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3.03.17 10:01

너는 자유다!

조회 수 61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오래전 “Who am I ?”라는 인문학 강연 프로그램에 “정글만리”를 펴낸 조정래 선생이 출연하였다. 노구의 비해 낭랑한 목소리와 소년의 미소가 정겹게 다가왔다. 강연 내내 푸근하게 떠올라 있는 미소와 너그러움이 참 편안하게 느껴졌다. 선생은 말한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 대한민국이 이혼률 1위, 행복도 꼴지, 자살률 1위. 이것이 우리나라의 현주소입니다. 이런 마당에 수출 10위가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라고 반문한다. 자살한 사람 중에 10대가 절반이라고 한다. “하나의 나무에 달린 이파리들도 같은 꼴 없이 닮아 있을 뿐인데 그 개성과 자유를 말살하고 부모의 욕망만을 강요하고 속박하고 강압하기 때문이라.”고 설파한다. 그러면서 하는 말. 손주에게 “아무것도 미리 생각하지 마라. ‘너는 자유야’ 고등학교 3학년 때까지만 발견하면 돼.”라고 했단다. 멋졌다.

 

 내가 자라나며 아버지에게 지적받고 야단을 맞은 것은 젓가락질이다. 가족들은 모두 평범하고도 단순하게 젓가락질을 잘하는데 나는 그게 안되었다. 설명하기가 힘들지만 대개 젓가락을 엄지로 잡고 검지와 장지사이에 넣어 음식을 먹는다. 그런데 나는 엄지와 검지 사이에 넣고 사용한다. 아버지는 그게 못마땅하셨다. 언제부터인지 모르지만 그렇게 굳어버린 내 젓가락질에 아버지는 맹비난을 퍼부었다. “젓가락질도 제대로 못하느냐?”고. 고쳐보려고 애를 써도 아버지가 가르친대로 하면 음식이 잘 안 집어졌다. 지금까지도 내 방식을 고수하며 편하게 음식을 먹으며 살고 있다.

 

 사람들은 저마다 다방면에서 평범하지 않은 모습을 지니고 산다. 어쩌다 왼손을 쓰는 사람을 보면 신기하다. 외국인 중에는 왼손잡이가 많다. 그것도 글씨를 쓸 때면 가지런히 용지를 놓는 것이 아니라 가로로 놓고 쓴다. 어떻게 저렇게 하지? 보는 사람은 답답해 보이지만 그 사람은 가장 편안한 방법으로 살고 있는 것이다. 호주에 갔을때에 가장 당황한 것은 좌측 통행이었다. 일단 자동차 운전석이 오른쪽에 있다. 조수석에 앉아 커브를 돌 때면 상대방 차가 와서 추돌할 것 같은 착각을 일으켜 당황을 했다.

 

 최초로 좌측통행을 실시한 국가는 영국이다. 그 기원은 지금의 현대식 차량이 아닌 마차를 이용하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마부가 왼손으로 고삐를 잡고 오른손으로 채찍질을 할 때 보행자에게 위협이 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였다. 대개 섬나라는 좌측 통행을 선호한다. 일본, 영국, 태국, 홍콩 등 34%의 국가가 좌측통행을 하고 있다. 직접, 간접적으로 영국의 영향을 받은 국가가 많으며 자연스럽게 좌측통행 문화가 정착한 경우이다. 우리는 우측통행에 익숙하지만 도로에서 시야를 확보하는 데에는 용이하므로 좌측 통행이 더 안전하고 더 합리적이라는 학설도 있다.

 

 연극 <생각의 자유>가 있다. 그런데 포스터가 고기로 된 사람 옆모습이다. 뭔가 제목과 일치되지 않는듯하지만 계속 눈길이 간다. 사람은 언제나 고기를 먹는 입장이지 그 자신이 고기가 되어 먹히는 입장은 좀처럼 상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고기는 식량이다. 사람은 식량을 먹어 자기 자신의 몸과 생명을 부지한다. 눈앞에 놓인 고기를 두고 우리는 살아서 풀밭을 뛰어다니는 소나 돼지, 양을 상상하지 않는다. 내가 마트에서 사 온 고기는 그저 내 입에 들어가 배를 채울 뿐이다. 그런데 사람도 자신의 배를 불리기 위한 고기처럼 보이는 부류가 있지 않을까? <생각은 자유>다.

