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9:07

황혼기 갈등 6/5/2015

조회 수 680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부부.jpg

 

 

이 세상에 갈등이 없는 부부가 얼마나 될까? 부부는 만나면서 “갈등”을 전제하고 시작하는 지도 모른다. 전혀 다른 관습과 환경 속에서 성장한 청춘남녀가 ‘사랑’이라는 가느다란 끄나풀로 시작하는 것이 부부이다. 그 사랑이라는 것이 수명이 그리 길지 못하다는 것을 당사자들은 모른다. ‘그냥 같이 있고 싶고, 노래가사처럼 이른 아침에 잠에서 깨어 사랑하는 사람의 얼굴을 바라볼 수 있는 것이 너무 행복할 것 같아’ 두 사람은 결심을 하고 결혼식장에 들어선다. 결혼식의 주인공은 신랑 신부이다. 그날처럼 황홀하고 사람들의 주목을 받는 날이 또 있을까? 그런 달콤함이 영원히 이어진다면 얼마나 좋을까?

신혼의 단꿈에서 깨어나는 순간부터, 아니 결혼하는 그날부터 부부는 갈등하기 시작한다. 서로가 다름을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심할 줄이야! 서로가 너무 잘 맞는다고 생각하고 결혼을 했는데 살아갈수록 알 수 없는 오리무중 상태에서 서로는 서서히 지쳐간다. 그렇게 7, 8년이 지나가면서도 실망감을 극복하지 못하면 부부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된다. “더 이상 저 사람과 생을 이어간다는 것은 암흑보다 더 절망적이다.”라는 생각에 빠져들면 부부는 아무것도 보이거나 들리지도 않는다. 그 위기가 빠르면 30대 후반이고 늦으면 40대 초반에 엄습한다.

그런데 최근에 그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몇 년 전에 80이 넘은 할머니가 이혼소송을 했다. “더 이상 봉건적인 사고방식의 남편과는 더 살수 없다”는 것이 노(老)아내의 주장이었다. “황혼이혼”의 시발점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부부는 갈등할 수 있다. 그것이 앞에서 언급한 비교적 젊은 세대라면 이해할만하다. 그런데 이제 그 현상이 60대 이후로 밀려나 나타나고 있다. 우리 부부가 한국에서 가정 사역을 하던 2000년 초와는 전혀 예상 밖에 부부갈등 양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기혼자 3명 중 1명꼴로 지난 1년 사이 부부 간 갈등을 경험한 조사결과가 나왔다.

조사에 따르면 20대 후반보다 60대 후반에 접어든 노부부가 갈등하는 빈도가 더 잦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연구원들이 작년 8월21일~9월1일까지 전국 만 19~69세 기혼 남녀 676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했다. 질문은 “최근 1년간 부부 갈등을 경험한 적 있느냐?”였다. 응답자의32.0%가 “그렇다”고 답했다. 갈등 경험률은 20대가 20.0%, 30대가 30.5%였지만 이어 40대와 50대는 각각 33.9%, 32.2%로 평균보다 높아졌다. 이후 60대 초반에는 24.6%로 뚝 떨어졌지만, 다시 60대 후반에서는 35.3%로 올라가 20대보다 15.3%포인트나 높았다.

매우 충격적인 결과였다. 젊은 날에야 그렇다 치더라도 살만치 살아 누구보다 배우자를 잘 알게 된 인생의 황혼기에 갈등이라니? 그만큼 평균수명이 길어진 것이 원인이고 자식들을 출가시킨 자유함(?) 속에서 이제 마지막 자신의 의지를 실현하고자하는 몸부림이라고 봐야 할까? 그럼 갈등의 요인은 무엇일까? 응답자들은 경제 문제보다는 ‘배우자의 성격이나 생활방식’을 더 많은 원인으로 꼽았다. 그러면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은 어떠할까? “차분하게 대화를 나누는 방식”(41.7%)이 가장 흔했지만, “그냥 참는 경우”도 39.4%나 됐다. '격렬하게 논쟁을 하거나 소리를 지른다'는 대답은 13.9%였으며, '폭력적으로 해결한다'는 응답은 0.9%에 그쳤다.

