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2.03 12:06

욕쟁이 할머니 7/10/15

조회 수 718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욕쟁이_할멈.jpg

 

 

서울 명동의 한 음식점은 점심때가 되면 만원을 이룬다. 회사원들을 물론이요, 소문을 듣고 찾아온 사람들로 발 디딜 틈이 없다.그 음식점의 사장이자. 주방장은 “욕쟁이 할머니”로 유명하다. 내돈주고 밥 한 그릇을 사먹으면서도 욕 몇 마디를 듣는 것은 보통이다. “야, 이놈아. 뭘 ×먹으려고 왔냐. 이 호랭이가 물어갈 놈아!”부터 시작하여 지면에 차마 표현 할 수조차 없는 욕을 질펀하게 내뱉는다. 그런데 욕을 듣는 사람들의 표정은 행복하다. 아마 욕쟁이 할머니의 본심을 알기에 넉넉한 마음으로 받아 넘기는 듯하다.

 

사람들은 옛날 자라오며 들었던 욕을 기억하며 그 욕쟁이 할머니를 통해 멀리 계시거나 이미 고인이 된 어머니의 체취를 느끼고 있는지도 모른다. 옛날 부모님들은 욕을 참 잘하셨다. 지금 생각해 보면 자식을 향해 어떻게 그런 끔찍하고 저주스러운 욕을 했는지 이해가 안 간다. 그런 욕을 먹고 살았으면서도 이만큼 사는 것이 신기할 정도이다. 욕을 하는 것이 나쁜 것인 줄 알면서도 욕을 들으며 자란 아이는 자신도 모르게 욕에 익숙해져 가고 무의식중에 욕을 내뱉게 된다.

 

친구와 마주 앉아 식사를 하는 순간에도 할머니의 걸죽한 욕은 귓전에 파고들었고 우린 금방 고향집 사랑방에 온 듯한 정감을 느꼈다. 신세대들이야 그런 욕을 들으면 눈알이 동그라지겠지만 우리 세대들은 어린 시절 많은 욕들을 듣고, 쓰며 살았다. 부끄러운 고백이지만 나는 어릴 때부터 욕의 다양성과 욕을 구사할 때에 쾌감을 터득한 바 있다. 모든 아이들이 집안에 들어가면 욕을 못한다. 자식이 욕을 하는데 방관할 부모가 있는가? 그러나 아이들끼리 모여서 구슬치기를 하고, 비석치기, 말 타기 등을 하며 놀다보면 욕으로 범벅이 된다.

 

사실 욕은 생겨나서는 안 되는 언어이다. 해서는 안 될 말이다. 특히 크리스천들이 욕을 입에 담는 다는 것은 커다란 죄악이다. 입에서 내 뱉어지는 말이지만 욕을 함으로 입게 되는 영적 손해는 치명적이다. 이것은 누구나 다 아는 상식이요. 우리가 기도하는 기도 제목이다. 그러나. 여전히 사람들은 욕을 한다. 사람들이 욕을 하는 이유는 욕을 할 때에 일시적으로 주는 쾌감 때문일 것이다.이렇게 표현하면 어떨지 모르지만 욕을 할 때에 카타르시스 효과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이 안 풀려 답답하고 상대방이 너무 미울 때 욕을 해 버리면 속이 시원해진다. 그래서 그런지. 욕은 어느 나라나 있다. 영어의 욕은 그 내용이 섬찟하다. 어느 목사님이 차를 운전하고 가는데 별안간 차가 끼어들었다. 찰나에 대형사고가 날 뻔한 순간이었다. 목사님이 하도 화가 나서 욕을 해버렸다. 그런데 그 차안에는 권사님, 집사님들이 타고 있었다. 함께 심방을 가는 중이었던 것이다.정신을 차리고 나니 얼마나 당황스러웠든지. “아이구 참, 아이구 참!”만 연발하며 갔다나?

 

욕을 안 하고 사는 사람이 있을까? 예수님도 성경에 보면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을 향해 무서운 욕을 퍼부으셨다. 그런 자극을 통해서라도 그들이 회개하고 돌아오기를 주님은 간절히 소망하셨다. 예수님이 하신 욕의 의미는 일반 사람들이 하는 욕과 전혀 다른 것은 틀림없다. 어쩌다 화나나서 욕을 할 수는 있다. 하지만 욕을 습관적으로 하는 것은 문제가 된다.