 

 고정관념처럼 무서운 것이 없다. “이것은 이래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 전통이나 유산, 지식일 수 있다. 그 틀 안에 다른 사람을 집어 넣으려는 시도를 하는 부모, 오너, 지도자가 있다. 시간이 흐르면 당사자도 피곤하고 관계하는 사람도 지치게 된다. 인간은 각기 다른 개성의 소유자이다. 그 고정관념을 깨고 자유할 때에 인류 역사는 변천하고 발전되어 왔음을 우리는 깨달아야 한다. “너는 자유다!” 기가 막힌 말이다. 그렇다. “두려움, 화, 수치심”에서, 나를 두렵게 하는 환경과 사람들에게 나는 자유다. 당신은 자유다!


  1. 내 등에 짐이 없었다면

    인생이 가볍다는 말은 없다. 나이가 들고 세월이 흐를수록 생의 무게는 버겁기 그지없다. 어린 시절에는 모든 것이 마냥 즐거웠다. 어쩌다 먹는 짜장면, 별것도 아닌 음식이 우리를 흥분시켰고 서로를 바라보는 눈길은 항상 정겨웠다. 저녁을 든든히 먹은 후 ...
    Views18003
    Read More
  2. 내 목소리가 들려?

    사람들은 각자 다른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각자의 지문이 다르듯이 사람들은 독특한 목소리를 소유하며 살고 있다. 나는 20대 초반, 교회 ‘어린이 성가대’를 지휘한 경험이 있다. 음악적인 재능은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지만 지휘는 ‘문외...
    Views59708
    Read More
  3. 내 심장을 쏴라! 9/9/2013

    한 소설가가 있었다. 그녀는 갑자기 정신병원에 있는 분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은 영감에 사로잡힌다. 아무리 상상력이 풍부하다 할지라도 정신병원 이야기를 추측으로만 쓸 수는 없었다. 그녀는 정신병원에 직접 들어갈 획기적인 발상을 하게 된다. 작가는 선...
    Views64190
    Read More
  4. 내 옷을 벗으면

    사람들은 모두 옷을 입는다. 아침에 샤워를 마치는 순간부터 사람들은 ‘무슨 옷을 입고 나갈까?’를 고민한다. 여성들은 남성들이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옷에 예민하다. 옷 입는 모습을 보면 그 사람의 성향과 추구하는 삶의 방향을 엿볼 수 있다....
    Views50424
    Read More
  5. 내가 3일간 눈을 뜰 수 있다면 2/7/2015

    장애를 가진 것은 안타까운 일이지만, 하나님은 공평하셔서 그 장애를 다른 방법으로 대처 할 수 있는 능력을 주셨다. 하지만 그런 경우가 해당이 안 되는 사람이 있다. 두 눈을 볼 수도 없고, 듣지도 못하며, 언어구사도 안 되는 삼중고(三重苦)의 고통을 안...
    Views69924
    Read More
  6. 내가 그리는 가을 그림

    사계절이 주는 의미는 다양하다. 철이 없을 때는 기온의 차이로만 느꼈지만 나이가 들어가며 계절의 감각이 새롭게 다가온다. 여자는 봄에 예민하고 남자는 가을을 타는가보다. 봄의 의미는 신비이다. 여자는 참으로 신비한 존재이다. 사춘기 시절에 접어들며...
    Views58671
    Read More
  7. 내게 한사람이 있습니다

    우연히 차를 몰다가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 때문에 미소를 짓기도 하고 입을 ‘삐죽’여 보기도 한다. 나를 행복하게 했던 한 사람이 있었다. 내 눈에서 눈물이 나게 했던 야속한 한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세월은 안 좋은 생각은 다 걷어 ...
    Views5620
    Read More
  8. 내적치유의 효험

    상처가 상처인지도 모르고 살던 때가 있었다. 당장 끼니 걱정을 해야 하는 판국에 내면을 살펴볼 여유가 없었던 것이다. 경제적인 문제가 해결 되어가고 삶의 여유가 생기면서 사람들에게는 참 평안을 누리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자연스럽게 찾아 왔다. 환경이 ...
    Views65393
    Read More
  9. 냄새

    누구나 아침에 눈을 뜨면 냄새를 느끼며 하루를 시작한다. 날씨, 온도, 집안분위기를 냄새로 확인한다. 저녁 무렵 주방에서 풍겨 나오는 냄새를 맡으며 식탁의 기쁨을 기대한다. 아내는 음식솜씨가 좋아 움직이는 소리만 나도 기대가 된다. 나는 계절을 냄새...
    Views33408
    Read More
  10. No Image

    너는 자유다!