실로 호미를 막을 것을 노년까지 방치하다가 가래로도 못 막는 상황이 전개된 것이다. 시대가 바뀌었지만 여전히 남편 중심적인 권력구조로 부부관계가 이어지는 상황은 말년에 위험해 질 수 있다. 부부는 신뢰가 중요하다. 서로가 믿어 줄때에 갈등은 일회성으로 마무리 될 수 있다. 갈등은 필연적이라 하더라도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응어리진 것을 풀어주는 부부는 노년까지 행복할 수 있다는 얘기다. 중요한 것은 다 있다할지라도 “‘귀먹는 남자’(말이 안 통하는)하고는 더 이상 살수 없다.”는 것이 요사이 노년에 접어든 아내들의 강경한 입장이다.


  1. STOP! 5/16/2012

    미국에 와서 정말 낯설게 느껴진 것은 팔각형 표지판에 새겨진 <STOP>싸인이었다. 가는 곳마다 <STOP>이 나타나면 차를 정지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너무도 낯설었다. 그러면서 그 옛날 주일학교 전도사 시절에 아이들과 불렀던 어린이 복음성가 “STO...
    Views68770
    Read More
  2. 아빠 죽지마 7/3/2015

    “사랑하는 우리 가족 중에 건강한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잠도 좁은 방에서 다 같이 자야 하지만 나는 웃을 수 있습니다. 이 세상에서 제일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있으니까요.” 뇌병변 장애 1급으로 누워계신 아버지, 힘든 간병생활로 얻은 허...
    Views68764
    Read More
  3. 한국 풍경 7/31/15

    나는 지금 한국에 머물고 있다.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땅. 하지만 올 때마다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공항을 벗어나자마자 숨을 멈추게 할 정도의 더운 바람이 폐를 파고든다. 그 옛날 동리 앞 개울가에서 ‘멱’(수영)을 감다가 나와...
    Views68677
    Read More
  4. 삶의 마침표는 내가 찍는 것이 아니다 2/5/2013

    신년벽두부터 유명 야구선수 조성민씨의 자살 소식이 날아들었다. 충격이었다. 2008년 그의 전 부인이었던 유명 탤런트 최진실씨의 자살, 2년 뒤 동생 최진영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어 안타까움을 더하더니 이번에는 조성민씨 마저 그들과 같은 길을 택한 것이...
    Views68676
    Read More
  5. 이런 인생도 있다 11/6/2011

    지난 초여름 한국을 뒤집어 놓은 사건이 있었다. 케이블·위성 방송 오락채널인 ‘티브이엔’이 야심차게 방영한 “코리아 갓 탤런트” 첫 회에 출연한 “최성봉”이란 젊은이 때문이었다. “코리아 갓 탤런트&rdqu...
    Views68594
    Read More
  6. 아버지를 만나야 한다 5/7/2015

    누구에게나 아버지가 있다.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느낌과 생각이 다르다. 어머니는 편하다. 아니 만만하다. 아버지는 어렵다. 아니 걸끄럽다. 한 사나이를 상담했다. “나이가 들어도 여전히 아버지는 타인처럼 느껴져 힘이 들다.”는 고백이었다...
    Views68392
    Read More
  7. 엄마는 엄마다 10/14/2013

    나에게도 어머니가 계셨다. 나는 평생 그분을 “엄마”라고 불렀다. 13년 전, 그 분의 시신이 땅속에 내려가는 그 순간에도 나는 “엄마”를 목 놓아 불렀다. 성도들이 다 지켜보는데도 말이다. “어머니”하면 너무 거리가 느...
    Views68321
    Read More
  8. Honey! 1/25/2012

    어느 날 어떤 인연으로 남녀가 만나고 서로를 사랑하기에 결혼을 하고 부부가 된다.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산전수전을 다 겪으며 부부는 어느새 닮아간다. 생김새만 닮는 것이 아니고 성격도 취향도 같아진다. 그래서 부부는 정말 신비하다. 지난 주간 어느 노...
    Views68261
    Read More
  9. 남편은 애물 덩어리 11/30/2011

    부인들이 앉아 남편 흉을 보기 시작했다. 한참을 둘러치다가 누군가가 말했다. “그러기에 남편은 애물덩어리야. 집에 혼자 두면 ‘근심덩어리’, 밖에 데리고 나가면 ‘골치덩어리’, 마주 앉으면 ‘웬수덩어리’, 거기...
    Views68235
    Read More
  10. 수학은 틀려야 한다 6/12/2015

