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35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말아톤.jpg

 

 

한국에서 장애인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 만들어 준 영화가 있다. 2005년 개봉한 영화 <말아톤>은 그해 여름에 열린 대종상 영화제 7개 부문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며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게 된다. 한 영화평론가는 “<말아톤>은 장애인에 대한 한국 사회의 속죄 의식의 내용을 담고 있다.”고 평했다. 영화는 5살 지능을 가진 스무살 한 청년 “초원”(자폐: 조승우 扮)이 마라톤 경기에 참가하면서 벌어지는 해프닝과 장애아 가정의 애환을 잔잔히 전해줌으로 커다란 감동을 주었다.자폐 아동들은 무엇인가에 집착하는 성향이 있다.

<말아톤>의 주인공 “초원”이는 “얼룩무늬”만 보면 어쩔 줄을 모르며 좋아한다. 어느 날, 지하철역에서 얼룩무늬 치마를 입은 여인의 몸에 손을 댔다가 큰 낭패를 보게 될 위기에 처한다. 당황하며 엄청난 화를 내는 여인과 몰려드는 사람들을 보며 초원이는 평소 엄마가 가르쳐준 말을 외치게 된다. “우리 아이는 장애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장면에서 울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조금만 이해를 해 주고 그 마음을 헤아려주면 장애인은 슬프지 않다.

  많은 곳을 다니며 설교를 하다보면 용어에 대한 통일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나는 “밀알선교단”에 책임을 맡고 있다. 그런데 간혹 “밀알선교회”라고 소개하는 곳이 있다. 왜 “선교회”가 아니고 “선교단”일까? 얼마 전, 러시아 “소치”에서 동계올림픽이 열려 지구촌을 뜨겁게 달궜다. 각국을 대표하여 많은 선수들이 참석을 했다. 그들을 “○○나라 올림픽 선수단”이라고 부른다. “선수회”가 아니다. 그 이유는 올림픽경기를 위해 구성된 선수집단이기 때문이다. 폐막식이 끝나고 고국에 돌아가면 자연스럽게 “선수단”은 해체된다. 우리가 “선교단”을 고집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실 “장애인 선교”는 교회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역이다.

  그런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장애인부서가 있는 교회는 극히 드물다. 필라에 장애인 부서가 있는 교회는 “한인연합교회” “영생장로교회” 뿐이다. 그 외에 “안디옥교회” “앰블러장로교회”등에서 부서는 따로 없지만 버금가는 장애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혹시 다른 교회가 있다면 알려주십시오.)교회에서 해야 할 사역을 밀알선교단이 대행하고 있는 것이다. 교회마다 장애인부서가 생겨나고 담임 목사님 이하 온 성도들이 “장애인 선교” 마인드를 가지고 적극 추진하는 시점이 오면 “밀알선교단”은 해체되어야 한다. 하지만 밀알선교단이 세워진지 35년이 지나가는 시점에도 그 꿈은 요원해 보인다.

  필라에 온지 11년이 되었다. 필라에 있는 목사님들 중에 나와 친하지 않은 목사님은 거의 없는 것 같다. 감사한 일이다. 희한한 것은 친한 것과 밀알선교단에 대한 관심이 비례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교회사정이 여의치 않아서이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장애인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 같다. 우리는 모든 면에서 절실하다. 조금만 더 사랑을 나타내 주고 후원해 준다면 지금보다 사역에 힘을 받을 것 같은데 그 기대가 번번히 무너진다. 꼭 물질 문제만은 아니다. 밀알모임에 나오고 싶어도 라이드가 없어 오지 못하는 분들이 있다.

  장애인을 어떻게 불러야 할까? 내가 어릴 때 가장 많이 들은 말은 “병신” “불구자” 혹은 “장애자”였다. 그러다가 나온 말이 “장애우”였다. 그 뜻은 “장애인 친구(友)”였고 부르기도 듣기도 좋아 모두가 즐겨 쓰는 용어가 되었다. 그런데 어린 사람이 나이가 지긋한 분을 향해 “장애우”라고 부르는 것은 예의와 어법에 어긋난다는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그래서 이제는 다시 “장애인”이라 부르고 있다. 호칭이 중요해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장애인 당사자에게는 치명적인 일이 될 수 있음을 알아주었으면 좋겠다.

