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9.02.22 15:37

종소리

조회 수 4257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종탑.jpg

 

 세상에 모든 존재는 소리를 가지고 있다. 살아있는 것만이 아니라 광물성도 소리를 낸다. 소리를 들으면 어느 정도 무엇인지 알아차리게 되어 있다. 조금만 귀기우려 들어보면 소리는 두 개로 갈라진다. 무의미하게 나는 소리가 있는가하면 가슴을 파고드는 소리가 있다. 어쩌다 만나는 앵무새(구관조)는 사람들의 호기심을 발동시켜 걸음을 멈추게 한다. ‘새가 사람 소리를 내다니!’ 신기하기 이를 데 없다. 그뿐이다. 앵무새가 사람 흉내를 기가 막히게 낸다고 그 소리에 도전을 받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한밤중에 잠시 깨었을 때 들려오는 벌레 소리는 가슴을 파고든다. 생각의 동굴로 이끌어간다. 미물의 소리이지만 삶을 돌아보게 만드는 힘이 있다.

 

 소리 중에 종소리만큼 사람의 감성을 자극하는 소리도 드물다. 어린 시절, 교회에 다니지 않을 때에도 때마다 울리는 종소리는 마을에 메아리치며 사람들의 마음을 평안케 해 주었다. 필라델피아에도 시각을 알리는 교회 종소리가 은은히 퍼져 운치를 더해준다. ()하면 떠오르는 것이 성덕대왕 신종 또는 에밀레 종이다. 성덕대왕 신종을 제작하기 위해 34년이나 매달려 왔던 신라인들은 실패가 계속되자 신종의 소리를 얻기 위해 어린아이를 희생양으로 바치기로 했고, 불국토의 도래를 알리고 신라의 종소리를 만들기 위해 엄마 젖을 빨던 한 아이가 펄펄 끓는 쇳물 항아리에 바쳐졌다고 한다. 그런데 종을 칠 때마다 에밀레~ 에밀레~” 하는 소리가 났다나? 초등학교 때, ‘에밀레 종이라는 영화를 보며 얼마나 많이 울었는지 모른다.

 

 종의 생명은 두말할 필요 없이 소리에 있다. 소리는 종 몸체에 외부 타격으로 만들어진 진동이 주변 공기를 진동시키고, 이 진동이 귀의 고막을 자극하여 뇌에서 감지되는 것이다. 종을 치면 종 몸체는 지름 방향, 원주 방향, 길이 방향으로 3가지 진동을 만드는데, 이중에서 가장 큰 진동은 지름방향에서 만들어진다. 타종 후 종소리는 대체로 3구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구간 음은 타종 직후 1초 이내에 소멸되는 소리로, ‘!’ 하고 울리는 타격 순간음을 말한다. 여기에는 종 전체에서 발생하는 각종의 진동수 성분이 섞여있다.

 

 제2구간 음은 타격 후 10초 이전까지 계속되는 고음성분으로 먼 곳에서 종소리가 들리는 것은 이 구간 음 때문이다. 3구간 음은 타격 후 1분 이상 계속되면서 점차 감쇄되는 소리로 여운이라고 한다. 여음은 은은한 울림(맥놀이)이 뚜렷하고 긴 것일수록 좋은 소리로 친다. 타종 직후에는 많은 부분 진동음이 발생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이들은 감소하고 기본진동과 울림만이 남게 돼 종의 고유 소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첨단 장비도 없이 사람의 귀에만 의지해서 이러한 첨단의 신종을 만들어 낸 우리 조상들의 장인 기술이 놀랍다.

 

 내가 중 · 고등학교에 다닐 때만해도 새벽 예배를 알리는 교회종이 울렸다. 새벽 종소리에 잠을 깨어 교회로 향하던 기억이 새롭다. 특별히 추운 겨울, “뽀드득소리를 내며 눈을 밟고 교회로 향할 때면 얼마나 행복했는지 모른다. 그런데 어느 순간, 종소리가 챠임벨로 바뀌었다. 그러더니 이제는 소음 공해라는 낙인을 찍어 아예 교회 예배 시작을 알리는 소리조차 사라진지 오래다. 예배를 알리는 초종(初鐘) 소리를 듣고 교회로 향하고, 시작 종소리를 들으며 예배를 드리던 그 시절이 그립다. 새벽에 일어나 일하던 많은 사람들이 교회 종소리에 위안을 얻고, 방황하던 영혼들이 교회에서 들려오는 새벽 종소리를 듣고 주님 품으로 돌아오는 일들이 종종 있었는데 아쉽기 그지없다. 문명과 이기가 발달하면서 편리해 진 것은 좋은 일이지만 사람을 사람 되게 하는 많은 소리들이 사라져 가는 것이 안타깝다.

 

 오늘따라 시골에서 울려 퍼지던 교회 종소리가 사무치게 그리워지는 것은 겨울이 깊었기 때문이리라! 눈 덮인 산하를 관통하며 울려 퍼지던 종소리는 많은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탄일종이라는 찬송은 그래서 탄생을 했다. 간단한 가사이지만 정겨운 리듬을 담고 모두의 가슴에 남아있다. 종소리가 퍼져가는 광경을 그려보며 눈을 감는다. 내 인생도 은은한 음파처럼 번져가기를


  1. 한센병은 과연 천형(天刑)일까?

