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95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재서 총재.png

총장 부부.jpg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들 부정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무엇보다 승산이 0%라는 것이다. 11명이 출마한 총신대학교 총장 경선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줄곧 1위를 달리더니 마침내 총장에 당선되는 쾌거를 이룬다. 다들 혀를 내둘렀다. 실로 불가능의 벽을 뚫고 그는 당당히 세계 최초 시각장애 총장이 된 것이다.

 

 나의 모교이지만 총신대학교는 면학 분위기가 무너진지 오래이다. 전임 총장의 운영 미숙과 신뢰상실로 상처투성이의 학교가 되어버렸다. 그런 와중에 시각장애를 가진 이재서 박사가 취임하기에 이른다. 다들 많은 염려를 했지만 밀알을 40년 이끌어온 그의 탁월한 리더십은 학교를 서서히 정상화시켜 나가고 있다. 총장이 되자마자 살인적인 스케줄을 소화하며 각종 모임에 참석을 하고 수많은 사람을 만나며 총장의 입지와 학교 정상화 두 마리에 토끼를 능숙히 잡아내고 있는 것이다. 얼마나 다행스러운지 모른다.

 

 이재서 총장은 열다섯 살 어린 나이에 갑작스런 실명으로, 죽음 같은 고통과 좌절을 겪어야 했다. 고교시절에 여의도에서 열린 빌리그레이엄 목사 초청 집회에 참석하여 예수그리스도를 영접하며 실명을 축복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총신대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던 19791016일 한국밀알선교단을 설립하여 장애인선교의 기치를 들어 올리게 된다. 1984년에는 지팡이에 의지한 채 홀로 미국 필라델피아로 유학을 와서 각종 학위를 취득하게 되고 그런 와중에 필라델피아 밀알선교단을 시작으로 미주 곳곳에 밀알선교단을 세우게 된다.

 

 1994년 귀국 이후에는 모교인 총신대학교의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헌신한 끝에 학문의 장 대학과 봉사의 현장 밀알에서 교수와 총재로 살아온 그는 총신대학교 제7대 총장으로 선출되어 525일부터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 총장은 누구를 만나던 점자컴퓨터를 앞에 놓고 대화를 한다. 그는 1967년부터 점자로 일기를 쓰고 있다.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동안에도 그의 손은 분주하다. 꼼꼼하게 메모하는 습관을 50년 넘게 유지해왔다. 가까이서 모시며 느끼는 것은 그는 상당한 노력파이며 자상하고 이타적인 분임을 깨닫는다.

 

 총장실은 취임을 축하하는 화환들로 푸릇푸릇하다. 원목 가구들과 화분이 어우러져 마치 수목원에 온 것 같은 분위기이다. 대부분 이 총장 이야기에 감명받은 사람들이 보낸 것이다. 장애인이 보내기도 하고 일면식도 없는 사람이 보낸 화분도 많단다. 어떤 이는 이 총장 인터뷰가 실린 일간지를 액자에 고이 넣어서 보내기도 했다. “총장 당선 소식이 알려지고 내 일처럼 기뻐해 준 장애인이 많았어요. 어떤 30대 여성은 갑자기 시력을 잃어서 절망에 빠져 있었는데 저를 보고 희망을 되찾았다고 하고, 어떤 사람은 일본과의 축구 경기에서 골이 터지는 걸 보는 기분이었다고도 하더라고요. 한이 풀렸다, 응어리가 풀렸다는 의견도 있었구요. 제가 우리 사회의 유리천장과 편견을 깼다는 생각에 기뻐하는 장애인이 많았습니다.”

 

 그가 총장이 될 수 있었던 숨은 공로자는 학교 구성원들이다. 시각장애인이 총장선거에 나가겠다고 할 때에 그 누구도 시비를 거는 사람은 없었다. 25년 동안 학생들을 가르치며 최선을 다하고 열심히 한 결과였다. 무엇보다 한결같이 곁에서 묵묵히 내조해 준 한점숙 사모의 내조를 잊어서는 안 된다. 그가 총장이 된 것도 위대한 일이다. 하지만 그보다 절망할 수밖에 없는 시각장애, 그 누구도 관심 가져주지 않는 장애인이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신학대학교 총장이 되었다는 것이 감사할 뿐이다.

 

 장애는 결코 삶의 장애가 될 수 없음을 그는 증명해 보였다. 희망, 꿈을 향한 도전. 그의 업적보다 그의 삶의 태도는 모두의 마음에 훈풍이 불게 한다.


  1. 생각의 시차

    한국의 지인에게 전화를 할라치면 반드시 체크하는 것이 있다. ‘지금, 한국은 몇시지?’ 시차이다. 같은 지구별에 사는데 미국과 한국과는 13시간이라는 차이가 난다. 여기는 밤인데 한국은 대낮이고, 한창 활동하는 낮이면 반대로 한국은 한밤중...
    Views30501
    Read More
  2. 시각장애인의 찬양

    장애 중에 눈이 안 보이는 어려움은 가장 극한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 중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존경의 대상이 될 만한 인물들이 속속 배출된 것을 보면 고난은 오히려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끈질긴 내성을 키워내는 것 같다. 한국이...
    Views30055
    Read More
  3.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9720
    Read More
  4.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9646
    Read More
  5.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9591
    Read More
  6.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9506
    Read More
  7. 부부의 사랑은~

    아이들은 혼자서도 잘 논다. 그러다가 친구를 알고 이성에 눈을 뜨며 더 긴밀한 관계를 알아차리게 된다. 사춘기에 다가서는 이성은 등대처럼 영롱하게 빛으로 파고든다. 청춘에 만난 남 · 녀는 로맨스와 위안, 두 가지만으로 충분하다. 눈을 감고 내 ...
    Views28962
    Read More
  8.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8815
    Read More
  9.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8565
    Read More
  10.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8562
    Read More
  11.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8385
    Read More
  12.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8325
    Read More
  13. 한센병은 과연 천형(天刑)일까?

    병(病)의 종류는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의학이 발달하면 할수록 희귀병은 늘어만 간다. 지금 우리는 듣도보도 못한 바이러스로 인해 삶의 터전이 송두리째 무너지고 있다. 옛날에 가장 무서운 병은 “문둥병”이었다. 표현이 너무 잔인하...
    Views28297
    Read More
  14.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7965
    Read More
  15. 왜 남자를 “늑대”라고 하는가?

    나이가 든 여성들은 잘생기고 듬직한 청년을 보면 “우리 사위 삼았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한다. 그런데 나이가 든 남성들은 예쁘고 매력적인 자매를 보면 다른 차원에서의 음흉한 생각을 한다고 한다. 물론 점잖은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있으시...
    Views27646
    Read More
  16.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7634
    Read More
  17.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7090
    Read More
  18. 겨울이 전하는 말

    겨울은 춥다, 길다. 지루하다. 하지만 그 겨울이 전해주는 말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깊은 내면으로 빨려 들어가는 마력이 있다. 겨울은 해를 바꾸는 마술을 부린다. 열심히 살아온 정든 한해를 떠나보내게 하고 신선한 새해를 맞이하는 길목이 겨울이다. 남미...
    Views26990
    Read More
  19.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26658
    Read More
  20. 어쩌면 오늘일지도

    전화벨이 울렸다. 뉴욕의 절친 목사 사모였다. “어쩐 일이냐?”고 물을 틈도 없이 긴박한 목소리가 전해져 왔다. “지금 목사님이 코로나바이러스 양성판정을 받고 상태가 악화되어 맨하탄 모 병원 중환자실에 들어가셨어요.” 앞이 하...
    Views2663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