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8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누구나 태어나면 자녀로 산다. 부모가 능력이 있고 없고를 떠나서 그 그늘 아래에 사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나이가 들어서야 깨닫게 된다. 철없이 투정을 부리고 때로는 부모의 마음을 속타게 하며 자라난다. 장성하여 부모가 되고 나면 그분들의 노고와 사랑이 가슴에 저민다. “, 그때 우리 엄마(아빠)의 마음이 그랬겠구나!” 어린 모습 그대로일지 알았는데 어느새 가정을 꾸미고 자식을 키우는 모습속에서 세월의 무상함을 절감한다. 귀엽고 앙증맞던 모습은 어디로 가버리고 어엿한 엄마로 아가의 칭얼거림을 달래는 모습이 대견하다.

 

  요사이 젊은 부부들을 본다. 아이들을 대하는 태도가 고상하다. 절대로 나무라거나 면박을 주지 않는다. 타이르고 차분히 설득한다. 부럽다. 한편 부끄럽다. 우리 세대는 부모의 롤모델이 없었다. 엄마는 오로지 집안일에 매진하는 안사람이었고, 아버지는 늘 바쁘셨다. 진정 바깥양반이었다. 엄마와 있으면 편안했지만 아버지가 집에 들어오시면 행동거지가 자유롭지 못했다. 하지만 요사이 젊은 아빠들은 다정다감하다. 외출을 하면 짐과 아이들을 모두 떠맡는다. 기세등등하던 아버지 상은 훨씬 부드러운 이미지로 바뀌어졌다.

 

  이미 출가한 아이들을 보면 그래서 미안하다. 젊은 아빠는 목회를 한다는 핑계로 새벽예배에 나가면 온종일 교회에서 지냈다. 심방을 하고 전도를 해야 했기 때문이다. 간혹 친구 목사들 모임이 있을때면 어머니에게 아이들을 맡겨놓고 다녀왔다. 아이들은 언제 집에 오느냐?”고 전화를 해댔고 빨리 씻고 자라고 소리만 질러댔다. 아이들이 부모의 사랑을 목말라할때에 나는 곁에 있어주지 못했다. 가족모임을 가질 때 가끔 아이들이 자신들은 방관의 존재였다는 말을 한다. 가만히 듣기만한다. 때로는 미안하다라고 한다. 나이가 드니 애비가 해준일이 솔직히 하나도 없다. 누구처럼 등록금을 대준적도 없고, 공부할때에 곁에서 학습을 도와준적도 없으니 말이다.

 

  그런 와중에도 불평없이 잘 자라준 것이 고맙다. 대학을 졸업하고 유수한 회사에 취업하여 꿈을 펼치는 모습이 자랑스럽다. 좋은 믿음의 짝을 만나 행복하게 살아주니 더 바라는 것도 없다. 하지만 따져보면 그 누구가 자식 앞에 당당할 수 있을까? 젊을때는 자식이 보이지 않는다. 회사 생활에 쫓기고 사업을 하느라 여념이 없고, 가족부양에 매진해야 하는 것이 인생이다. 그런데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보니 아이가 아이가 아니다. 이제 부모의 손길을 벗어난 세대에 가 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훨훨 짝을 찾아 날아간다. 효성스러운 자녀들도 많이있지만 나이가 들어 자식들을 오매불망 기다리며 사는 부모의 마음을 그들은 얼마나 헤아릴까?

 

  자식은 내 맘대로 안된다는 말이 있다. “인생이 내 맘대로 안된다는 것을 알게 하기위해 하나님이 자식을 주셨다는 말도 있다. 어리면 어린대로 서서히 자라가며 사춘기에 접어들어 성장통을 겪을 때는 어디까지 개입하며 돌보아야 하는지 감이 오질 않는다. 그리고 청년, 사회인, 가정을 이루고 살아가는 자식들을 부모는 평생 가슴앓이를 하며 지켜보아야만 한다. 부모는 누구나 자식이 건강하기를, 행복하기를 기도하며 산다. 하지만 현실은 냉혹하다. 모든 자녀가 그렇게 평탄하게 살아주기만 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한국을 방문했다가 충격적이 소식을 접했다. 옛날 내가 부목사로 섬기던 교회. 당시 담임 목사의 장남은 장로가 되어 그 교회를 충성되이 섬기고 있다. 그런데 그의 차남이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는 비보였다. 나이가 31. 가슴이 탁 막혀왔다. 고이 길러온 아들을 잃고 중직인 그가 너무 가슴이 아파 교회도 나가지 않는다는 말까지 들었다. 얼마나 처절한 이야기인가? ‘자식은 죽으면 가슴에 묻는다고 했다. 남은 날을 자식을 그리워하며 살아갈 부부의 모습에 가슴이 미어졌다.

