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7.09.22 20:18

글씨 쓰기가 싫다

조회 수 779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만년필.jpg

 

 한국에서의 일이다. 1984, 한 모임에서 백인 대학생을 만났다. · 여 두 학생은 백인 특유의 또렷한 이목구비와 훤칠한 키로 눈길을 끌었다. 두 사람이 연인사이였는지, 아니면 그 모임에서 우연히 만난 것인지는 확인하지 못했지만 다정다감하고 순수한 청년으로 기억한다. 서로 긴밀해지며 대화가 시작되었다. 그해 여름 로스앤젤레스에서 제 24회 하계올림픽이 열렸기에 그 얘기부터 꺼냈다. 당시 우리나라 여자농구팀이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따는 쾌거를 이루어냈다. 대번 나는 그 사실을 아느냐?”고 물었다. 대답은 ‘NO’였다. 아니 이럴 수가? 마음이 상했다.

 

 센터 박찬숙을 중심으로 여자농구팀은 어마무시한 서양 팀들을 물리치며 기대이상의 눈부신 활약으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결승에서 세계 최강 미국에 55-85로 졌지만 여자 핸드볼과 함께 올림픽 구기 종목 사상 첫 은메달을 따냈던 것이다. 나는 우리나라가 올림픽 은메달리스트라는 사실을 대단하다.’고 소리를 높였는데 정작 개최국에서 온 미국 학생들은 관심도 없었다. 아마 내가 아직도 한국에서 살고 있다면 그들에 대한 오해를 지우지 못하고 있었을 것이다. 이제는 안다. 미국사람들은 우리처럼 정치나 스포츠에 그리 큰 관심이 높지 않다는 것을.

 

 가장 궁금한 것은 말로만 듣던 돈을 세는 방식이었다. 한국 사람들은 보통 손에 침을 뱉아 앞으로 당기며 돈을 센다. 백인들은 다르다는데? 옆에 서있던 사람에게 돈까지 빌려 한 다발을 그들 손에 쥐어 주었다. 고개를 갸우뚱하더니 돈을 옆으로 잡는다. 이내 옆으로 비벼가면서 카운트를 했다. 참 신기했다. 이번에는 글씨를 쓰게 했다. 모든 면에 우월해보이던 그들의 모습에서 반전을 경험했다. 그건 글씨가 아니었다. 실로 개발세발지렁이가 기어가듯 흘려 쓰는 글씨체에 절로 웃음이 지어졌다. 누군가 그들 편을 들며 말했다. “미국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컴퓨터 자판에 익숙해서 글씨는 잘 못쓴답니다.”

 

 그런데 요사이 내가 글씨 쓰기를 싫어하고 있다.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글씨를 배웠다. ‘꾹꾹눌러서, ‘또박또박’, 국어공책 네모 칸에 가득 찰 정도로 큼지막하게, 이것이 처음 아버지에게 전수받은 글씨를 쓰는 방식이었다. 아버지는 명필이셨다. 한문도 한글도, 혀를 내두를 정도로 마치 인쇄해 놓은 듯 정말 글씨를 잘 쓰셨다. 그것도 유전일까? 아버지 글씨체를 흉내내다보니 어느 순간 나도 명필이 되었다. 아버지의 글씨체에 비교할 수는 없지만 말이다. 나와 친한 사람은 내가 얼마나 글씨를 잘 쓰는 지 다 안다. 덕분에 고교시절부터 펜팔을 통해 인기를 누렸고, 많은 분홍빛 사연도 만들어낼 수 있었다.

 

 그런데 이제는 글씨가 쓰기 싫다. 나는 20대 유년주일학교 전도사시절부터 직접 펜으로 설교를 작성하였다. 내가 직접 쓴 설교원고를 가지고 단에 올라야 영감이 풍성해 지는 듯 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원고를 프린터로 출력해서 설교를 하면 꼭 남의 설교를 하는 듯이 뭔가 어색했다. 하지만 자꾸 하다 보니 역시 편하고 좋았다. 속도도 빠르고, 활자모양, 크기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데다 칼라까지 입힐 수 있으니 금상첨화 아닌가? 매주 칼럼을 쓰다 보니 이제는 자판이 훨씬 편해졌다.

 

 나는 아직도 다이어리를 직접 쓰며 일정을 관리한다. 그런데 글씨 쓰는 것을 보면 성의가 없다. 거의 흘려 쓰는 글씨가 많다. 그러면서 스스로 변해버린 나 자신에 놀라고 있다. 과거 손 편지를 쓸 때는 생각도 많이 하고 표현하기 힘든 것을 글로 전하는 희열도 느꼈었는데 말이다. 그러면서 불현 듯 30여 년 전에 만났던 백인 학생들이 생각났다. 사람은 훈련의 동물인가보다. 편해지면 더 편해지려하는 것이 사람의 속성인 것 같다.

