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9.09.27 11:23

사랑이란 무엇일까?

조회 수 283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랑.png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요하다. 그 사랑 사이에서 새 생명이 잉태되고 아가는 세상에 태어난다. 그렇다고 모두 축복 속에 태어나는 것이나 정상적인 부부 사이에 태어나는 것도 아니다. 이렇게 표현하기는 껄끄럽지만 원치 않는 임신도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태어나는 과정부터 인생은 꼬이기 시작한다. 축복받지 못하고 시작하는 삶은 가엽기 그지없다.

 

 태어나서도 그렇다. 형제가 많으면 많아서, 없으면 없어서 아이는 힘들다. 많으면 그런 와중에도 부모의 사랑을 서로 차지하려고 힘을 쓰게 된다. 없으면 어울릴 공동체가 없어 외로움을 체득하며 살아야만 한다. 전문적인 용어로 어릴 때부터 사랑을 많이 받고 자라는 환경을 순기능 가정이라 한다. 반면, 악조건 속에서 성장하면 역기능가정이라 한다. 순기능 가정에서 자란 사람은 상처를 별로 받지 않는다. 사람이든 환경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순응하는 것이 체질화되어있다. 하지만 역기능가정에서 자란 사람은 원인을 모르는 피해의식과 열등감에 사로잡혀 살게 된다. 따라서 사람과 환경을 보는 시각이 평범하지 않다. 극한 표현으로 매사에 삐딱하다. 긍정적이기보다 비판적이고 어두운 쪽으로 치우치다보니 관계가 원만하지 않다.

 

 

 10대에 접어들면 자연스럽게 이성에 눈을 뜨게 된다. 그것은 하나님이 사람에게 주신 본능이요, 성장 과정이다. 내가 좋아하면 상대가 싫어하고 적극적으로 다가서는 이성은 내가 부담스러움이 사랑의 아이러니이다. “아픈 만큼 성장한다.”는 말처럼 뜨겁게 사랑을 해보기도 하고 이유도 없이 헤어지면서 마음의 근육이 붙어간다. 중년에 접어들어 추억의 노래를 들으면 눈물이 나는 것은 그 아픔과 그리움이 되새김질 되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그 누군가를 만나 부부의 연을 맺는다. 너무도 달콤하기에 허니문이라고 한다. 눈빛만 마주쳐도 찌릿찌릿하며 꿀이 떨어진다. 그런 시간이 영원히 지속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후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부딪히고 서로를 통제하려는 거룩한 작업(?)이 시작된다. 상상하지 못했던 허무감, 실망감, 적막감, 현실감에 맞닥뜨리며 부부는 삶을 이어간다.

 

 시간이 갈수록 부부의 벽은 높아만 간다. 사랑이 섭섭함과 증오로 변해간다. 그 과정을 견디지 못해 손을 들어버리는 부부가 늘어간다. 다른 사랑을 만나면 행복할까? 한번 사람에게 실망하고 사랑의 상처를 받은 사람은 조그만 충격에도 너무도 쉽게 무너지는 약점을 가지게 된다. 단정지어 말하는 것 같지만 인생을 살아보니 사람은 그리 차이가 많은 것 같지 않다. 거기서 거기다. 따라서 사랑의 기술이 필요하다. 나에게 맞는 사람을 찾기보다 내가 맞춤형 인간이 되어야만 한다. 어느 교회에 가서 설교를 하다가 외쳤다. “여러분, 어릴 때 모범생과 그렇지 못한 소위 날라리들이 있었지요? 나중에 보면 누가 더 잘 살아요?” 마치 약속이나 한 것처럼 여성도들의 합창이 들려왔다. “날라리요.” 그 소리가 얼마나 컸던지 말을 해놓고 서로 크게 웃었다.

