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5:56

섬집 아기 7/10/2012

조회 수 647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343362_orig.jpg

 

 

한국인라면 누구나 좋아하는 동요가 있다. 동요는 말 그대로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하며 어린 시절을 떠오르게 하는 마력을 지니고 있다. “섬집아이”를 불러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어린 시절. 처음 학교 음악시간에 “섬집아이”를 배운 후 입에서 ‘흥얼’거리는 습관이 생겼다. 그러면서 누군지 모를 “섬집아이”에 대한 연민이 싹터오는 것을 느꼈다. 동요의 가사가 그리 밝지 않았기 때문이었으리라! “♬ 엄마가 섬그늘에 굴따러가면 아기가 혼자남아 홀로남아 집을 보다가 바다가 불러주는 자장노래에 팔베고 스르르르 잠이듭니다 ♪”

이상하게 이 노래를 부르면 영화의 장면처럼 그림이 펼쳐졌다. 아기가 무척 불쌍하다는 생각을 했다. 엄마는 생업을 위해 바다에 나가야 하고 딱히 보살펴줄 사람이 없으니 아이는 홀로 집에 있어야만 했다. “엄마는 언제오실까?” 기다리고 기다리다가 파도소리에 젖어들고 결국 스스로 팔을 베고 잠들어야하는 아기의 모습이 그렇게 안쓰러울 수가 없었다. 나는 경기도라도 인천과는 거리가 먼 대륙 쪽에서 살았으니까 바다를 본적도 없다 그런 내가 “섬집아이”를 부르며 감상에 젖은 것은 기이한 일이었다.

어릴 때부터 감성이 풍부했던지 아니면 기억은 ‘가물가물’하지만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았던지 둘 중에 하나인 것 같다. 30대 중반에 담임목사가 되어 정신없이 목회에 몰입하며 살았다. 그러다가 치유상담을 공부하게 되었고 정태기 교수님과 함께하는 “내적치유”를 받게 되었다.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중에 ‘어느 날 밤중인가?’ 15명이 어깨동무를 하고 동요를 이어부르는 시간이 이어졌다. 동요 한곡이 끝나면 누군가가 생각나는 새로운 동요의 운을 띄우고 계속 노래를 이어가는 형태였다. 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느낌이 밀려왔다. 그러다가 부르게 된 “섬집아이”는 나를 아련한 어린 시절로 끌고 들어갔다.

엄마는 바쁘셨다. 학교에 다녀와서 엄마가 있으면 기분이 좋았지만 안계시면 이상하게 심술이 났다. 그럴때면 제일 좋은 것이 작대기로 마당에 낙서를 하는 것이었다. 글을 쓰고 그림을 그려보고 돌멩이도 굴리다가 나비나 잠자리를 보면 쫓아가 보기도 한다. 마루에 ‘벌렁’누워 하늘을 이리저리 떠다니는 구름의 향연을 보며 신기 해 했다. 그렇게 한나절을 혼자 놀다보면 엄마가 돌아오셨다. 더운 여름기운에 발그레한 얼굴을 하시고 말이다. “엄마, 어디 갔다 왔어?” 짜증 섞인 아들의 말에 엄마는 달래듯 받아오셨다. “왜, 엄마 기다렸니?” “그럼 학교에서 오자마자 엄마만 기다렸는데.” 엄마는 부엌에 들어가 간단한 간식을 들고 나와 마루턱에 걸터앉으셨다. 그리고 어린 내가 알아듣지 못하는 넋두리를 해대셨다.

기형도 시인의 “엄마걱정”이란 시(詩)가있다.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추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아이에게 엄마는 친구요 기댈 언덕이요. 포근한 안식처이다. 엄마의 사랑을 그리워하고 엄마의 사랑을 듬뿍 받은 사람은 그래서 부자이다. 어리지만 아이들은 엄마걱정을 하며 자란다. 엄마의 표정에 따라 아이들의 마음상태가 달라진다.  

