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29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고 (1).jpg

 

 

이 지구상에 반은 남자이다. 인종과 문화를 초월하여 남자들이 지구의 반을 디디고 살고 있다. 도대체 남자는 누구인가? 내가 어릴 때만해도 한국은 남성중심의 사회였다. 아버지가 가정의 축이었다. 새 학기에 작성하는 생활조사서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지 이름 석자가 자리를 잡았다. 사회전반에 중요한 자리에는 남성들이 자리를 펴고 앉았다. 집안에서 공부를 시켜도 아들이 우선이었다. “감히 여자가?”라는 말은 흔히 들을 수 있는 말이었다. 강력한 남성중심의 사회, 남성의 성소가 대한민국이었다.

그런데 어느 날부터인가 그 남성의 위상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남자는 남자인데 남자가 아닌 요상한 세상이 되었다. 어느덧 여성이 유력한 경쟁자로 등장한 것이다. 이제 여자와 비교되는 ‘남자’에 대한 탐구는 남녀 모두에게 전공 필수의 과제가 되었다. 내가 어린 시절에는 남자가 옷만 이상하게 입어도 놀림거리가 되었다. “남자가 말야!”하면서 확실한 구분을 그었다. 그런데 여성전용으로 여기던 영역에 남성들이 침투(?)하기 시작하였다. 부엌과 남자는 상극이었는데 이제 남자요리사는 흔한 이야기이다.

남성 헤어디자이너부터 명문여대에도 남학생이 들어가 공부를 한다. 여성출입을 금기시하던 육군사관학교에 여학생들이 입학을 한다. 장교로 임관하여 남자들을 호령한다. 어느새 강력하던 남성의 위상은 무너져 내리고 파워풀한 여성의 눈치를 보는 시대가 되어 버렸다. 가부장적 나라인 한국에 여성대통령이 등극함으로서 이제 남자들은 설자리가 없다. 평범한 눈이 아니라 예리한 시선으로 남자를 보고 싶다. 강해보이지만 심히 약하고 허세는 부리는데 실속은 없는 남자들의 세계를 돌 맞을 각오로 써 내려가고 싶다.

남자들은 왜 첫 사랑을 잊지 못할까? 그만큼 남자들은 첫 경험에 예민한 탓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남자들은 과거는 모두 아름다웠던 것처럼 착각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를 악물고 돌아섰다가도 이내 고개를 돌리는 것이다. 그냥 지나쳐 간 듯한 사랑인데 마치 지고지순한 사랑을 한 것처럼 착각을 하며 첫 사랑을 그리워한다. 남자는 싫증을 금방 느낀다. 그래서 모든 것을 알게 되면 여자를 떠나게 된다. 남자는 잡은 고기에는 절대 먹이를 주지 않는 악동들이다.

남자들의 대화를 들어보라! 처음에는 점잖게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런 와중에도 ‘내가 이 자리에서 어느 정도 대화의 수위를 조절할 것인가?’를 계산한다. 속된 말로 간을 보는 것이다. 과장법은 기본이고 좌중의 반응을 살피며 모든 면에 우월감을 느끼게 될 때에 남자는 편안해 한다. 대화 중에도 남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자존심이다. 그래서 남자들은 대개 “야, 그거 아냐?”로 대화를 시작한다. 안다면 그냥 그렇고 모른다면 “그것도 몰랐냐?”하며 희색이 만연하여 자신이 그동안 수집한 정보를 자랑스럽게 풀어놓는다.

대화 중에 조금이라도 밀린다는 느낌이 들면 강력한 화술을 동원하여 기어코 상황을 역전시켜야만 직성이 풀린다. 실로 괴상한 자존심이다. 여성들은 ‘겨우 저 만한 일로?’라고 생각하지만 남자는 그 일에 사생결단을 하는 경우가 많다. 처음에는 소소한 대화가 오가다가 정치, 경제, 사회, 연예계를 넘나들고 나중에 군대이야기로 대화는 정점을 찍는다. 남자들은 공통적으로 자동차를 좋아한다. 그것은 어린 아이 때부터 몸에 밴 본능이다. 비싸고 폼 나는 자동차는 남자들의 로망이다. 그 차를 운전할 수 있는 이유만으로 남자들은 흥분하고 만족한다. 고급차가 자신의 자존심을 대변하는 것으로 착각을 하며 산다.