    인생이 아름다운 것은 내게 야성(野性)이 살아있을 때이다. 겁나는 것 없이 내달릴 때에 쾌감은 경험한 사람만이 안다.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철이 없을 때라고나 할까? 수학은 어렵다. 하지만 문제를 풀어갈 때에 상상할 수 없는 성취감을 맛보게 된다. 처음...
    Views68201
    Read More
  11. 꽃은 말한다

    봄이다. 난데없이 함박눈이 쏟아져 사람들을 ‘화들짝’ 놀라게 하지만 봄은 서서히 대지를 점령해 가고 있다. 가을을 보내며 만났던 겨울. 화롯불에 고구마를 구어 먹는 옛 정취는 사라졌지만 그런대로 겨울 찬바람에 정이 들어갔다. 간간히 뿌리...
    Views68100
    Read More
  12. 동수와 경찰아저씨 5/2/2014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생활이 힘들지만 언니 집으로는 절대 가고 싶지 않아요” 장애를 가진 자매의 하소연이다. 자매는 눈물을 흘리며 호소했다. “저는 마음 편히 머물 수 있는 곳이 필요합니다.” 뇌성마비 1급 지체 장애를 가지고 ...
    Views68033
    Read More
  13. 황혼기 갈등 6/5/2015

    이 세상에 갈등이 없는 부부가 얼마나 될까? 부부는 만나면서 “갈등”을 전제하고 시작하는 지도 모른다. 전혀 다른 관습과 환경 속에서 성장한 청춘남녀가 ‘사랑’이라는 가느다란 끄나풀로 시작하는 것이 부부이다. 그 사랑이라는 것...
    Views68001
    Read More
  14. 엄마한테 쓰는 편지 6/22/2011

    나이가 들어가면서 감사한 일 중에 하나는 아버지, 어머니를 잘 만났다는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에게 불만이 없이 살아온 사람이 있을까? 나도 나의 부모님에 대해서 아쉬워하며 살아온 사람 중에 한사람이다. ‘조금 더 경제적으로 넉넉한 부모...
    Views67948
    Read More
  15. 반말 & 존댓말 9/25/15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
    Views67875
    Read More
  16. 묵은지와 겉절이  8/16/2010

    어머니는 가을이 되면 항상 김장을 담그셨다. 알이 잘 밴 배추를 골라 사서 다듬고 소금을 뿌리는 것은 항상 혼자 하셨다. 절궈 놓은 배추를 건져내어 김치를 담글 때면 어디선가 동네 아낙들이 모여들었다. 어머니는 인덕이 넘치고 손이 크셨다. 한창 김장을...
    Views67797
    Read More
  17. 나를 만든것은 바람 8/28/15

    미당 서정주 선생은 “자화상”이라는 시에서 이렇게 노래한다. “스믈세햇동안 나를 키운건 8할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 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입에서 천치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Views67693
    Read More
  18. 그 소녀는 지금 어디에 4/24/15

    “소녀”(少女). 누구의 가슴에나 표현할 수 없는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단어이다. ‘여학생, 처녀, 어린 여자아이.’라는 단어도 있지만 “소녀”란 말은 자연스럽게 눈을 감게 만든다. 우연히 가수 최백호의 “낭만에 대...
    Views67613
    Read More
  19. 음식맛은 장맛 3/23/2014

    갑자기 어린 시절, 집집 툇마루에 걸려있던 메주가 떠올랐다. 이제 제법 작가의 영감이 찾아온 모양이다. 흔히 사람들은 범상한 기준보다 떨어지는 외모를 가진 사람을 향해 메주덩어리에 비유한다. 메주가 들으면 화를 낼 일이다. 메주가 만들어지기까지 들...
    Views67561
    Read More
  20. 2014 첫 칼럼 행복을 이야기합시다! 1/4/2014

    새해가 밝았다. 처음 시작하는 시점은 사람들에게 뜻 모를 설레임을 준다. 해가 바뀌면 영어로 ‘Reset’하는 기분이 들어 좋다. ‘Reset’이 무엇인가? “장치의 일부 또는 시스템 전체를 미리 정해진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Views6755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