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2.04.08 14:37

행복과 소유

조회 수 86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쌍무지개.jpg

 

 

  소낙비가 한참을 쏟아지더니 갑자기 무지개가 떠올랐다. 조금 후 그 위로 또 하나의 무지개가 피어올랐다. 쌍무지개였다. 일곱 색깔 영롱한 무지개를 보며 행복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인생은 순간이다. 머물고 싶어도 오랜시간 지체할 수 없는 현재의 연속이 인생이다. 사람들은 다 바쁘다. 한결같이 세월이 빠르다고 탄식한다. 앞을 보면 세월이 느껴지지 않는다. 뒤를 돌아보면 ~’ 소리가 절로 나온다. 이상하다. 남의 아들은 군대 간 것이 어제 같은데 어느새 제대를 했단다. 지인의 자녀 결혼식에 간지가 얼마 안 된것 같은데 벌써 손자가 초등학생이 되었단다. 내가 경험하는 시간의 개념과 사건의 느낌은 남이 겪는 것보다는 구체적이고 빠른 것 같다.

 

  왜 그리 바쁠까? 돈을 벌기 위해서이다. 누구나 부가 축적되면 편안해지고 삶이 여유로워질 것으로 생각한다. 돈이 많으면 없는 것보다는 많은 일이 수월하다. 아플 때 병원비 걱정도 덜하고, 집 살 돈을 마련하느라 고생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유복함 속에서 자녀에게 더 좋은 교육환경을 만들어 줄 수도 있다. 하지만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느냐?’는 질문이 나오면 다들 멈칫한다. 성경은 가난한 자에게 복이 있다’(누가복음 6:20)고 가르친다. 실제로 돈이 불화를 일으켜 행복을 앗아가는 사례를 자주 접하게 된다. 또한, 상당한 재산을 모았고 좋은 집도 마련했는데 가까운 사람과 비교하면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그렇더라도 돈이 한 푼도 없으면 삶이 고달플 것은 자명하다.

 

  돈과 행복의 교차점은 어디쯤일까? 과연 얼마나 모으면 행복할까? 스코틀랜드 출신의 경제학자이며, 전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인 앵거스 디턴 박사는 일정소득이 넘으면 행복감은 제자리로 돌아간다고 정곡을 찌르는 논문을 발표했다. 맞는말인 듯 싶다. 한정없이 재산을 축적한다고 만족이 올까? 아니다. 그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는 것이다. 여러 학설을 종합해 보면 미국에서는 대략 연봉 $75,000이라고 한다. 글쎄? 우리는 알아야 한다. 없는 사람은 궁핍으로 힘이 들지만 많이 가진 사람은 돈을 관리하느라 한시도 편히 잠을 잘 수 없음을 말이다.

 

  무소유를 가르치던 법정스님은 <살아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는 저서에서 현대인의 불행은 모자람이 아니라 오히려 넘침에 있다. 모자람이 채워지면 고마움과 만족함을 알지만 넘침에는 고마움과 만족이 따르지 않는다. 우리가 불행한 것은 가진 것이 적어서가 아니라 따뜻한 가슴을 잃어가기 때문이다. 따뜻한 가슴을 잃지 않으려면 이웃을 사랑해야 한다.”고 적고 있다.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환경, 여건, 돈에서 오지 않는다. 우리를 행복하게 만드는 것은 부와 명예가 아니라 좋은 관계이다. 인간이란 한문은 관계를 표시하고 있다. 사람 인()+사이 간(). 관계를 소중히 하고 잘하는 그곳에서 행복이 스며져 나온다.

 

  왜 글을 무지개로 시작했을까? 어린 시절에 무지개를 보며 떠오르는 그곳에 가고 싶었다. 과학시간에 들여다보던 프리즘속에서 잡힐 것 같은 환상의 세계가 있으리라는 막연한 꿈을 꾸었다. 행복은 의외로 가까운 곳에 있다. 단순하다. 소통하면 행복해 진다. 사회적 연결이 원할해야 한다. 반면 고독은 해로운 것이다. 관계에서 친구 수는 중요하지 않다. ‘누구와 얼마나 깊은 교제를 나누는가?’에 더 집중해야 한다. 좋은 관계는 우리의 몸뿐만 아니라 뇌도 보호한다. 좋은 관계. 교회, 신앙의 깊음은 그리스도인들이 추구하고 투자해야 할 가장 중요한 분야이다.

