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7.06.09 16:32

노인의 3苦

조회 수 5667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인 고독.jpg

 

 나이가 들어가니 어르신들을 만나면 묻는 것이 연세이다. 어떤 분은 “얼마 안 먹었습니다.”하고는 고령의 나이를 드러낸다. 분명히 나이를 물었는데 대답은 태어난 연도를 대답하는 분도 계시다. 머리로 계산을 하려면 복잡한데 말이다. 어제도 94세의 어르신을 만났다. 정정한 모습이 보기 좋았고, 은근한 희망사항이 되었다. 건강해 보이기는 하는데 귀가 절벽인 분을 만난다. 대화가 안 되니 답답하다. 반면, 아직도 한창인 나이인 60대에 생을 접는 분들이 있다. 어쩌다 마주치면 그렇게 좋아하며 달려오던 분이 ‘왜 요사이 뜸한가?’했는데 암으로 세상을 떠났단다. 불그스름한 홍안이 건강해 보였는데 말이다. 사람일은 참 모를 일이다.

 

 왜 사람은 장수하기를 원할까? 한마디로 삶의 기회를 조금이라도 더 누리고 싶은 본능이요.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이별을 두려워하기 때문일 것이다. 문제는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행복하게 사는 것이다. “긴병에 효자 없다.”는 말처럼 병마에 시달리며 노년을 보내는 것은 당사자뿐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견디기 힘든 고통이다. 문제는 그게 사람 마음대로 안 된다는 데 있다. 회자되는 말처럼 “9988234”(99세까지 팔팔하게 살다가 이삼일만 앓고 죽는다)는 행운 중에 행운이다. 생명은 오직 그분에게 맡길 뿐이다.

 

 늙은 남자가 당면하는 3苦가 있다. 첫째는, 빈고(貧苦)이다. 50~60년대의 지독한 경제난에서 허리띠를 졸라매고 가족을 부양했다. 나는 못 배우고 못 먹어도 자녀 교육에 온힘을 쏟았다. 장성하여 버젓한 직장에 다니며 가정을 이루고 사는 모습이 대견하기 이를 데 없다. 하지만 정작 자신은 빈껍데기 집 하나뿐이다. 생일이나 명절 때에 자녀들이 찾아와 “용돈하시라.”고 봉투를 내어민다. 그것도 어느 집은 어머니 쪽만 드리고 아버지에게는 시치미를 뗀다. 할아버지는 물만 먹고 사는가? 그래서 늙은 남자들은 외친다. “나이가 들면 돈이 있어야 한다.”고.

 

 두 번째는, 병고(病苦)이다. 내가 다니며 자주하는 말이 있다. “나이 70이 넘으면 다 장애인”이라고. 질병에 장사는 없다. 돈 없고 몸은 아프고 이를 어쩌랴. 거동이 불편하면 퇴물이 되고 만다. 내가 존경하고 의지하던 분이 계셨다. 80 고령에도 청년 같은 패기로 귀감이 되어주셨다. 하지만 어느 날 뇌졸중이 찾아와 반신불수가 되며 널싱 홈으로 삶의 터전이 옮겨졌고 채 1년을 넘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셨다. 목소리가 ‘쩌렁쩌렁’하고 활동적이던 분이 그런 상황이 되니 더 못 견뎌 하는 모습을 보았다.

 

 세 번째는, 고독고(孤獨苦)이다. 늙은 남자에게 고독은 견디기 힘든 언덕이다. 고산 “윤선도”는 비경이 펼쳐지는 ‘보길도’에서 귀양살이를 했다. 기약 없는 세월을 지내며 그는 호(號)를 “고산”<외로울 고(孤) 뫼 산(山)>이라 붙였다. 오우가(五友歌)에서 ‘물, 돌, 소나무, 대나무, 달’(水, 石, 松, 竹, 月)을 친구로 불렀다. 물은 언제나 변하지 않는 불변성을, 바위는 우직하게 자리한 영원성을 예찬한다. 소나무의 지조와 대나무의 절개, 그리고 달의 밝음과 과묵함을 그는 사랑하며 인고의 세월을 견뎌낸다. 거기에서 <어부사시사>라는 위대한 작품을 창출하게 된다. 그는 시인 · 문신 · 작가 · 정치인이자 음악가로서의 명성을 후대에 남긴다.

