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5:33

빨리 빨리! 12/26/2011

조회 수 626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505303922924.jpg

 

 

우리 한국 사람들의 특징은 조급함이다. 식당에 들어서서 제일먼저 하는 말은 “여기 빨리 주문 받으세요”이다. 메뉴 주문을 받고 돌아서는 종업원에게 또 한마디를 한다. “아줌마, 빨리 주세요.” 유럽에 있는 레스토랑은 식당을 열고 닫는 시간이 분명하다. 일단 영업시간이 끝나면 더 이상 손님들을 받지 않는다. 그런데 예외가 있다. 단체 손님이면서도 한국 사람들은 대환영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식사를 하는 시간이 별로 걸리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 사람들은 먹는 것도 빠르다. 누가 쫓아오는 것처럼 음식을 먹어치운다. 한국인은 어디서나 세대를 막론하고 “빨리빨리”를 달고 산다.

한국인이 운영하는 업소에서 일하는 타민족 사람들이 제일 먼저 배우는 말이 “빨리 빨리”란다. 사탕을 끝까지 핧아 먹지 못하고 깨물어 먹거나 자판기에 동전을 넣고 컵을 붙들고 있는 민족은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한국 편의점에 들르면 컵라면을 즉석으로 먹을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다. 그런데 ‘3분 라면’에 뜨거운 물을 붓고 3분을 기다리는 사람은 전혀 없다. 물을 붓기 시작하여 먹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이 3분일 것이다. ‘티백’(tea bag: 차를 싸서 넣은 종이 주머니)을 생각 해 보자. 티백은 뜨거운 물에 담그면 차가 자연스럽게 우러나오도록 아주 과학적으로 만들어 졌다. 한국 사람은 그때까지 기다리지 못한다. 옆에 놓인 티스푼으로 눌러서 잠기게 해서 먹는다. 가장 짧은 시간에 가장 진한 차를 우려먹을 수 있는 민족인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뭐든지 빨리빨리 해치우고 싶어 하는 본성을 지니고 있다. 도로를 닦거나 건물을 짓는 일은 기본이고, 회사를 차려서 업무를 진행해도 빠른 시일 안에 성과를 올려야만 한다. 전화로 중국집에 짜장면을 시키거나 피자집에 주문을 하고 마지막 하는 말은 “빨리 보내주세요.”이다. 따라서 주문이 끝나기 무섭게 ‘번개’처럼 달려가야만 영업이 된다. 이런 조급증은 운전을 할 때도 나타난다. 신호등 앞에 멈춰 서있는 차들은 마치 경주용 차량이 출발신호를 기다리는 모습과도 같다. 어제였든가? 빨간 신호등 앞에서 ‘슬금슬금’ 차를 앞으로 내어 미는 나를 발견하고 놀랐다. 역시 나는 한국인인가 보다.

그렇다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급한 성격을 가졌다는 것을 꼭 부정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 한국 사람들의 급한 성격이 여러 가지 폐단을 불러오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런 “빨리 빨리”가 전쟁 폐허국이었던 한국을 세계경제 10위안에 끌어올리는 원동력이 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세상 모든 일에는 음지와 양지가 있듯이 우리의 약점인 “빨리빨리” 역시 단점인 동시에 장점이 될 수 있다. 특히 요즘 같은 IT 시대에 더욱 빛을 발하는 게 “빨리 빨리”이다. 급변하게 돌아가는 IT 세상에서는 하루만 늦어도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의 급한 성격이 오히려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어릴 적 교통안전 캠페인 문구가 생각난다. “5분 먼저 가려다, 50년 먼저 간다.” 하지만 그것은 옛말이다. 이제는 “5분 먼저 가면, 50년을 앞서갈 수 있다.” 시대가 되었다. 그만큼 우리의 미래는 밝다. ‘엘빈 토플러’는 “한민족이 21세기에 뜰 수 있는 최고의 기질은 바로 저 “빨리 빨리”정신이다.”라고 지적했다. 어차피 쉽게 고칠 수 없는 기질이라면 긍정적으로 보아야 하지 않을까? 그렇다고 우리민족이 항상 조급한 것만은 아니다. “빨리 빨리”를 외치면서도 “천천히”를 병행 할 줄 아는 민족이다. 조급하면서도 우직하게 기다릴 줄 아는 민족, 그런 아주 특이한 민족성을 우리는 가지고 있다.

“빨리 빨리”의 부작용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런 조급함이 유럽에서 500년 걸리던 경제속도를 50년 만에 이룩해 놓은 것이다. “빨리 빨리”와 “천천히”에 대한 조화를 느낄 줄 아는 삶을 살아야 한다. 세월이 너무 빠르지 않은가! 인생은 서둘러야 한다. 서둘러야 경제나 영적인 것이나 성취 할 수 있다. 하지만 빨리 가는 것보다 소중한 것을 지킬 줄 아는 것도 우리의 숙제 중에 하나이다. 오늘도 “빨리 빨리”를 외치며 우리는 살고 있다.


