했다. “괴깃국(고깃국의 사투리)에 이밥(하얀 쌀밥)을 말아 먹는 것”이었다. 그것은 명절이라야 가능한 일이었...
    Views6966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