 

 마이클 팝킨 박사는 의미심장한 말을 남겼다. “우리의 삶이 끝났을 때, 우리가 얼마나 많은 돈을 벌었는지, 얼마나 운동경기를 관람했는지? 혹은 가진 것이 얼마나 많은지? 우리는 기억할 수 없다. 찬란한 광채 속에서 우리의 영상에 남아 있는 것은 우리 친구와 배우자와 자녀들과 얼마나 긴밀하고 충만한 관계를 맺고 살아왔는가를 회상하게 될 것이다.”

        행복은 소유에서 오지 않는다. 소통과 관계에서 우러나온다. 행복하자!

 

 

 


  1. No Image

    그 강 건너편

    사람마다 살아가며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내 생애에 꼽으라면 단연 천정웅 목사님이다. 나를 오늘의 나로 가꾸어 준 멘토이다. 그분은 정말 건강했다. 20대 초반, 교회 청년부에서 ‘아야진’(동해 휴전선 근처 마을)으로 하기수련회를 갔던 때였...
    Views5272
    Read More
  2. No Image

    눈은 알고 있다

    사람에게는 오감이 있다.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이 감각이 살아있어야 사람은 살맛이 난다.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농인들이 있다. 하지만 그들은 수화, 구화를 통하여 청각 마비의 핸디캡을 커버하며 살아간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치명적인 후유...
    Views5315
    Read More
  3. No Image

    때 이른 성공

    신동이란 어린 나이에 별스런 재주를 나타내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지식은 물론, 예 · 체능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할때에 그런 명칭이 붙는다. 일단 그를 낳은 부모들이 자긍심을 느끼고, 주위 사람들의 경탄을 불러일으킨다. 우리 시대에도 신...
    Views5257
    Read More
  4. No Image

    발가락 시인

    이흥렬 씨. 그는 선천적 뇌성마비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에게 가장 큰 애로사항은 언어소통이다. 사람을 만나면 힘겹게, 너무도 힘겹게 말을 이어가야 한다. 말들은 쉽사리 그의 입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한동안 그의 온 몸을 휘젓고 다닌 끝에야 가까스로 그...
    Views5107
    Read More
  5. No Image

    나는 멋진 사람

    대부분 핸드폰을 열면 가족사진이나 풍경이 배경으로 깔려있다. 독특하게 내 폰은 배경이 나다. 언젠가 가족모임을 가지면서 독사진을 찍었는데 내 웃는 얼굴이 마음에 들어서이다. 며칠 전, 지인과 대화 중에 내 핸드폰을 보며 “특이하시네요. 핸드폰 ...
    Views5327
    Read More
  6. No Image

    미치겄쥬? 나는 환장하겄슈!

    인생은 초보부터 시작한다. 처음은 다 어설프고 우수꽝스러워 보이지만 인생은 다 초보부터 시작하였다는 것을 기억하며 살아야 한다. 「초보」하면 생각나는 것이 운전이다. 장애인이기에 운전을 한다는 것을 상상조차 못했는데 누가 “한국도 장애인들...
    Views5205
    Read More
  7. No Image

    생명의 신비

    장애인에게 결혼은 넘어가야 할 큰 장벽이다. 보통 청년들은 자연스럽게 짝을 만나고 결혼을 한다. 하지만 장애라는 아픔을 안고 사는 장애인들은 엄두도 내지 못한 채 살고 있다. 장애인사역을 하는 분들이 나누는 명언 아닌 명언이 있다. “여자 천사...
    Views5113
    Read More
  8. No Image

    가정을 한 글자로

    장성하여 혼기가 차면 짝을 찾아 결혼을 한다. 인생을 살면서 ‘어떤 배우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 이미 긴 세월 결혼생활을 해 온 분들에게 묻고 싶다. ‘만약 지금의 배우자가 아닌 그 시점에서 다른 사람을 만났다면 어떤...
    Views5332
    Read More
  9. No Image

    누구나 장애인

    초청받은 교회에서 설교를 하고 예배 후 친교를 시작하면 하나둘 내 곁에 모여든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은 “목사님, 저도 장애인입니다.”이다. 일단 거부감이 들지만 스스로 생각해도 장애가 있다는 의미인 것 같다. 그런데 정작 누군가...
    Views5055
    Read More
  10. No Image

    어차피 인간은 외로운 존재인가?