 

사실 욕에 대한 반응은 상대적이라 할 수 있다. 오랜만에 만난 학교 동창이 욕을 한다고 화를 내는 사람은 없다. 그것은 우정 어린 표현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이처럼 내 마음이 넉넉하기만 하면 그 어떤 것도 여유 있게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어차피 세상이라는 흙탕물에 산다면 욕에 대하여 초연 해지는 삶을 터득해야 하지 않을까?

욕 한마디에 회사에 사표를 집어던지고, 무시당했다고 맞받아치다가 인생의 깊은 나락으로 떨어지기보다 욕쟁이 할머니의 욕을 반찬 삼아 미소 지으며 맛있게 밥을 먹듯이. 그 어떤 것도 포용하며 용납하고 사랑하며 살 수 있는 넓은 아량의 사람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1. 2016년 첫 칼럼 나를 찾는 여행

    새해가 밝았다. 2016년이 시작되는 날이다. 사람마다 저마다의 소망을 품고 그 꿈이 이루어질 것을 간절히 바라며 신년호에 올랐다. 사람들은 만나면 서로를 알기위해 애를 쓴다. 고향부터, 가족과 친구관계. 그리고 그 사람의 취향과 재능까지 속속들이 알아...
    Views65907
    Read More
  2. 언덕에 서면

    불현듯 서러움이 밀려왔다. 뜻 모를 감정은 세월의 흐름에 역행할 수 없는 인생의 한계를 실감해서일까? 2015년이 우리 곁을 떠나려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그 신선한 이름과 반갑게 악수를 나눈 지가 그리 길지 않은 것 같은데 말이다. 참 바쁘게도 살아왔다...
    Views62986
    Read More
  3. 연필, 그 속에 들어있는 이야기

    우리는 연필세대이다. 처음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사용하던 연필은 지금 생각하면 ‘열악’ 그 자체였다. ‘연필심’이 물러 뭉그러지기도 하고 어떤 것은 너무 날카로워 공책을 찢어놓기 일수였다. 어떨 때는 글씨를 쓰다가 연필이 반쪽...
    Views75456
    Read More
  4. 사랑 참 어렵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나 사랑을 갈구하다가 사랑으로 일생을 마감한다. 요람으로부터 무덤까지 사람은 사랑을 위해 살다간다 해도 결코 지나친 말이 아니다. 사랑을 받아 행복해 하기도하지만 때로는 사랑을 구걸하며 살아가기도 한다. 평생 사랑을 베푸는 것...
    Views65090
    Read More
  5. 나도 가고 너도 가야지 11/27/15

    초등학교 3학년으로 기억한다. 나는 그때 경기도 양평군 “강상”이란 곳에 살았다. 세를 들어 살았는데 집 주인은 양평과 강상사이를 오가는 배에 노를 젓는 뱃사공이었다. 집은 동리에서 조금 떨어져 있었고 집 위로 나지막한 산이 있었다. 문제...
    Views66720
    Read More
  6. ‘시애틀’의 비 내리는 밤 11/20/15

    8년 만에 시애틀을 찾았다. 시애틀의 가을향취를 기대했건만 오는 날부터 내내 비가 뿌리고 있다. 비가와도 보통 비가 아니다. 며칠 동안 내내 소낙비가 쏟아지고 있다. 시애틀의 하늘에는 댐이 존재하고 있는듯하다. 처음 비행장을 빠져 나올 때만해도 운치...
    Views77060
    Read More
  7. 아버지의 시선 11/13/15

    나의 아버지는 엄한 분이였고 항상 어려웠다. 동리 분들과 어울리실 때는 퍽 다정다감한 것 같은데 자식들 앞에서는 무표정이셨다. 그것이 사춘기시절에는 못 마땅했다. 이유 없는 반항을 하며 대들어보기도 했지만 아버지는 요지부동이셨다. 나이가 들어가며...
    Views71196
    Read More
  8. 세상에서 가장 슬픈 소원 11/6/15

    영화 <말아톤>을 보면 장애우 “초원”이 엄마와 마라톤 감독 간에 대화가 주목을 끈다. 감독이 초원이 엄마(김미숙 분)에게 묻는다. “아줌마 소원이 무엇입니까?” 망설이듯 하던 초원 엄마가 대답한다. “내 소원은 초원이보다 ...
    Views71240
    Read More
  9. 가을 편지 10/30/15