 

  뚝뚝하던 아버지가 아들이 집영통보를 받고 연병장으로 들어갈때에 닭똥같은 눈물을 흘린다. 타주에 있는 대학교에 입학하는 자녀들의 짐을 기숙사에 풀어주고 작별 허그를 나누고 돌아오는 차안에서 부모는 흐느껴 울게 된다. 자식은 소중한 선물임이 틀림없지만 평생 가장 큰 무게로 눌러오는 저울인 듯 하다.

 

 


  1. 아내는 “에제르”(Ezer) 8/14/15

    하나님은 사람을 만드시되 먼저 남자를 만드셨다. 그리고는 “남자가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판단하시고 여자를 만들어 배필로 주셨다. 아내의 다른 이름은 '돕는 배필'이다. 이 말은 남자 스스로 인생을 만들어내기보다 아내가 ...
    Views77582
    Read More
  2. 장애인을 어떻게 불러야 하나요? 8/7/15

    장애인 호칭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혼돈을 일으킨다. 내가 어릴 때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들을 여과 없이 쏟아냈다. “장애자”에서 다듬어진 호칭은 이제는 “장애인”이라는 말로 정착을 했다. 한때는 “장애우”라는 말을 ...
    Views73936
    Read More
  3. 한국 풍경 7/31/15

    나는 지금 한국에 머물고 있다.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땅. 하지만 올 때마다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공항을 벗어나자마자 숨을 멈추게 할 정도의 더운 바람이 폐를 파고든다. 그 옛날 동리 앞 개울가에서 ‘멱’(수영)을 감다가 나와...
    Views68276
    Read More
  4. 아, 한강! 7/24/15

    필라에는 “아리수”라는 이름의 한식당이 있다. 누군가 물었다. “아리수가 무슨 뜻입니까?” 주워들은 이야기가 있어 자신 있게 대답했다. “아, 순수한 우리나라 말로 ‘한강’을 뜻합니다.” 상대방은 고개를 &l...
    Views71567
    Read More
  5. 짜장면 좋아하세요? 7/17/15

    밀알선교단 모임에서 “당장 죽음이 가까워 온다면 꼭 먹고 싶은 음식은 무엇입니까?”라는 화두로 대화의 광장을 열었다. 희한한 질문에 장애인들 대부분은 “짜장면”이라고 대답했다. 사람이 철이 나려면 세 가지 현상이 나타나야한단...
    Views79853
    Read More
  6. 욕쟁이 할머니 7/10/15

    서울 명동의 한 음식점은 점심때가 되면 만원을 이룬다. 회사원들을 물론이요, 소문을 듣고 찾아온 사람들로 발 디딜 틈이 없다.그 음식점의 사장이자. 주방장은 “욕쟁이 할머니”로 유명하다. 내돈주고 밥 한 그릇을 사먹으면서도 욕 몇 마디를 ...
    Views72202
    Read More
  7. 아빠 죽지마 7/3/2015

    “사랑하는 우리 가족 중에 건강한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잠도 좁은 방에서 다 같이 자야 하지만 나는 웃을 수 있습니다. 이 세상에서 제일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있으니까요.” 뇌병변 장애 1급으로 누워계신 아버지, 힘든 간병생활로 얻은 허...
    Views68221
    Read More
  8. 들으면 열린다! 6/26/2015

    사람의 얼굴을 보면 코와 입은 하나인데 눈과 귀는 둘이 있다. 이목구비 모두 요긴하지만 보는 것과 듣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성경 야고보서 1:19절은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거니와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
    Views63495
    Read More
  9. 0시의 다이얼 6/19/2015

    나는 음악을 좋아한다. 아니 너무도 사랑한다. 집에 있을 때나 차를 운전할 때에도 항상 음악을 즐겨 들으며 산다. 목사라고 찬송이나 복음성가만 듣지 않는다.즐겨 듣는 음악의 장르는 다양하다. 클래식부터 발라드, 락(Rock)까지 비오는 날에는 7080 가요를...
    Views78612
    Read More
  10. 수학은 틀려야 한다 6/12/2015

