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7:52

길은 여기에 3/6/15

조회 수 728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빛의_인도.jpg

 

 

삶의 깊은 고독과 번민이 밀려오던 젊은 날이 있었다. 고통이 심해지다 보니 신앙의 회의마저 밀려오고 장애의 무게는 내 청춘을 짓눌러댔다. 그때 누군가가 내어민 책이 “길은 여기에”였다. 미우라 아야꼬(三浦綾子)의 자전적 소설인 “길은 여기에”는 그 당시 나에게 엄청난 감동과 위로를 주었다. 마치 누이처럼 다가온 그녀의 글이 내 심장에 생수처럼 스며들었다. 그녀는 세계2차 대전 당시 일본에서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고 있었다. 패전의 소용돌이가 일본열도를 휩싸며 지나갈 때, 그녀는 ‘아이들을 가르칠 자격이 없다.’고 생각하고 교사직에서 물러난다. ‘자신이 옳다고 가르쳤던 일들이 그릇되었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시작이었다. 가치관에 혼란을 겪으며 삶의 의미를 상실하는 지경까지 이른다. 진정한 사랑의 의미도 모른 채 여러 남자들을 생각 없이 만난다. 그러다가 미우라 아야꼬는 ‘덜컥’ 결핵에 걸린다. 책은 이렇게 이어진다. “어느 날 갑자기 나는 고열로 쓰러졌다. 폐결핵으로 인한 발병이었다. 스토마이라든가 파스도 없는 시대여서 결핵요양소에서 요양 중이던 친구들은 마구 죽어갔다. 병은 끊임없이 내게 다가와 나를 괴롭게 했다.

‘심장병, 척추카리에스, 대상포진....’ ‘대상포진’은 정말 견딜 수 없는 끔찍한 질병이었다. 온몸에 물집 모양의 발진이 생기더니 얼굴에까지 번져갔고 의사는 내가 ‘실명할지도 모른다.’고 했다. 그리고 ‘이 병은 고통이 사라지지 않고 암세포를 동반하고 있어서 암으로 번지게 될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러나 의사의 말과는 달리 더 이상 아픔은 없었다. 눈도 실명되지 않았다. 다만 직장에 암세포가 자랐을 뿐. 생각해 보니 병으로 잃게 된 것은 건강뿐이었다.”

목숨을 끊어버리고 싶은 충동 속에서 그녀는 ‘다다시’라는 한 남자를 만나게 된다. 그녀를 위해 매일 편지를 보내고 추운 겨울밤에도 남몰래 병실 아래에서 그녀의 영혼 구원을 위해 기도해 주었던 ‘마에카 다다시’의 헌신적인 사랑과 전도로 그리스도를 영접하게 된다. 그러면서 서서히 건강을 회복한 것이 그녀의 나이 37세 때이다. ‘다다시’는 사랑하는 여인을 보호해주기 위해 늑골 여덟 개를 없애는 대수술을 시도한다. 하지만 수술 결과는 좋지 못했다. 결국 ‘다다시’는 시름시름 앓다가 죽음에 이르고야 만다. 아야꼬는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앞에 비통한 눈물을 흘린다.

하지만 그녀는 이전과 달리 극단적인 선택은 하지 않는다. 그녀의 심장에는 예수 그리스도가 계셨기 때문이다. 사랑했던 사람으로부터 받은 신앙은 그녀에게 삶의 용기와 힘을 안겨 주었다. 그녀는 드디어 글을 쓰기 시작한다. 깊은 고통을 통과한 그녀의 글은 많은 사람들을 치유하고 삶의 의미를 돋워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길은 여기에”를 읽으며 나는 자주 이불에 얼굴을 묻었다. 책을 읽던 시기는 지금처럼 혹독한 겨울이었다. 두 사람의 청순하고도 진실한 사랑. 상대를 배려해주는 너그러움. 결국 죽음이 그들을 갈라놓지만 그런 중에도 신앙으로 의연히 일어서는 아야꼬의 삶을 통해 내 아픔의 작음을 보았고 내가 살아야할 이유를 깨달았기 때문이다.

일본 아사히신문 창사 85주년 기념 1천만 엔 현상 장편소설에 응모한 그녀는 ‘빙점’을 통해 당선 통보를 받고 기쁨과 흥분에 휩싸인다. 그녀의 나이 당시 42세였다. 그녀는 차분한 표정으로 돌아가 무릎을 꿇고 기도를 드렸다. 그만큼 그녀의 사고와 신앙은 성숙해져 있었던 것이다. 기도, 말씀이 그녀를 지탱해 주는 원동력이 되었고 빛이 되어 주었다. “자, 하나님 쪽을 보세요! 당신은 이제 고민할 것도 눈물을 흘릴 일도 없답니다.” 그녀의 한결같은 메시지이다.

‘아비큘래대(Abiculedae)’라고 하는 조개 속살로 어쩌다가 작은 모래 하나가 파고들면 참을 수 없는 고통이 시작된다. 조개는 이 모래를 빼내려고 이리저리 뒹굴고 몸을 비틀고 뒤척이면서 계속 자기 안에 있는 분비물 ‘나카’(Naca)를 뿜어내게 된다. 그 아픔 속에서 탄생하는 것이 영롱한 진주이다. 그렇다. 아픔은 견디기 힘든 것이지만 그 과정에서 우리는 진주처럼 소중한 열매를 토해내게 된다. 미우라 아야코는 우리들에게 “구름은 지나가지만 태양은 떠나는 일이 없다.”는 것을 알려주고 1999년 10월 12일 오후에 평온한 모습으로 천국에 입성했다.


  1.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6321
    Read More
  2. 다시 태어난다면

    부부는 참 신비하다. 처음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할 때는 못죽고 못사는데 평생 평탄하게 사는 부부는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거의 세월의 흐름 속에 데면데면 밋밋한 관계가 된다. 누구 말처럼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고갈되어 그런 것인...
    Views24790
    Read More
  3. 모르는 것이 죄

    소크라테스는 “죄가 있다면 모르는 것이 죄”라고 했다. 의식 지수 400이 이성이다. 우리는 눈만 뜨면 화를 내며 산다. 다 알지 않는가? 화를 자주 내는 사람보다 전혀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것을. 한번 터지면 걷잡을 수 없다. 풀리...
    Views24293
    Read More
  4.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25888
    Read More
  5.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4890
    Read More
  6.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7144
    Read More
  7.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6986
    Read More
  8.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30120
    Read More
  9.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7650
    Read More
  10.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8896
    Read More
  11.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7779
    Read More
  12.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8305
    Read More
  13.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8728
    Read More
  14. 그래도 살아야 한다

    지난 14일.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살.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
    Views29853
    Read More
  15.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30137
    Read More
  16.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7747
    Read More
  17. 침묵 속에 버려진 청각장애인들

    “숨을 내쉬면서 혀로 목구멍을 막는 거야. ‘학’ 해 봐.” 6살 “별이”는 엄마와 ‘말 연습’을 하고 있다. 마주 앉은 엄마가 입을 크게 벌리고 “학”이라고 말하면 별이는 ‘하’ 아니면 &...
    Views31646
    Read More
  18.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7689
    Read More
  19.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8894
    Read More
  20.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88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