 

 고교를 졸업할 때에 아버지가 선물해준 만년필을 마치 금덩이 모시듯 귀중히 여기며 글을 쓰던 그때로 돌아가고 싶다. 힘은 들지라도 내 손끝에서 나오는 글씨가 내 인품이요, 내 인생이기 때문이다. 글씨에 내 인격을 새기며 다시 시작하고 싶다. 글쎄?


  1. 나에게 영성은…

    같은 인생을 살면서도 눈앞만 보고 걷는 사람이 있고, 내다보고 사는 인생이 있다. 중학교 동창 중에 희한한 친구가 있다. 남들은 공부를 열심히 해서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좋은 대학교에 가는 것을 목표로 살아가고 있을때에 미국을 품는다. 벼...
    Views36888
    Read More
  2. 밤나무 & 감나무

    나무마다 생긴 모양도 다르고 맺는 열매도 다양하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생김새가 다르듯 성향도 다 각각이다. 그것이 사람의 매력이다. 나무와 비교해 보자. 밤나무는 밤나무대로, 감나무는 나름대로 개성과 멋을 풍기며 자라고 열매를 맺는다. 밤나무는 ...
    Views38339
    Read More
  3. 죽음과의 거리

    지난 주간 우리는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만 했다. 젊은 목회자 가정에 불어 닥친 교통사고 소식에 모두는 말을 잃었다. 얼마나 큰 사고였으면 온 식구가 병원에 실려가야했고, 그 충격으로 세 자녀 중에 막내 딸은 결국 숨을 거두고 말았다. 겨우 5살 나이에...
    Views39016
    Read More
  4. 생각의 시차

    한국의 지인에게 전화를 할라치면 반드시 체크하는 것이 있다. ‘지금, 한국은 몇시지?’ 시차이다. 같은 지구별에 사는데 미국과 한국과는 13시간이라는 차이가 난다. 여기는 밤인데 한국은 대낮이고, 한창 활동하는 낮이면 반대로 한국은 한밤중...
    Views35344
    Read More
  5. 냄새

    누구나 아침에 눈을 뜨면 냄새를 느끼며 하루를 시작한다. 날씨, 온도, 집안분위기를 냄새로 확인한다. 저녁 무렵 주방에서 풍겨 나오는 냄새를 맡으며 식탁의 기쁨을 기대한다. 아내는 음식솜씨가 좋아 움직이는 소리만 나도 기대가 된다. 나는 계절을 냄새...
    Views37633
    Read More
  6. 야매 부부?

    지금은 오로지 장애인사역(밀알)을 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목회를 하면서 가정 사역을 하며 많은 부부를 치유했다. 결혼을 하고 마냥 행복했다. 먼저는 외롭지 않아서 좋았고 어여쁘고 착한 아내를 만났다는 것이 너무도 신기하고 행복했다. 하지만 허니문이...
    Views36267
    Read More
  7. 끝나기 전에는 끝난 것이 아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평탄한 길만 가는 것이 아니다. 험산 준령을 만날 때도 있고 무서운 풍파와 생각지 않은 캄캄한 밤을 지날 때도 있다. 그런 고통의 시간을 만날 때 사람들은 좌절한다. “이제는 끝이라”고 생각하고 포기 해 버린다. 이 땅에는 성...
    Views37113
    Read More
  8. 상큼한 백수 명예퇴직

    부지런히 일을 하며 달리는 세대에는 쉬는 것이 작은 소망이다. ‘언제나 일에서 자유로워져서 쉴 수 있을까?’ 젊은 직장인들의 한결같은 하소연이다. 해서 내 오랜 친구는 50에 접어들며 이런 넋두리를 했다. “재철아, 난 일찍 은퇴하고 싶...
    Views36524
    Read More
  9. 봄날은 간다

    봄은 보여서 봄이다. 겨울의 음산한 기운에 모든 것이 눌려 있다가 대기에 따스한 입김이 불기 시작하면 곳곳에서 생명이 움트기 시작한다. 숨어있던 모든 것들이 서서히 존재를 드러내는 것이다. 실로 봄은 모든 것을 보게 한다. 아지랑이의 어른거름이 아름...
    Views37105
    Read More
  10. 어린이는 "얼인"이다!