“내가 누군 줄 알아?” 남자들이 은행, 식당, 관공서에 가서도 외치는 소리이다. 상대하는 사람들이 앞에서는 티를 안내지만 돌아서면 이렇게 중얼거린다. “그래서 어쩌라고?” 시대는 급하게 여성중심으로 흐르고 있다. 남자가 힘을 잃어간다. 아버지의 권위가 별로이다. 그 사실을 알지만 기가 죽어 살아서야 되겠는가? “그래도 남자인 내가 나서야지.” 그러면서 살자! 남자들이여, 힘을 내자! 우리는 남자다. 하지만 남자로 산다는 것은 참 어렵다.


  1. 요령의 미학 6/13/201

    내가 할 수 있는 음식은 전무하다. 라면이야 누구나 끓이는 것이고 요리라 이름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나는 없다. 단, 밥은 잘한다. 이것은 내 아내와 아이들도 인정을 하는 면이다. 아마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중학교 3학년 때까지 자취를 한 이력 ...
    Views62946
    Read More
  2. 남존여비 변천사 6/7/2014

    인터넷에 떠도는 “덩어리 시리즈”이다. 남편이 밖에 안 나가고 집에 있으면 “골치덩어리”, 집에 두고 오면 “근심덩어리” 함께 외출하면 “짐 덩어리” 출가한 자식 집에 가면 “눈치 덩어리” 마주 ...
    Views74224
    Read More
  3. 살다보니 살아지더라구요! 6/2/2014

    2002년 가을, 한국에서 목회하던 교회에 반주자로부터 이메일이 날아들었다. “목사님, 이런 인생도 있네요.”라는 제목이었다. 메일을 읽으며 한숨이 절로 나왔다. ‘어쩌면 인생이 이렇게 기구할까?’ 다름 아닌 “이지선”...
    Views63462
    Read More
  4. 중국 지하교회를 가다 5/25/2014

    어려운 여정이었다. 20대에 만나 35년 우정을 나누는 김 목사가 “한국에 오면 중국에 가서 목회자들에게 말씀을 전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다.”는 제의에 아무 생각 없이 “예스!”를 외쳤다. 몇 년전 중국을 처음 방문 하였을 때에...
    Views75221
    Read More
  5. 시간의 구성성분 분석 5/17/2014

    “못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라는 말에는 시간 속에 치유성분이 들어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소리 없이 나를 스쳐지나갔다.”는 것은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시간의 황홀경에 빠져 있었다는 뜻이 담겨있다. 시간은 전혀 형체가 없다. 하...
    Views87090
    Read More
  6. 속을 모르겠어요! 5/9/2014

    남자들은 모이면 여자이야기를 한다. 그러면서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은 “도대체 여자들은 속을 모르겠어!”이다. 정말 여자는 팔색조이다. 연애 할 때는 그렇다 치더라도 결혼을 해서 부부로 사는데도 속을 알 수 없는 것이 여자이다. 어느 때는 ...
    Views70592
    Read More
  7. 동수와 경찰아저씨 5/2/2014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생활이 힘들지만 언니 집으로는 절대 가고 싶지 않아요” 장애를 가진 자매의 하소연이다. 자매는 눈물을 흘리며 호소했다. “저는 마음 편히 머물 수 있는 곳이 필요합니다.” 뇌성마비 1급 지체 장애를 가지고 ...
    Views67315
    Read More
  8. 슬퍼서 아름다운 노래 가수 김정호 4/26/2014

    누구나 미치도록 좋아하는 가수가 하나쯤은 있다. 나의 십대로부터 20대를 흘러가면서 내 마음 한켠에 시냇물을 만들어 준 가수가 있다. “김정호” 진정 내 십대에 아이돌은 “김정호”였다. 어쩌다가 김정호가 TV(흑백) 화면에 나타나...
    Views73733
    Read More
  9. 가슴 4/19/2014

    장애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시기가 되면서 나는 참 힘든 시간을 보내야했다. 동네를 가로 질러 지나 갈 때면 길에 나와 놀던 아이들이 다리 저는 흉내를 내며 나를 놀려댔다. 아이들은 내가 듣기에 거북한 소리를 질러댔다. 게다가 아버지의 잦은 전근으로 ...
    Views63762
    Read More
  10. 남자를 위하여 4/12/2014

    이 지구상에 반은 남자이다. 인종과 문화를 초월하여 남자들이 지구의 반을 디디고 살고 있다. 도대체 남자는 누구인가? 내가 어릴 때만해도 한국은 남성중심의 사회였다. 아버지가 가정의 축이었다. 새 학기에 작성하는 생활조사서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
    Views62906
    Read More
  11. 차라리 다리가 없으면--- 4/5/2014