    오래전 “Who am I ?”라는 인문학 강연 프로그램에 “정글만리”를 펴낸 조정래 선생이 출연하였다. 노구의 비해 낭랑한 목소리와 소년의 미소가 정겹게 다가왔다. 강연 내내 푸근하게 떠올라 있는 미소와 너그러움이 참 편안하게 느껴...
    Views6176
    Read More
  11. 넌 날 사랑하기는 하니?

    “넌 나를 사랑하니?” 아이가 태어난 이후 남편은 가끔 섭섭함을 이렇게 토로했다. “사랑하지. 아니면 왜 같이 살겠어?” 남편은 찝찝한 표정을 지으며 혼잣말을 했다. “같이 산다고 사랑하는 건가?” 나도 남편에게 섭섭함...
    Views56861
    Read More
  12. 노년의 아름다움 12/2/2013

    2013년의 달력이 달랑 한 장 남았다. 숨 가쁘게 달려 오다보니 어느새 한해의 끝자락이 보인다. 이제 곧 ‘2014년’이 친한 척을 하며 다가오겠지. 오랜 세월 청춘을 바쳐 몸담았던 직장을 정년퇴직한 분의 넋두리이다. 퇴직을 하자마자 소홀했던 ...
    Views65752
    Read More
  13.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9588
    Read More
  14. 노인의 3苦

    나이가 들어가니 어르신들을 만나면 묻는 것이 연세이다. 어떤 분은 “얼마 안 먹었습니다.”하고는 고령의 나이를 드러낸다. 분명히 나이를 물었는데 대답은 태어난 연도를 대답하는 분도 계시다. 머리로 계산을 하려면 복잡한데 말이다. 어제도 9...
    Views56957
    Read More
  15. 누가 ‘욕’을 아름답다 하는가?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조용히, 어떨 때는 큰 소리로, 부드럽게 말을 할 때도 있지만 거칠고 성난 파도가 치듯 말을 하기도 한다. 말 중에 해독이 되는 것이 있는데 바로 ‘욕’이다. 세상을 살면서 욕 한마디 안 해본 사람이 있을까? 나는 비기...
    Views7778
    Read More
  16. 누가 알리요, 부모의 심정을!

    “장애인 아들 감금 폭행한 비정(非情)의 목사 부부” 언젠가 한국에서 보도된 신문 기사 제목이다. 목회자가 장애를 가진 아들을 감금하고 폭행까지 하다니! 그것도 10년 동안이나. “발에 긴 쇠사슬을 묶어 도망을 가지 못하게 만들었다&rdq...
    Views62244
    Read More
  17. 누구나 가슴에는 자(尺)가 들어있다

    사람들은 다 자신이 공평하다고 생각한다. 누구보다 의롭고 정직하게 산다고 자부한다. 사건과 사람을 만나며 아주 예리하고 현란한 말로 결론을 내린다. 왜 그럴까? 성정과정부터 생겨난 자신도 모르는 자(尺) 때문이다. ‘왜 저 사람은 매사에 저렇게 ...
    Views40556
    Read More
  18. No Image

    누구나 생각나는 스승이 있다

    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다. 스승의 노래는 이렇게 시작된다. “스승의 은혜는 하늘 같아서 우러러 볼수록 높아만 가네♬” 홀로 선 인생이 어디 있으랴! 기억에서는 희미 해 가지만 어리디 어린 나이로부터 겹겹이 쌓여진 세월과 함께 나를 가르치고...
    Views743
    Read More
  19. No Image

    누구나 장애인

    초청받은 교회에서 설교를 하고 예배 후 친교를 시작하면 하나둘 내 곁에 모여든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은 “목사님, 저도 장애인입니다.”이다. 일단 거부감이 들지만 스스로 생각해도 장애가 있다는 의미인 것 같다. 그런데 정작 누군가...
    Views5886
    Read More
  20. 누구를 만나는가? 8/16/2014

    사람은 만남을 통해 성장하고 행복을 만들어 간다. 만나지 말아야 할 사람을 만나 인생이 표류하는 사람이 있다. 반면, 시원치 않은 사람인데 만남을 통해 삶이 도약하는 경우도 있다. 만남은 참 신비롭다. 사람이 짐승을 만나면 짐승이 되고 신을 만나면 신...
    Views6787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