     생김새가 다르고 가진 능력이 다를 뿐이다. 장애인도 사랑받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장애인에 대한 바른 인식이 있어야 한다. 장애자가 아니다. “장애인”이라고 해야 한다. 밀알에 세심한 사랑을 보여주었으면 한다. “장애인이 아름다운 세상, 장애인이 행복한 세상”이 속히 왔으면 좋겠다.


  1. 요령의 미학 6/13/201

    내가 할 수 있는 음식은 전무하다. 라면이야 누구나 끓이는 것이고 요리라 이름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나는 없다. 단, 밥은 잘한다. 이것은 내 아내와 아이들도 인정을 하는 면이다. 아마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중학교 3학년 때까지 자취를 한 이력 ...
    Views62946
    Read More
  2. 남존여비 변천사 6/7/2014

    인터넷에 떠도는 “덩어리 시리즈”이다. 남편이 밖에 안 나가고 집에 있으면 “골치덩어리”, 집에 두고 오면 “근심덩어리” 함께 외출하면 “짐 덩어리” 출가한 자식 집에 가면 “눈치 덩어리” 마주 ...
    Views74230
    Read More
  3. 살다보니 살아지더라구요! 6/2/2014

    2002년 가을, 한국에서 목회하던 교회에 반주자로부터 이메일이 날아들었다. “목사님, 이런 인생도 있네요.”라는 제목이었다. 메일을 읽으며 한숨이 절로 나왔다. ‘어쩌면 인생이 이렇게 기구할까?’ 다름 아닌 “이지선”...
    Views63467
    Read More
  4. 중국 지하교회를 가다 5/25/2014

    어려운 여정이었다. 20대에 만나 35년 우정을 나누는 김 목사가 “한국에 오면 중국에 가서 목회자들에게 말씀을 전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다.”는 제의에 아무 생각 없이 “예스!”를 외쳤다. 몇 년전 중국을 처음 방문 하였을 때에...
    Views75223
    Read More
  5. 시간의 구성성분 분석 5/17/2014

    “못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라는 말에는 시간 속에 치유성분이 들어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소리 없이 나를 스쳐지나갔다.”는 것은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시간의 황홀경에 빠져 있었다는 뜻이 담겨있다. 시간은 전혀 형체가 없다. 하...
    Views87103
    Read More
  6. 속을 모르겠어요! 5/9/2014

    남자들은 모이면 여자이야기를 한다. 그러면서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은 “도대체 여자들은 속을 모르겠어!”이다. 정말 여자는 팔색조이다. 연애 할 때는 그렇다 치더라도 결혼을 해서 부부로 사는데도 속을 알 수 없는 것이 여자이다. 어느 때는 ...
    Views70593
    Read More
  7. 동수와 경찰아저씨 5/2/2014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생활이 힘들지만 언니 집으로는 절대 가고 싶지 않아요” 장애를 가진 자매의 하소연이다. 자매는 눈물을 흘리며 호소했다. “저는 마음 편히 머물 수 있는 곳이 필요합니다.” 뇌성마비 1급 지체 장애를 가지고 ...
    Views67321
    Read More
  8. 슬퍼서 아름다운 노래 가수 김정호 4/26/2014

    누구나 미치도록 좋아하는 가수가 하나쯤은 있다. 나의 십대로부터 20대를 흘러가면서 내 마음 한켠에 시냇물을 만들어 준 가수가 있다. “김정호” 진정 내 십대에 아이돌은 “김정호”였다. 어쩌다가 김정호가 TV(흑백) 화면에 나타나...
    Views73742
    Read More
  9. 가슴 4/19/2014

    장애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시기가 되면서 나는 참 힘든 시간을 보내야했다. 동네를 가로 질러 지나 갈 때면 길에 나와 놀던 아이들이 다리 저는 흉내를 내며 나를 놀려댔다. 아이들은 내가 듣기에 거북한 소리를 질러댔다. 게다가 아버지의 잦은 전근으로 ...
    Views63763
    Read More
  10. 남자를 위하여 4/12/2014

    이 지구상에 반은 남자이다. 인종과 문화를 초월하여 남자들이 지구의 반을 디디고 살고 있다. 도대체 남자는 누구인가? 내가 어릴 때만해도 한국은 남성중심의 사회였다. 아버지가 가정의 축이었다. 새 학기에 작성하는 생활조사서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
    Views62908
    Read More
  11. 차라리 다리가 없으면--- 4/5/2014