 

 빈고(貧苦), 병고(病苦), 고독고(孤獨苦)를 피할 수 없는 것이 인생이라 해도 중년에 접어들면 자신의 노후에 대해서는 지혜를 모아야 할 것 같다. 지금 벌이가 ‘쏠쏠’(?) 할 때부터 준비를 해야 한다는 말이다. ‘어떻게 되겠지?’처럼 무식하고 용감한 생각은 없다. 나이가 들수록 건강을 자신하기보다 조심하고 유의해야 한다. ‘골골 80’이라는 말이 있다. 약한 사람은 건강관리를 하는데 건강한 사람은 방심하다가 한순간에 ‘훅’ 가버린다. 고독도 젊을 때부터 관리를 해야 한다. ‘나이가 들면 입은 다물고 지갑은 열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베풀고 산 사람은 결코 외로워지지 않는다.

 

 늙는 것을 누가 막으랴! 나이에 걸 맞는 내 삶을 찾아가는 것이 빛나는 노년을 누리는 최대의 비결이다.


  1. 누군들 자장가가 그립지 않으리 3/18/2013

    그는 시인이다. 필체가 날카롭고 예리하다. 서른이 훨씬 넘어 사랑하는 여인을 만나 결혼을 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아내는 태중에 아이를 갖게 된다. 아내가 임신 6주차에 접어들었을 때에 ‘양귀비 씨앗만하다’는 태아의 심장 소리를 듣게 된다....
    Views75138
    Read More
  2. 누구를 만나는가? 8/16/2014

    사람은 만남을 통해 성장하고 행복을 만들어 간다. 만나지 말아야 할 사람을 만나 인생이 표류하는 사람이 있다. 반면, 시원치 않은 사람인데 만남을 통해 삶이 도약하는 경우도 있다. 만남은 참 신비롭다. 사람이 짐승을 만나면 짐승이 되고 신을 만나면 신...
    Views67547
    Read More
  3. No Image

    누구나 장애인

    초청받은 교회에서 설교를 하고 예배 후 친교를 시작하면 하나둘 내 곁에 모여든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은 “목사님, 저도 장애인입니다.”이다. 일단 거부감이 들지만 스스로 생각해도 장애가 있다는 의미인 것 같다. 그런데 정작 누군가...
    Views5779
    Read More
  4. 누구나 가슴에는 자(尺)가 들어있다

    사람들은 다 자신이 공평하다고 생각한다. 누구보다 의롭고 정직하게 산다고 자부한다. 사건과 사람을 만나며 아주 예리하고 현란한 말로 결론을 내린다. 왜 그럴까? 성정과정부터 생겨난 자신도 모르는 자(尺) 때문이다. ‘왜 저 사람은 매사에 저렇게 ...
    Views40258
    Read More
  5. 누가 알리요, 부모의 심정을!

    “장애인 아들 감금 폭행한 비정(非情)의 목사 부부” 언젠가 한국에서 보도된 신문 기사 제목이다. 목회자가 장애를 가진 아들을 감금하고 폭행까지 하다니! 그것도 10년 동안이나. “발에 긴 쇠사슬을 묶어 도망을 가지 못하게 만들었다&rdq...
    Views61893
    Read More
  6. 누가 ‘욕’을 아름답다 하는가?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조용히, 어떨 때는 큰 소리로, 부드럽게 말을 할 때도 있지만 거칠고 성난 파도가 치듯 말을 하기도 한다. 말 중에 해독이 되는 것이 있는데 바로 ‘욕’이다. 세상을 살면서 욕 한마디 안 해본 사람이 있을까? 나는 비기...
    Views7691
    Read More
  7. 노인의 3苦

    나이가 들어가니 어르신들을 만나면 묻는 것이 연세이다. 어떤 분은 “얼마 안 먹었습니다.”하고는 고령의 나이를 드러낸다. 분명히 나이를 물었는데 대답은 태어난 연도를 대답하는 분도 계시다. 머리로 계산을 하려면 복잡한데 말이다. 어제도 9...
    Views56679
    Read More
  8.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9274
    Read More
  9. 노년의 아름다움 12/2/2013

    2013년의 달력이 달랑 한 장 남았다. 숨 가쁘게 달려 오다보니 어느새 한해의 끝자락이 보인다. 이제 곧 ‘2014년’이 친한 척을 하며 다가오겠지. 오랜 세월 청춘을 바쳐 몸담았던 직장을 정년퇴직한 분의 넋두리이다. 퇴직을 하자마자 소홀했던 ...
    Views65297
    Read More
  10. 넌 날 사랑하기는 하니?