    병(病)의 종류는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의학이 발달하면 할수록 희귀병은 늘어만 간다. 지금 우리는 듣도보도 못한 바이러스로 인해 삶의 터전이 송두리째 무너지고 있다. 옛날에 가장 무서운 병은 “문둥병”이었다. 표현이 너무 잔인하...
    Views33515
    Read More
  2. 어쩌면 오늘일지도

    전화벨이 울렸다. 뉴욕의 절친 목사 사모였다. “어쩐 일이냐?”고 물을 틈도 없이 긴박한 목소리가 전해져 왔다. “지금 목사님이 코로나바이러스 양성판정을 받고 상태가 악화되어 맨하탄 모 병원 중환자실에 들어가셨어요.” 앞이 하...
    Views31519
    Read More
  3. 인생 참 아이러니하다

    가수 소향, 그녀를 처음 본 것은 한국 양재동 횃불회관에서였다. SBS 관현악 김정택 단장이 친히 사회를 보며 진행되었는데 집회가 한창 무르익어 갈 즈음에 생소한 CCM 가수가 소개된다. 12월이서인지 자매는 “오, 거룩한 밤”을 불렀다. 특이한 ...
    Views30319
    Read More
  4. 모든 것은 밥으로 시작된다

    “식구가 얼마나 되십니까?” 식구(食口)? 직역하면 ‘먹는 입’이다. 너무 노골적인 것 같지만 함께 밥을 먹는 사람들이 가족이다. 태어나면서부터 함께 밥을 먹고 성장하며 함께 얽혀 추억을 만든다. 그래서 가족은 인류의 가장 소중한...
    Views28952
    Read More
  5. ‘장애우’가 아니라 장애인!

    사람에 대한 호칭이 중요하다. 성도들이 목사님이라고 부르면서 강단에 올라 대표 기도를 할 때에는 그 명칭이 다양해진다. “목사님, 주의 사자, 종”은 이해가 간다. 어떤 분은 “오늘 주의 종님이 말씀을 증거하실때에…”라고 ...
    Views30222
    Read More
  6. 위기는 스승이다

    인생을 살면서 형통과 평안만 계속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연세 드신 분들과 대화를 해보면 공통점이 있다. 다 고생한 얘기뿐이다. 일제강점기에 태어나서 보릿고개의 고통을 겪으며 버틴 일, 6 · 25사변을 만나 피난 갔던 일 등. 인생은 예측불가이다....
    Views30551
    Read More
  7. 평범한 일상이 그립습니다!

    신학대학 2학년이 되면서 교육전도사 임명을 받았다. 그렇게 커보이던 전도사, 바로 내가 그 직함을 받고 누구나 “이 전도사님!”이라 부르는 자리에 선 것이다. 까까머리 고교시절부터 성장해 온 그 교회에서 이제 어린이들에게 설교를 하고 함께...
    Views31167
    Read More
  8. 부모는 영화를 찍는 감독

    남녀는 성장하며 이성을 그리워한다. 어린 마음에 이성이 들어오면 그때부터 구름 위를 걷는 몽환의 세계로 들어가게 된다. 그 애만 보면 가슴이 뛴다. 그 애와 우연히 눈만 마주쳐도 밤을 설친다. 그렇게 연민을 품다가 드디어 연(緣)을 맺는다. 내가 좋아할...
    Views28537
    Read More
  9. 소아마비

    모든 것이 신기하고 새롭게 느껴지던 어린 시절. 나의 부모님은 어디나 가기를 좋아하던 나를 언제나 데리고 다니셨다. 몸이 온전치 못한 아들, ‘기우뚱’거리며 걸어 다니는 아들이 그분들에게는 조금도 어색하거나 부끄럽지 않으셨나 보다. &lsq...
    Views28521
    Read More
  10. 목사님의 구두뒤축

    세상이 많이 변했다. 내가 신학대학을 다니던 시절. 언론사에서 유명여대생들을 대상으로 결혼 상대자에 대한 직업 선호도를 조사한 바 있다. 물론 상위에는 소위 사字가 들어가는 직업이 랭크되었다. 과연 목사는 몇위였을까? 18위였다. 공교롭게도 17위는 ...
    Views29765
    Read More
  11. 아픔까지 사랑해야 한다

    인생을 고해(苦海)라고 한다. 진정 삶이란 그렇게 풀어내기 힘든 과제일까? 주위를 둘러보면 다들 별 어려움 없이 다들 잘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나만 힘들고 꼬이는 생을 살아가는 것 같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들어가 보면 나보다 더 허덕거리며 살고 ...
    Views29573
    Read More
  12. 겨울이 전하는 말

    겨울은 춥다, 길다. 지루하다. 하지만 그 겨울이 전해주는 말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깊은 내면으로 빨려 들어가는 마력이 있다. 겨울은 해를 바꾸는 마술을 부린다. 열심히 살아온 정든 한해를 떠나보내게 하고 신선한 새해를 맞이하는 길목이 겨울이다. 남미...
    Views31821
    Read More
  13. 두 팔 없는 미인대회 우승자

    각 나라마다 미인대회가 있다. 우리나라에도 1957년부터 미스코리아 선발대회가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름다움을 드러내어 뽐내고 싶은 마음은 여성들의 본능인 듯 싶다. 세월이 흘러 이제 그런 대회는 멈추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지만 상업...
    Views29169
    Read More
  14.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32022
    Read More
  15. 다시 태어난다면

    부부는 참 신비하다. 처음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할 때는 못죽고 못사는데 평생 평탄하게 사는 부부는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거의 세월의 흐름 속에 데면데면 밋밋한 관계가 된다. 누구 말처럼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고갈되어 그런 것인...
    Views29984
    Read More
  16. 모르는 것이 죄

    소크라테스는 “죄가 있다면 모르는 것이 죄”라고 했다. 의식 지수 400이 이성이다. 우리는 눈만 뜨면 화를 내며 산다. 다 알지 않는가? 화를 자주 내는 사람보다 전혀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것을. 한번 터지면 걷잡을 수 없다. 풀리...
    Views29840
    Read More
  17.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31671
    Read More
  18.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9939
    Read More
  19.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32484
    Read More
  20.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3246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