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83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삶이란.jpg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삶이 곤고하다고 탄식한다. 왜 그럴까? 자꾸 답을 얻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우리를 지구별에 보내시면서 문제를 풀라고 보내시지 않으셨다. 경험하라고 보내셨다.

 

  근거가 있는 학설인지는 모르지만 어머니 뱃속에서 태어난 갓난아이 때는 삶의 모든 원리가 훤히 보인다고 했다. 그런데 자라나며 교육을 통해 이미 하나님께서 주신 영감을 상실하고 사람들이 짜놓은 틀에 길들여진다. 교육의 제일 원리는 무엇인가? “답을 찾는 것이다. 학교에서 가장 인정받는 아이는 답을 잘 찾아내는 아이이다. 학교에서 오로지 답을 찾는 것에 길들여진 인생들은 사회에 나와서도 답을 찾으려고 한다. 그러니 인생이 답답할 수밖에. 눈만 뜨면 ! !”하다 보니 결국 인생이 답답 해 진다.

 

  삶은 풀어야 할 문제가 아니다. 단지 경험하는 것이다. 사람의 차이는 생각과 행동의 차이밖에 없다.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생각과 행동이 변하는 것이다. 그러면 사람의 생각과 행동이 언제 바뀌는가? 지식이 아니다. 감동이다. 문제를 풀려고 몸부림치다가 어느 순간 감동을 체험한다. 그때 엄청난 영성이 돌출되면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감동이 무엇인가? 깨닫는 것이다. “그래, 바로 그게 나였어. 나도 그렇게 살고 싶었어. 그래 바로 그거야.” 그 순간에 사람에게는 엄청난 에너지가 일어난다.

 

  인생은 세상에 왜 왔는가? 은혜를 받으러 온 것이다. 인생을 최고로 행복하고 성공적으로 살 수 있는 비결이 있는데 그것은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래서 풍요의 상징으로 등장하는 것이 땅이다. 땅은 다 받아들인다. 더러운 것이든 깨끗한 것이든. 그리고 심은 대로 열매를 맺는다. 또 하나가 바다이다. 바다가 왜 바다인가? 다 받아들이니까 바다다. 땅과 바다의 공통점은 다 받아준다는 것이다. 분석하고 따지다보면 못 받는다. 성공한 사람의 특징은 포용력이다.

 

  처음부터 완벽한 것은 없다. 사람들은 실패하면 좌절한다. 생각을 이렇게 바꾸어보면 어떨까? 실패를 경험한 것이라고. 파스칼은 삶에 고민을 거듭하다가 팡세라는 불후의 명작을 남긴다. 팡세에서 파스칼은 기가 막힌 말을 한다. “인간은 무한과 허무 사이에 있다.” 놀라운 말이다. “인생은 무한하다라는 것은 나는 영적 존재라는 말이다. 반면 내세가 어디 있어? 이 세상 먹고 살다 가면 그만이지라고 말하는 사람은 허무주의자이다. 둘 다 아니다. 고대에는 인간은 무한하다.”고 했다. 중세에는 인간은 유한하다.”고 하다가 현대에 와서는 무한과 허무에서 갈등하는 존재로 본다.

 

  깨어나 보라! 나는 무한도 아니고 유한도 아닌 그 사이에 있는 것을 깨닫게 된다. 무한 속에 허무가 있다. 허무 속에 무한이 있다. 상대 속에 절대가 있고 절대 속에 상대가 있다. 육속에 영이 있고, 영속에 육이 있다. 따로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영생은 죽어서 사는 것도 아니고, 삶의 진정한 질은 현재에 있다. 과거는 허무하다. 미래는 무한한 것이다. 하나님 나라는 과거에 있는 것도 아니고 미래에 있는 것도 아니라 현재에 있다.

 

  지금이 삶이다. 과거는 흘러갔다. 미래는 하나님이 허락해야 오는 시간이다. 지금을 사는 것, 지금을 받아들이고 경험하는 것이 삶이다. 답을 찾으려고 하고, 남들과 비교하여 월등한 삶을 살려고 하니 두려운 것이다. 나는 나다. 다른 사람, 외부 환경에 의해 움직여지는 것은 진정한 내가 아니다. 하나님이 나에게만 주시는 은혜가 있다. 축복이 있다. 그 누구도 아닌 나를 향한 그분의 뜻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분의 시선을 의식하며 오늘 주어진 지금을 행복하게 사는 것이 인생이다. 삶은 풀어야 할 문제가 아니라 경험해야 할 신비이다.

 


  1. 늘 푸른 인생

    한국 방송을 보다보면 나이가 지긋한 분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늘어나는 것을 본다. 부부가 출연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때로는 홀로 나오기도 한다. “인생살이”에 대한 진솔한 대담은 현실적 삶의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나이 드신 ...
    Views30483
    Read More
  2. 시각장애인의 찬양

    장애 중에 눈이 안 보이는 어려움은 가장 극한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 중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존경의 대상이 될 만한 인물들이 속속 배출된 것을 보면 고난은 오히려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끈질긴 내성을 키워내는 것 같다. 한국이...
    Views30046
    Read More
  3.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9707
    Read More
  4.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9631
    Read More
  5.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9581
    Read More
  6.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9497
    Read More
  7. 부부의 사랑은~

    아이들은 혼자서도 잘 논다. 그러다가 친구를 알고 이성에 눈을 뜨며 더 긴밀한 관계를 알아차리게 된다. 사춘기에 다가서는 이성은 등대처럼 영롱하게 빛으로 파고든다. 청춘에 만난 남 · 녀는 로맨스와 위안, 두 가지만으로 충분하다. 눈을 감고 내 ...
    Views28949
    Read More
  8.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8804
    Read More
  9.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8540
    Read More
  10.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8538
    Read More
  11.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8358
    Read More
  12.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8302
    Read More
  13. 한센병은 과연 천형(天刑)일까?

    병(病)의 종류는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의학이 발달하면 할수록 희귀병은 늘어만 간다. 지금 우리는 듣도보도 못한 바이러스로 인해 삶의 터전이 송두리째 무너지고 있다. 옛날에 가장 무서운 병은 “문둥병”이었다. 표현이 너무 잔인하...
    Views28276
    Read More
  14.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7947
    Read More
  15. 왜 남자를 “늑대”라고 하는가?

    나이가 든 여성들은 잘생기고 듬직한 청년을 보면 “우리 사위 삼았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한다. 그런데 나이가 든 남성들은 예쁘고 매력적인 자매를 보면 다른 차원에서의 음흉한 생각을 한다고 한다. 물론 점잖은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있으시...
    Views27635
    Read More
  16.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7620
    Read More
  17.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7066
    Read More
  18. 겨울이 전하는 말

    겨울은 춥다, 길다. 지루하다. 하지만 그 겨울이 전해주는 말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깊은 내면으로 빨려 들어가는 마력이 있다. 겨울은 해를 바꾸는 마술을 부린다. 열심히 살아온 정든 한해를 떠나보내게 하고 신선한 새해를 맞이하는 길목이 겨울이다. 남미...
    Views26963
    Read More
  19.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26640
    Read More
  20. 어쩌면 오늘일지도

    전화벨이 울렸다. 뉴욕의 절친 목사 사모였다. “어쩐 일이냐?”고 물을 틈도 없이 긴박한 목소리가 전해져 왔다. “지금 목사님이 코로나바이러스 양성판정을 받고 상태가 악화되어 맨하탄 모 병원 중환자실에 들어가셨어요.” 앞이 하...
    Views266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