    한국에 가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 위함이다. 물론 목사이기에 여러 교회를 다니며 설교를 하지만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고국의 품이 그리워 찾아가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회귀본능이 고개를 든다. 어린 나이에 이민을 온 분들은 그렇지 않겠지만...
    Views5220
    Read More
  11. No Image

    그 이름 그 사람

    사람은 누구에게나 이름이 있다. 사실 이름은 본인의 의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붙여지는 고유명사이다. 이름은 태어나서만 지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태에 잉태된 순간에 붙여지는 이름도 있다. 바로 ‘태명’(胎名)이다. 태명이 태명으로 끝나는 경...
    Views5222
    Read More
  12. No Image

    웃으면 행복해져요!

    사람과 짐승이 다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사람만이 웃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개나 고양이는 웃지 못한다. 사람만이 다양한 소리를 내며 웃을 수 있다. 하기에 웃음을 “만국공통어”라고 한다. 웃음소리만 들어서는 한국인인지 외국인인지 구분이 안...
    Views5224
    Read More
  13. No Image

    죽고 싶은 당신에게

    택시를 탔다. 기사와 대화를 나누는 중에 뜬금없이 “자신이 자살 시도를 세 번이나 했었다”고 털어놓는다. 저으기 당황하며 이유를 물었다. “나이 어린 젊은 진상 손님들로 인해서 오는 스트레스 때문이었습니다.” 상상이 갔다. 줄곧...
    Views5228
    Read More
  14. 아, 청계천!

    나는 지금 한국 방문 중이다. 중요한 일정 중에 하나는 한국 장애인의 날에 나의 모교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채플에서 설교를 하는 귀한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20일(수) 오전 11:30분. 강단에 올라 무릎을 꿇었다. 가슴 한켠에서 무언가 ‘울컥&rsqu...
    Views5271
    Read More
  15. No Image

    생일이 뭐길래?

    평범한 주부의 고백이다. 며칠 전에 생일을 지나면서 많은 일들을 겪었다고 했다. 하필 전날이 작은 딸의 생일이었다. 초등학교 1학년인 딸을 위해 미역국을 끓이고 딸 친구들을 초대하여 자그마한 파티도 열어주었다. 즐겁고도 피곤한 하루를 보냈다. 다음날...
    Views5171
    Read More
  16. No Image

    산다는 건 그런거지!

    감동 없이 사는 삶은 형벌이다. 사람들은 만나면 습관적으로 묻는다. “요즈음 재미가 어떠세요?” 혹은 “신수가 훤한 것을 보니 재미가 좋으신가봐요?” 재미가 없는 삶은 무의미하다. 삶에는 모름지기 재미가 있고 감동이 있어야 한다...
    Views5265
    Read More
  17. No Image

    몸은 영혼을 담은 그릇

    사람은 영혼과 육체를 가지고 있다. 영혼은 그냥 영(靈)이라고하고 육체는 몸이라고 한다. 몸은 “모음”의 준말이다. 다 모여 있다는 말이다. AI 시대라고 하지만 하나님이 만드신 뇌는 못 따라간다. 뇌에서 Enter를 치면 몸은 그대로 움직인다. ...
    Views5432
    Read More
  18. No Image

    인생의 평형수

    만물은 항상 평형을 유지하려는 본성을 지닌다. 때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며 평형상태가 무너질 때가 있는데 이 찰나에 미미하나마 다시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복원력이라고 한다. 복원력이 가장 중요하게 적용되는 것이 물위에 배이다. 급격한 ...
    Views5041
    Read More
  19. No Image

    도랑

    서종(양평)에서 나는 3년동안 초등학교를 다녔다. 지제, 강상, 양평초등학교를 거쳐 아버지의 인사이동을 따라 산골 깊이 서종초등학교로 전학을 해야 했다. 지금은 카페촌이 들어서고 골짜기마다 분위기 좋은 별장이 즐비한 곳이 되었지만 당시는 촌(村)이었...
    Views5282
    Read More
  20. No Image

    너는 자유다!

    오래전 “Who am I ?”라는 인문학 강연 프로그램에 “정글만리”를 펴낸 조정래 선생이 출연하였다. 노구의 비해 낭랑한 목소리와 소년의 미소가 정겹게 다가왔다. 강연 내내 푸근하게 떠올라 있는 미소와 너그러움이 참 편안하게 느껴...
    Views543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