 “섬집아이”의 1절은 아기가 엄마를 걱정하며 기다리는 그림이다. 2절로 넘어가보자. “♬아기는 잠을 곤히 자고 있지만 갈매기 울음소리 맘이 설레어 다 못 찬 굴 바구니 머리에 이고 엄마는 모랫길을 달려옵니다.♪” 바다에서 굴을 따는 엄마의 마음은 아기에게 있다. 집에 홀로 남겨진 아기생각에 엄마는 미안함과 그리운 마음이 어우러져 모랫길을 종종걸음으로 내닫는다. 아이가 엄마를 기다리는 심정이상으로 엄마는 아기를 가슴에 품고 사는 것이다. 요사이는 맞벌이가 상용화되어있다. 따라서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남의 손에 맡겨진다. 엄마와 원천적으로 교감할 시간이 없다. 그래서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외로움을 느끼며 살아야만 한다. “섬집아이”는 낭만이라도 있지만 요새 아이들은 그런 포근함조차 누리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다. 비록 적막해보이지만 아기와 엄마가 그림처럼 조화를 이루는 그런 세상이 그립다


  1. 뒷곁 풍경 9/4/2012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오붓한 장소가 있다. 바로 내가 살던 시골집 뒷곁이다. 옛날에는 집집마다 울타리가 있었다. 지금 같은 견고한 시멘트나 벽돌이 아닌 나무로 엮은 울타리였다. 빨리 지나가면 보이지 않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안에 모든 것이 드러나는 ...
    Views64652
    Read More
  2. 덕구의 빈방

    밀알선교단 설립 25주년을 기념하는 연극 “빈방있습니까?”가 지난 주간 나흘동안 이어졌다. “덕구”는 연극 “빈방있습니까?”의 주인공 이름이다. 그는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다. 지능이 현저히 낮고 말이 어눌하다. 성탄절...
    Views64621
    Read More
  3. 살다보니 살아지더라구요! 6/2/2014

    2002년 가을, 한국에서 목회하던 교회에 반주자로부터 이메일이 날아들었다. “목사님, 이런 인생도 있네요.”라는 제목이었다. 메일을 읽으며 한숨이 절로 나왔다. ‘어쩌면 인생이 이렇게 기구할까?’ 다름 아닌 “이지선”...
    Views64561
    Read More
  4. 응답하라, 1988!

    드라마가 이렇게 재미있어도 되는 걸까? 요즈음 아내와 드라마 삼매경에 빠져 추억에 젖어 보는 “응답하라, 1988”(이하 “응팔”)은 이런 질문을 저절로 하게 만든다. 몇 주 전에 한 교회를 방문했다. 예배를 마치고 친교시간에 담임 ...
    Views64557
    Read More
  5. 부부는 거울이다 8/31/2011

    이 세상에서 가장 신비한 관계가 부부이다. 전혀 다른 집안과 환경에서 태어나고 자란 두 사람이 어느 날 부부라는 이름으로 한 이불을 덮는다. 처음부터 잘 맞는 부부가 얼마나 될까? 처음에는 한눈에 반해서, 서로 함께 사는 것이 평생소원이어서 부부가 되...
    Views64549
    Read More
  6. 시각 장애 골퍼의 희망샷 8/5/2013

    캘리포니아 “우들랜드”에서 태어난 초등학교 2학년 남자 아이가 발렌타인스데이를 맞아 엄마에게 줄 선물을 준비하기위해 플라스틱 파이프로 무엇인가를 만들고 있었다. “‘테디 베어’가 그려진 작은 펜스를 엄마에게 선물로 주...
    Views64507
    Read More
  7. 장애인은 아름답습니다 3/8/2014

    한국에서 장애인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 만들어 준 영화가 있다. 2005년 개봉한 영화 <말아톤>은 그해 여름에 열린 대종상 영화제 7개 부문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며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게 된다. 한 영화평론가는 “<말아톤>은 장애인에 대한 한국 사...
    Views64485
    Read More
  8. 어느 장애인의 넋두리

    나는 지체장애인이다. 어릴 때부터 온몸을 흔들고 다니는 것이 수치스러워 힘든 시간들을 보내며 살아왔다. 이제 내 나이 스무살. 모든 것이 예민해지는 세대를 살고 있다. 요사이 아는 누나와 ‘썸’아닌 ‘썸’을 타고 있다. 누나는 청...
    Views64454
    Read More
  9. 아내의 빈자리 8/20/2012

    항상 곁에만 있던 아내가 한국에 갔다. 10년 만에 고국방문이다. 무려 한 달간의 일정을 잡고 둘째와 함께 떠난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아내와 아이가 떠나는 날에 한국에서 네 명의 손님들이 우리 집에 당도했다. 한국 밀알의 단장들이었다. 적적해 질 수 밖...
    Views64454
    Read More
  10. 45분 아빠