    인생이 아름다운 것은 내게 야성(野性)이 살아있을 때이다. 겁나는 것 없이 내달릴 때에 쾌감은 경험한 사람만이 안다.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철이 없을 때라고나 할까? 수학은 어렵다. 하지만 문제를 풀어갈 때에 상상할 수 없는 성취감을 맛보게 된다. 처음...
    Views67816
    Read More
  11. 황혼기 갈등 6/5/2015

    이 세상에 갈등이 없는 부부가 얼마나 될까? 부부는 만나면서 “갈등”을 전제하고 시작하는 지도 모른다. 전혀 다른 관습과 환경 속에서 성장한 청춘남녀가 ‘사랑’이라는 가느다란 끄나풀로 시작하는 것이 부부이다. 그 사랑이라는 것...
    Views67574
    Read More
  12. 바뀌어야 산다 5/29/2015

    사람은 다 다르다. ‘다르다’는 것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새로운 것에 너무 철벽을 쌓는 사람을 만나면 답답함을 느낀다. “바꿈”에 아주 인색한(?) 분들이 있다. 자신이 살아왔던 방식, 의식, 전통을 목숨처럼 고수하는 사람 말이다. ...
    Views62292
    Read More
  13. 캐나다 행복기 5/22/2015

    미국과 가장 가까이 있는 나라는 남쪽으로 멕시코, 북쪽으로는 캐나다이다. 멕시코는 몇 차례 다녀왔지만 희한하게도 캐나다 땅을 밟아본 경험이 없는 것이 항상 아쉬웠다. 지난 2월, 캐나다 밀알선교단 단장인 “김신기 목사님”으로부터 전화 한...
    Views77568
    Read More
  14. 잘 되는 나 5/16/2015

    이것은 ‘긍정의 힘’의 저자 조엘 오스틴이 내놓은 역작의 제목이다. 너무 노골적이지만 현대인들은 그런 취향에 익숙해 진지 오래이다. 조엘 오스틴의 책을 접하면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음을 나도 느낀다. 아마 그것은 정식으로 신학을 하...
    Views71792
    Read More
  15. 아버지를 만나야 한다 5/7/2015

    누구에게나 아버지가 있다.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느낌과 생각이 다르다. 어머니는 편하다. 아니 만만하다. 아버지는 어렵다. 아니 걸끄럽다. 한 사나이를 상담했다. “나이가 들어도 여전히 아버지는 타인처럼 느껴져 힘이 들다.”는 고백이었다...
    Views68025
    Read More
  16. 패치 아담스 5/1/2015

    2014년 8월 비보를 들었다. 영화배우(희극) “로빈 윌리엄스”(Robin Williams)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이었다. 20년 전 상담을 공부하던 장면이 주마등처럼 훑고 지나갔다. 상담을 공부하기 2년차 새 학기에 한 젊은 교수가 강단에 섰다. 미국 하...
    Views78921
    Read More
  17. 그 소녀는 지금 어디에 4/24/15

    “소녀”(少女). 누구의 가슴에나 표현할 수 없는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단어이다. ‘여학생, 처녀, 어린 여자아이.’라는 단어도 있지만 “소녀”란 말은 자연스럽게 눈을 감게 만든다. 우연히 가수 최백호의 “낭만에 대...
    Views67161
    Read More
  18. 당연의 틀을 깨라! 4/17/2015

    사람은 어릴 때부터 교육을 받는다. 집안에서부터 자라나며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훈련과 지식을 터득하며 성장한다. 그 모든 교육을 받고나면 의젓한 사회인이 되는 혜택(?)도 있지만 반면 “당연한” 인물이 된다. 지식이 충만해지며 ‘당연...
    Views62861
    Read More
  19. 남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4/10/15

    가정의 전권을 쥐고 살던 남편들이 힘을 잃어가면서 희한한 유모어가 나돌기 시작했다. “간 큰 남자 시리즈, 고개 숙인 남자”는 옛이야기이고 급기야 “맞사모”(맞고 사는 남편들의 모임)가 결성되기에 이르른다. 요사이 드라마를 보...
    Views73283
    Read More
  20. 장애인 오해하지 마세요! 4/3/15

    사람들은 건강이 얼마나 소중한줄 모르며 살아간다. 아침에 눈을 뜨면 찬란한 햇살을 응시할 수 있고, 요란하게 노래하는 새소리에 심취하며 화장실, 주방을 두루두루 마음껏 걸어 다닐 수 있는 것은 당연이라 여기며 생을 이어간다. 아니다. 그것은 대단한 ...
    Views6909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