    “넌 나를 사랑하니?” 아이가 태어난 이후 남편은 가끔 섭섭함을 이렇게 토로했다. “사랑하지. 아니면 왜 같이 살겠어?” 남편은 찝찝한 표정을 지으며 혼잣말을 했다. “같이 산다고 사랑하는 건가?” 나도 남편에게 섭섭함...
    Views56571
    Read More
  11. No Image

    너는 자유다!

    오래전 “Who am I ?”라는 인문학 강연 프로그램에 “정글만리”를 펴낸 조정래 선생이 출연하였다. 노구의 비해 낭랑한 목소리와 소년의 미소가 정겹게 다가왔다. 강연 내내 푸근하게 떠올라 있는 미소와 너그러움이 참 편안하게 느껴...
    Views6012
    Read More
  12. 냄새

    누구나 아침에 눈을 뜨면 냄새를 느끼며 하루를 시작한다. 날씨, 온도, 집안분위기를 냄새로 확인한다. 저녁 무렵 주방에서 풍겨 나오는 냄새를 맡으며 식탁의 기쁨을 기대한다. 아내는 음식솜씨가 좋아 움직이는 소리만 나도 기대가 된다. 나는 계절을 냄새...
    Views33162
    Read More
  13. 내적치유의 효험

    상처가 상처인지도 모르고 살던 때가 있었다. 당장 끼니 걱정을 해야 하는 판국에 내면을 살펴볼 여유가 없었던 것이다. 경제적인 문제가 해결 되어가고 삶의 여유가 생기면서 사람들에게는 참 평안을 누리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자연스럽게 찾아 왔다. 환경이 ...
    Views64876
    Read More
  14. 내게 한사람이 있습니다

    우연히 차를 몰다가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 때문에 미소를 짓기도 하고 입을 ‘삐죽’여 보기도 한다. 나를 행복하게 했던 한 사람이 있었다. 내 눈에서 눈물이 나게 했던 야속한 한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세월은 안 좋은 생각은 다 걷어 ...
    Views5440
    Read More
  15. 내가 그리는 가을 그림

    사계절이 주는 의미는 다양하다. 철이 없을 때는 기온의 차이로만 느꼈지만 나이가 들어가며 계절의 감각이 새롭게 다가온다. 여자는 봄에 예민하고 남자는 가을을 타는가보다. 봄의 의미는 신비이다. 여자는 참으로 신비한 존재이다. 사춘기 시절에 접어들며...
    Views58389
    Read More
  16. 내가 3일간 눈을 뜰 수 있다면 2/7/2015

    장애를 가진 것은 안타까운 일이지만, 하나님은 공평하셔서 그 장애를 다른 방법으로 대처 할 수 있는 능력을 주셨다. 하지만 그런 경우가 해당이 안 되는 사람이 있다. 두 눈을 볼 수도 없고, 듣지도 못하며, 언어구사도 안 되는 삼중고(三重苦)의 고통을 안...
    Views69454
    Read More
  17. 내 옷을 벗으면

    사람들은 모두 옷을 입는다. 아침에 샤워를 마치는 순간부터 사람들은 ‘무슨 옷을 입고 나갈까?’를 고민한다. 여성들은 남성들이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옷에 예민하다. 옷 입는 모습을 보면 그 사람의 성향과 추구하는 삶의 방향을 엿볼 수 있다....
    Views50106
    Read More
  18. 내 심장을 쏴라! 9/9/2013

    한 소설가가 있었다. 그녀는 갑자기 정신병원에 있는 분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은 영감에 사로잡힌다. 아무리 상상력이 풍부하다 할지라도 정신병원 이야기를 추측으로만 쓸 수는 없었다. 그녀는 정신병원에 직접 들어갈 획기적인 발상을 하게 된다. 작가는 선...
    Views63772
    Read More
  19. 내 목소리가 들려?

    사람들은 각자 다른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각자의 지문이 다르듯이 사람들은 독특한 목소리를 소유하며 살고 있다. 나는 20대 초반, 교회 ‘어린이 성가대’를 지휘한 경험이 있다. 음악적인 재능은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지만 지휘는 ‘문외...
    Views59374
    Read More
  20. 내 등에 짐이 없었다면

    인생이 가볍다는 말은 없다. 나이가 들고 세월이 흐를수록 생의 무게는 버겁기 그지없다. 어린 시절에는 모든 것이 마냥 즐거웠다. 어쩌다 먹는 짜장면, 별것도 아닌 음식이 우리를 흥분시켰고 서로를 바라보는 눈길은 항상 정겨웠다. 저녁을 든든히 먹은 후 ...
    Views1783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