    5월은 가정의 달이요, 5일은 어린이 날이다. “어린이날”을 손꼽아 기다리던 때가 있었다. 어린이날은 왠지 모든 면에서 너그러웠기 때문이다. 어른들도 야단치는 것을 그날만은 자제하는 듯 했다. 화려하진 않았지만 어린이날은 우리에게 꿈을 주...
    Views38849
    Read More
  11. 장모님을 보내며

    수요일 오후 급보가 날아들었다. 근간 몇 년 동안 숙환으로 고생하시던 장모님이 하나님의 부름을 받은 것이다. 난감한 것은 월요일에 중요한 행사를 앞두고 있었다. 장모님이기에 한국에 나가긴 해야 하는데 너무도 부담스러웠다. 월요일 뉴욕에서 열리는 행...
    Views38432
    Read More
  12. No Image

    아빠, 내 몸이 할머니 같아

    장애인사역을 하면서 가장 가슴이 아플 때는 희귀병을 앓는 장애인을 만날 때이다. 병명도 원인도 모른 채 고통당하는 아이를 바라보는 부모와 가족들은 커다란 멍에를 지고 가는 듯 한 고통을 감내해야만 한다. 2개의 희귀질병 앓고 있는 김새봄 양. 대학입...
    Views36612
    Read More
  13. 혹시 중독 아니세요?

    사람은 누구나 무엇엔가 사로잡혀 산다. 문제는 “얼마나 바람직한 것에 이끌려 사느냐?” 하는 것이다. 사로잡혀 사는 측면이 부정적일 때 붙이는 이름이 있다. 바로 중독이다. 중독이란 말이 들어가면 어떤 약물, 구체적인 행동을 통제할 수 없어...
    Views39381
    Read More
  14.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니다

    봄이 성큼 다가서고 있다. 미주 동부는 정말 아름답다. 무엇보다 사계절이 뚜렷한 것이 커다란 매력이다. 서부 L.A.를 경험한 나는 처음 필라델피아를 만났을 때에 숨통이 트이는 시원함을 경험했다. 계절은 인생과 같다. 푸릇푸릇한 봄 같은 시절을 지내면 ...
    Views39785
    Read More
  15. 가위, 바위, 보 인생

    누구나 살아오며 가장 많이 해 온 것이 가위 바위 보일 것이다. 누가 어떤 제의를 해오던 “그럼 가위 바위 보로 결정하자”고 손을 내어민다. 내기를 하거나 순서를 정할 때에도 사람들은 손가락을 내어 밀어 가위 바위 보를 한다. 모두를 승복하...
    Views42760
    Read More
  16. 절단 장애인 김진희

    인생을 살다보면 벼라 별 일을 다 겪게 된다. 영화나 드라마에나 나올법한 일이 현실로 닥쳐올 때에 사람들은 흔들린다. 그것도 불의의 사고로 뜻하지 않은 장애를 입으면 당황하고 좌절한다. 나처럼 아예 갓난아이 때 장애를 입은 사람은 체념을 통해 현실을...
    Views40580
    Read More
  17. 별밤 50년

    우리는 라디오 세대이다. 당시 TV를 소유한 집은 부유의 상징일 정도로 드물었다. 오로지 라디오를 의지하며 음악과 드라마, 뉴스를 접하며 살았다. 내 삶을 돌아보면 가장 고민이 많았던 때가 고교시절이었던 것 같다. 그때 다정한 친구처럼 다가온 것이 심...
    Views37564
    Read More
  18. 아이가 귀한 세상

    우리가 어릴 때는 아이들만 보였다. 어디를 가든 아이들이 바글바글했다. 한 반에 60명이 넘는 학생이 오밀조밀 앉아 수업을 들어야만 하였다. 복도를 지날 때면 서로를 비집고 지나갈 정도였다. 그리 경제적으로 넉넉할 때가 아니어서 대부분 행색은 초라했...
    Views42023
    Read More
  19. 동화처럼 살고 싶다

    사람은 누구나 가슴에 동화를 품고 산다.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평생 가슴에 담고 싶은 나만의 동화가 있다. 아련하고 풋풋한 그 이야기가 있기에 사람은 나이가 들어도 늙지 않는다. 나이가 들면 저절로 철이 나고 의젓한 인생을 살줄 알았다. 하지만 나이...
    Views39307
    Read More
  20. 환상통(幻想痛)

    교통사고나 기타의 질병으로 신체의 일부를 절단한 사람들에게 여전히 느껴지는 통증을 환상통이라고 한다. 이미 절단되었기에 통증은 사라졌을 법한데 실제로 그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다. 통증뿐 아니라 가려움증도 있고 스멀거리기도 한단다. 절단 ...
    Views445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