    모두가 건강하면 얼마나 좋을까? ‘불행’이란 단어자체가 없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데 그게 아니다. 인생을 사는 것 자체가 고통이다. “평생 시각장애로 살아가느니 차라리 다리가 하나 없는 게 나을 것 같아요.” 앞이 보이지 않아 ...
    Views69243
    Read More
  12.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3/28/2014

    금년 겨울은 겨울답다고 해야 할까? 아니면 지루하다고 해야 할까? 계속되는 영하의 날씨, 며칠이 멀다하고 쏟아지는 폭설, 3월이 되어서도 내리는 눈은 눈치가 없는걸까? 봄을 시샘하는걸까? 특별히 사업을 하는 이민자들이 버텨내기에는 몹시 버거운 겨울이...
    Views62527
    Read More
  13. 음식맛은 장맛 3/23/2014

    갑자기 어린 시절, 집집 툇마루에 걸려있던 메주가 떠올랐다. 이제 제법 작가의 영감이 찾아온 모양이다. 흔히 사람들은 범상한 기준보다 떨어지는 외모를 가진 사람을 향해 메주덩어리에 비유한다. 메주가 들으면 화를 낼 일이다. 메주가 만들어지기까지 들...
    Views66930
    Read More
  14. 부부는 서로를 무서워한다 3/15/2014

    여기 남편에 대한 두려움을 안고 사는 한 여인이 있다. 그녀의 남편은 실로 가부장적인 의식을 가지고 아내와 아이들을 호령한다. 누가보아도 간이 바깥으로 나온 사나이이다. 그런데 남편은 “나는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사람이 아내라.”고 말을 ...
    Views65016
    Read More
  15. 장애인은 아름답습니다 3/8/2014

    한국에서 장애인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 만들어 준 영화가 있다. 2005년 개봉한 영화 <말아톤>은 그해 여름에 열린 대종상 영화제 7개 부문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며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게 된다. 한 영화평론가는 “<말아톤>은 장애인에 대한 한국 사...
    Views63599
    Read More
  16. 살맛나십니까? 3/3/2014

    인생은 무엇인가? 맛을 보는 것이다. 입맛이 있고 살맛이 있다. 입맛에는 단맛, 쓴맛, 매운맛, 짠맛, 신맛, 아린 맛등 다양하고 미묘하다. 하나님께서는 우리 사람에게 어떤 한 가지 맛만 누리라고 하지 않으시고 달고, 쓰고, 시고, 짜고, 맵고, 싱겁고, 떫고...
    Views59835
    Read More
  17. 성도님, 이러시면 안됩니다! 2/25/2014

    목사님 한분이 상기된 얼굴로 설교 CD를 내게 보여주며 격앙된 어조로 넋두리를 한다. 이야기인 즉슨 교인 한사람이 이 CD를 주면서 “목사님도 이렇게 설교하실 수 없어요.” 하더라는 것이다. 순간 ‘오죽하면 그런 어필을 했을까?’라...
    Views66771
    Read More
  18. 남자들은 왜 그래요? 2/17/2014

    40대 후반의 한 중년 여인으로 부터 아주 긴 사연의 편지가 도착했다. 자기 남편이 이번에 부도가 났는데 그것도 두 번째라는 것이다. 그동안 느낌이 안 좋아서 물어보면 항상 “괜찮다.”라고 대답을 해왔다. “자기 걱정 하지 말고 자식들이...
    Views66412
    Read More
  19. 텍사스 밀알 선교단 2/9/2014

    연초부터 미주밀알에는 비보가 날아들었다. 워싱톤 밀알 “정택정 단장”이 정신 병동에 심방을 갔다가 장애인에게 무방비 상태에서 구타를 당해 뇌출혈증세로 병원에 입원한 것이다. 수술을 두 번이나 시도해도 뇌에 출혈은 멈추지 않는 급박한 상...
    Views71389
    Read More
  20. 교복을 벗고 2/2/2014

    한국에 갔을 때에 일이다. 친구가 꽃게탕을 잘하는 집이 있다며 굳이 “마장역 앞에서 만나자.”는 연락을 해왔다. 사실 활어회는 몰라도 해물은 그리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친구의 성의가 고마워 택시에 올랐다. 가다보니 신답십리 쪽이었고 장...
    Views7286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