    우리 집 앞마당에는 커다란 나무 한그루가 자태를 뽐내며 서있다. 이름도 알 수 없는 이 나무는 희한하게 늦은 봄에 잎사귀를 틔우고 가을만 되면 일찌감치 낙엽을 떨어뜨린다. 남들이 새싹을 드러낼 때에는 느긋하다가 느즈막히 잎을 드러내는 것은 그렇다치...
    Views68948
    Read More
  10. 고양이를 아시나요? 10/23/15

    나는 고양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닌데 그냥 싫다. 눈매와 발톱이 너무 날카로워서일까? 아니면 울음소리 때문일까? “야∼∼옹!” 흉내만 내도 기분이 섬뜻해 진다. 무엇보다 어릴 때 보았던 영화 탓이 큰 것...
    Views71874
    Read More
  11. 드라마 법칙 10/16/15

    가까이 지내는 목사님에게 물었다. “드라마 보십니까?” 정색을 하며 대답한다. “드라마를 보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 목사님 설교는 어째 Dry하다. 드라마를 멀리하는 것이 경건일까? 드라마는 사람들의...
    Views65316
    Read More
  12. 아내는 반응을 고대하며 산다 10/9/15

    사람은 혼자 살수 없다. 다른 사람과 관계를 해야 사는 것이 인생이다. 관계는 네 분야로 나눌 수 있다. 1:1대응, 1:다대응, 다대:다대응, 다대:1대응. 어떤 분은 많은 사람들과는 잘 어울리는데 1:1의 만남에서는 어색해 한다. 여성들은 다대응:다대응보다는...
    Views75066
    Read More
  13. 친구가 되어주세요!10/2/15

    <팔 없는 친구에게 3년간 우정의 팔.> 오래 전, 한국 신문 기사에 난 타이틀이다. 양팔이 전혀 없는 친구를 위해 3년 동안 헌신한 우정에 대한 기사였다. “김영태”군은 6살 때 불의의 감전사고로 양팔을 잃게 되었다. 팔이 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
    Views74061
    Read More
  14. 반말 & 존댓말 9/25/15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
    Views67137
    Read More
  15. 바다 그리고 음파 9/18/15

    세상에는 노래가 많다. 사실 들리는 모든 소리가 리듬을 타고 있다. 어린 시절에 우리 동네에는 물레방아가 있었다. 그 옆에는 대장간이 마주했다. 친구들과 심심하면 그 앞에 자리를 틀고 앉았다.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모습은 신기하기 이를 데 없었다. 커다...
    Views64468
    Read More
  16. 니, 우째 잠이오노? 9/11/15

    한국의 격동기 시절. 경남 고성에 18살 먹은 철없는 아가씨가 있었다. 시절이 어려운지라 친정아버지는 ‘부랴부랴’ 혼처를 알아보고 딸을 출가시킨다. 엄처시하의 환경 속에서도 해맑은 신부는 철없는 행동을 하지만 시부모님의 사랑을 받으며 효...
    Views66308
    Read More
  17. 밀알의 밤 바다 9/4/15

    가을이 되면 밀알선교단에서는 음악회를 연다. 2003년 7월.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여 장애인사역의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지만 당시 선교단의 상황은 열악했다. 전임 단장이 채 3년을 채우지 못하고 급작스럽게 사임하면서 시...
    Views64299
    Read More
  18. 나를 만든것은 바람 8/28/15

    미당 서정주 선생은 “자화상”이라는 시에서 이렇게 노래한다. “스믈세햇동안 나를 키운건 8할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 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입에서 천치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Views66902
    Read More
  19. 생각바꾸기 8/14/15

    인생은 한마디로 “어떤 생각을 하고 사느냐?”입니다. 성경은 말합니다. “대저 그 마음의 생각이 어떠하면 그 위인도 그러한 즉”(잠언 23:7). 생각이 그 사람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위대한 발명왕 에디슨은 “천재는 1%의 영감과...
    Views65587
    Read More
  20. 아내는 “에제르”(Ezer) 8/14/15

    하나님은 사람을 만드시되 먼저 남자를 만드셨다. 그리고는 “남자가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판단하시고 여자를 만들어 배필로 주셨다. 아내의 다른 이름은 '돕는 배필'이다. 이 말은 남자 스스로 인생을 만들어내기보다 아내가 ...
    Views7719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