    모두가 건강하면 얼마나 좋을까? ‘불행’이란 단어자체가 없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데 그게 아니다. 인생을 사는 것 자체가 고통이다. “평생 시각장애로 살아가느니 차라리 다리가 하나 없는 게 나을 것 같아요.” 앞이 보이지 않아 ...
    Views69243
    Read More
  12.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3/28/2014

    금년 겨울은 겨울답다고 해야 할까? 아니면 지루하다고 해야 할까? 계속되는 영하의 날씨, 며칠이 멀다하고 쏟아지는 폭설, 3월이 되어서도 내리는 눈은 눈치가 없는걸까? 봄을 시샘하는걸까? 특별히 사업을 하는 이민자들이 버텨내기에는 몹시 버거운 겨울이...
    Views62523
    Read More
  13. 음식맛은 장맛 3/23/2014

    갑자기 어린 시절, 집집 툇마루에 걸려있던 메주가 떠올랐다. 이제 제법 작가의 영감이 찾아온 모양이다. 흔히 사람들은 범상한 기준보다 떨어지는 외모를 가진 사람을 향해 메주덩어리에 비유한다. 메주가 들으면 화를 낼 일이다. 메주가 만들어지기까지 들...
    Views66930
    Read More
  14. 부부는 서로를 무서워한다 3/15/2014

    여기 남편에 대한 두려움을 안고 사는 한 여인이 있다. 그녀의 남편은 실로 가부장적인 의식을 가지고 아내와 아이들을 호령한다. 누가보아도 간이 바깥으로 나온 사나이이다. 그런데 남편은 “나는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사람이 아내라.”고 말을 ...
    Views65015
    Read More
  15. 장애인은 아름답습니다 3/8/2014

    한국에서 장애인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 만들어 준 영화가 있다. 2005년 개봉한 영화 <말아톤>은 그해 여름에 열린 대종상 영화제 7개 부문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며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게 된다. 한 영화평론가는 “<말아톤>은 장애인에 대한 한국 사...
    Views63597
    Read More
  16. 살맛나십니까? 3/3/2014

    인생은 무엇인가? 맛을 보는 것이다. 입맛이 있고 살맛이 있다. 입맛에는 단맛, 쓴맛, 매운맛, 짠맛, 신맛, 아린 맛등 다양하고 미묘하다. 하나님께서는 우리 사람에게 어떤 한 가지 맛만 누리라고 하지 않으시고 달고, 쓰고, 시고, 짜고, 맵고, 싱겁고, 떫고...
    Views59835
    Read More
  17. 성도님, 이러시면 안됩니다! 2/25/2014

    목사님 한분이 상기된 얼굴로 설교 CD를 내게 보여주며 격앙된 어조로 넋두리를 한다. 이야기인 즉슨 교인 한사람이 이 CD를 주면서 “목사님도 이렇게 설교하실 수 없어요.” 하더라는 것이다. 순간 ‘오죽하면 그런 어필을 했을까?’라...
    Views66767
    Read More
  18. 남자들은 왜 그래요? 2/17/2014

    40대 후반의 한 중년 여인으로 부터 아주 긴 사연의 편지가 도착했다. 자기 남편이 이번에 부도가 났는데 그것도 두 번째라는 것이다. 그동안 느낌이 안 좋아서 물어보면 항상 “괜찮다.”라고 대답을 해왔다. “자기 걱정 하지 말고 자식들이...
    Views66412
    Read More
  19. 텍사스 밀알 선교단 2/9/2014

    연초부터 미주밀알에는 비보가 날아들었다. 워싱톤 밀알 “정택정 단장”이 정신 병동에 심방을 갔다가 장애인에게 무방비 상태에서 구타를 당해 뇌출혈증세로 병원에 입원한 것이다. 수술을 두 번이나 시도해도 뇌에 출혈은 멈추지 않는 급박한 상...
    Views71383
    Read More
  20. 교복을 벗고 2/2/2014

    한국에 갔을 때에 일이다. 친구가 꽃게탕을 잘하는 집이 있다며 굳이 “마장역 앞에서 만나자.”는 연락을 해왔다. 사실 활어회는 몰라도 해물은 그리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친구의 성의가 고마워 택시에 올랐다. 가다보니 신답십리 쪽이었고 장...
    Views7286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