 

  강단에서 하기에는 너무도 파격적인 표현이었지만 대답은 이구동성으로 돌아왔다. 왜 이런 대답이 나왔을까? 그 당시에는 문제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부류는 사랑의 기술과 요령을 어릴 때부터 체득하기 때문이다. 자기 틀에 박혀 상대를 보고, 기대한 만큼의 사랑이 돌아오기를 바라는 사람은 평생 배고픔의 삶을 산다. 사랑할 줄 모르는 사람은 사랑을 받을 줄도 모른다. 진정 사랑은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다. 사랑은 기다리는 것이다. 참아주는 것이요, 져주는 것이다. 말이 그렇지 그 과정은 내가 죽어야만 가능하다. 그래서 사랑은 아프다. 사랑 참 어렵다. 사랑의 핵심은 배려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이제 사랑을 조금은 알 것 같다


  1. 생각의 시차

    한국의 지인에게 전화를 할라치면 반드시 체크하는 것이 있다. ‘지금, 한국은 몇시지?’ 시차이다. 같은 지구별에 사는데 미국과 한국과는 13시간이라는 차이가 난다. 여기는 밤인데 한국은 대낮이고, 한창 활동하는 낮이면 반대로 한국은 한밤중...
    Views30516
    Read More
  2. 시각장애인의 찬양

    장애 중에 눈이 안 보이는 어려움은 가장 극한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 중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존경의 대상이 될 만한 인물들이 속속 배출된 것을 보면 고난은 오히려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끈질긴 내성을 키워내는 것 같다. 한국이...
    Views30056
    Read More
  3.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9725
    Read More
  4.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9704
    Read More
  5.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9653
    Read More
  6.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9511
    Read More
  7. 부부의 사랑은~

    아이들은 혼자서도 잘 논다. 그러다가 친구를 알고 이성에 눈을 뜨며 더 긴밀한 관계를 알아차리게 된다. 사춘기에 다가서는 이성은 등대처럼 영롱하게 빛으로 파고든다. 청춘에 만난 남 · 녀는 로맨스와 위안, 두 가지만으로 충분하다. 눈을 감고 내 ...
    Views28976
    Read More
  8.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8815
    Read More
  9.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8569
    Read More
  10.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8564
    Read More
  11.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8393
    Read More
  12.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8328
    Read More
  13. 한센병은 과연 천형(天刑)일까?

    병(病)의 종류는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의학이 발달하면 할수록 희귀병은 늘어만 간다. 지금 우리는 듣도보도 못한 바이러스로 인해 삶의 터전이 송두리째 무너지고 있다. 옛날에 가장 무서운 병은 “문둥병”이었다. 표현이 너무 잔인하...
    Views28301
    Read More
  14.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7966
    Read More
  15. 왜 남자를 “늑대”라고 하는가?

    나이가 든 여성들은 잘생기고 듬직한 청년을 보면 “우리 사위 삼았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한다. 그런데 나이가 든 남성들은 예쁘고 매력적인 자매를 보면 다른 차원에서의 음흉한 생각을 한다고 한다. 물론 점잖은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있으시...
    Views27658
    Read More
  16.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7646
    Read More
  17.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7092
    Read More
  18. 겨울이 전하는 말

    겨울은 춥다, 길다. 지루하다. 하지만 그 겨울이 전해주는 말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깊은 내면으로 빨려 들어가는 마력이 있다. 겨울은 해를 바꾸는 마술을 부린다. 열심히 살아온 정든 한해를 떠나보내게 하고 신선한 새해를 맞이하는 길목이 겨울이다. 남미...
    Views26994
    Read More
  19.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26670
    Read More
  20. 어쩌면 오늘일지도

    전화벨이 울렸다. 뉴욕의 절친 목사 사모였다. “어쩐 일이냐?”고 물을 틈도 없이 긴박한 목소리가 전해져 왔다. “지금 목사님이 코로나바이러스 양성판정을 받고 상태가 악화되어 맨하탄 모 병원 중환자실에 들어가셨어요.” 앞이 하...
    Views2664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