    최근 해외의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아빠의 마지막 45분'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사진 속에는 위독해 보이는 한 남성이 산소마스크를 낀 채 신생아를 안고 있다. 무슨 사연일까? 52세의 “Mark”라는 환자가 있었다. 생...
    Views64403
    Read More
  11. 기분 좋은 상상 12/9/2013

    평생 건강하게 사는 사람은 장애의 고통을 이해하지 못한다. 장애인에게는 모든 것이 꿈이요, 기적이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지극히 평범한 일들을 장애인들은 평생 꿈으로 바라보며 산다. 삼중고(시각, 청각, 언어장애)의 고통을 끌어안고 살았던 헬렌켈러의 ...
    Views64402
    Read More
  12. 실수가 아니란다! 11/4/2013

    임마누엘교회(김태권 목사 시무)에서 개최하는 “새생명축제”의 강사로 시각장애를 가진 분이 오신다는 소식을 접하고 은혜의 자리에 동참하게 되었다. 시각장애인인 부모님 밑에서 시각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그의 가정은 경제적으로 심히 어려웠...
    Views64354
    Read More
  13. 아내가 대들면 나는 돌아요 9/16/2013

    한국에서 가정 사역을 하며 만난 한 가정의 이야기이다. 잔뜩 화가 난 것일까? 아니면 술을 한 잔 걸친 것도 같다. 나이는 얼핏 40대 후반은 된 것 같은 남자가 찾아왔다. 우선 “과거 탐사 작업”이 시작된다. 그리고는 질문을 던진다. “나...
    Views64276
    Read More
  14. 들으면 열린다! 6/26/2015

    사람의 얼굴을 보면 코와 입은 하나인데 눈과 귀는 둘이 있다. 이목구비 모두 요긴하지만 보는 것과 듣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성경 야고보서 1:19절은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거니와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
    Views64232
    Read More
  15. 부부싸움은 진정 '필요악'인가?

    부부는 대체적으로 다른 사람들이 만난다. 비슷한 성격의 부부가 만나는 것이 좋을 것 같지만 밋밋한 삶을 살거나, 극단적으로 가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서로 다르다는 것은 힘들어 보이지만 역동성이 있고, 몇 번의 고비를 넘어가고 나면 환상의 콤비가 되는...
    Views64144
    Read More
  16. 언덕에 서면

    불현듯 서러움이 밀려왔다. 뜻 모를 감정은 세월의 흐름에 역행할 수 없는 인생의 한계를 실감해서일까? 2015년이 우리 곁을 떠나려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그 신선한 이름과 반갑게 악수를 나눈 지가 그리 길지 않은 것 같은데 말이다. 참 바쁘게도 살아왔다...
    Views64105
    Read More
  17. 요령의 미학 6/13/201

    내가 할 수 있는 음식은 전무하다. 라면이야 누구나 끓이는 것이고 요리라 이름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나는 없다. 단, 밥은 잘한다. 이것은 내 아내와 아이들도 인정을 하는 면이다. 아마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중학교 3학년 때까지 자취를 한 이력 ...
    Views64073
    Read More
  18. 당신의 운을 점쳐 드립니다!

    “운이 없어서 부도 당했다” “운이 없어 동업자를 잘못 만났다” “운이 없어 시험에 떨어졌다” 사람들은 “운”(運)에 대한 말을 많이도 하고 산다. 결국 “운”은 있는 것일까? 있다고 하더라도 &ldq...
    Views64049
    Read More
  19. 수은주의 눈금이 내려가면 그리움의 온도는 올라간다

    가을이 깊어간다. 어느새 겨울의 반갑지 않은 입김이 서서히 옷깃을 여미게 한다. 서부에 살 때에는 한결같은 청명한 날씨가 지루하게 느껴질 때도 있었지만 동부는 그런 여유를 가질 틈도 없이 계절이 옷을 갈아입고 있다. 흩날리는 가을 낙엽 속에서 불현 ...
    Views63992
    Read More
  20. 남자를 위하여 4/12/2014

    이 지구상에 반은 남자이다. 인종과 문화를 초월하여 남자들이 지구의 반을 디디고 살고 있다. 도대체 남자는 누구인가? 내가 어릴 때만해도 한국은 남성중심의 사회였다. 아버지가 가정의 축이었다. 새 학기에 작성하는 생활조사서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
    Views6382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