  1. 고부(姑婦) 사랑 3/15/2012

    고부갈등은 드라마의 단골소재이기도 하고 인생을 살아가면서 피부로 겪는 가족관계이기도 하다. “고부갈등은 사주팔자에도 안 나온다.”는 속설이 있다. 좋은 것 같으면서도 멀기만 하고 먼 것 같으면서도 챙겨야만 하는 묘한 관계이다. 이런 말...
    Views72447
    Read More
  2. “1박 2일” 마지막 여행 3/7/2012

    세상의 모든 것은 시작이 있으면 반드시 끝이 있다. 그것을 알고는 있지만 막상 마지막 순간이 다가왔을 때에 밀려오는 서운함은 감당하기 어려운 과정이다. 나는 초등학교를 5군데나 다녔다. 순경아버지를 둔 덕분(?)에 일어났던 일이다. 가장 오래 다녔던 ...
    Views73863
    Read More
  3. 모나미 볼펜 3/7/2012

    우리세대는 연필세대이다. 연필의 이점은 잘못 썼을 때에 지우면 된다는 데 있다. 문제는 연필의 질이었다. 부러지기 일쑤였고, 가끔은 쪼개지는 일까지 속출하였다. 그때에 비하면 지금 아이들이 쓰는 연필은 고급 중에 고급인 셈이다. 공책도 질이 떨어져서...
    Views74471
    Read More
  4. 가슴으로 만나야 한다 2/25/2012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만남”이다. 사람이 태어나면 먼저 “숙명적 만남”을 갖는다. 그것이 가족이고 집안이다. 나의 어머니, 아버지는 내가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태어나 보니 그런 분들이 나의 부모님이셨다. ...
    Views73561
    Read More
  5. 나는 엄마다 2/25/2012

    젊은 남녀가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식을 올린다. 1년 만에 예쁜 딸이 태어났다. 얼마나 착하고 말을 잘 듣는지 가정에는 항상 웃음꽃이 피었다. 몇 년 만에 다시 임신을 하고 아들을 낳았다. 아이가 자라며 놀이방에 맡겼는데 얼마 되지 않아 원장에게 &ldquo...
    Views72045
    Read More
  6. 덕구의 빈방

    밀알선교단 설립 25주년을 기념하는 연극 “빈방있습니까?”가 지난 주간 나흘동안 이어졌다. “덕구”는 연극 “빈방있습니까?”의 주인공 이름이다. 그는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다. 지능이 현저히 낮고 말이 어눌하다. 성탄절...
    Views63561
    Read More
  7. 지금 1/25/2012

    이메일을 열었다. “멀리계신 스승님께”라는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 보통 “목사님”이라고 불리우는데 익숙한 나에게 “스승님”이라는 호칭은 느낌을 새롭게 한다. 교육전도사 시절에 만났던 제자에게서 온 편지였다. 새해 ...
    Views75251
    Read More
  8. Honey! 1/25/2012

    어느 날 어떤 인연으로 남녀가 만나고 서로를 사랑하기에 결혼을 하고 부부가 된다.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산전수전을 다 겪으며 부부는 어느새 닮아간다. 생김새만 닮는 것이 아니고 성격도 취향도 같아진다. 그래서 부부는 정말 신비하다. 지난 주간 어느 노...
    Views67653
    Read More
  9. 아름다운 빈손 1/25/2012

    “한경직 목사의 아름다운 빈손”<KBS>이라는 영상을 보았다. 이미 고인이 된지 오래지만 한 목사님은 한국교회 127년사에 존경받는 목회자로 귀감이 되고 있다. 66년 전 27명으로 시작한 영락교회는 이제 5만 명이 넘는 성도들이 모이는 대형교회...
    Views65792
    Read More
  10. 젊은날의 푸르름 12/31/2011

    또 한해가 떠나려고 손을 흔들고 있다. “2011년”이라는 어색한 이름을 부르며 시작한 것이 엊그제 같은데 정든 한해가 내 곁을 떠나려 하고 있다. 세월을 흘려보내는 일에 이골이 날만한 나이가 되었음에도 이맘때 찾아오는 서운함은 감출길이 없...
    Views73804
    Read More
  11. 성탄의 축복이 온누리에! 12/26/2011

    어린 시절에 성탄절은 꿈의 날이었다. 교회를 다니지 않았으면서도 성탄이 가까워오면 이상하게 가슴이 설레었다. 크리스마스카드를 그리며 그날을 기다리고 첫눈이 휘날리는 한가운데에 서서 그날을 바라보았다. 크리스마스이브에는 밤늦게까지 버티다가 눈...
    Views76894
    Read More
  12. 빨리 빨리! 12/26/2011

    우리 한국 사람들의 특징은 조급함이다. 식당에 들어서서 제일먼저 하는 말은 “여기 빨리 주문 받으세요”이다. 메뉴 주문을 받고 돌아서는 종업원에게 또 한마디를 한다. “아줌마, 빨리 주세요.” 유럽에 있는 레스토랑은 식당을 열고...
    Views62669
    Read More
  13. 떠나가는 분을 그리며 12/26/2011

    9년 전 필라델피아에 와서 밀알사역을 감당하면서 눈에 들어온 후원자의 이름이 있었다. 특이하게 이름이 네 자였다. “남궁” “독고” “황보”성을 가지신 분들은 자연스럽게 이름이 네자가 나올 수 있지만 그분은 나처럼 &...
    Views65066
    Read More
  14. 기적은 있다 12/15/2011

    인생을 살다보면 벼라별 일들을 다 만나게 된다. 나에게는 전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일에 주인공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것도 좋은 일이라면 얼마나 행복할까? 내 인생을 송두리째 흔들어 버리는 극한 고난을 만날 때에 사람은 당황한다. &ldquo...
    Views66648
    Read More
  15. 잘 되는 나 12/8/2011

    이것은 ‘긍정의 힘’의 저자 조엘 오스틴이 내놓은 역작의 제목이다. 너무 노골적이지만 현대인들은 그런 취향에 익숙해 진지 오래이다. 조엘 오스틴의 책을 접하면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음을 나도 느낀다. 아마 그것은 정식으로 신학을 하...
    Views65562
    Read More
  16. 동보극장 간판 예술가 12/8/2011

    평생 경찰로 살아오시던 아버지는 퇴직을 하시자마자 모든 것을 정리하여 서울행을 결심하신다. 내 나이 16살에 나는 그렇게 꿈꾸던 서울사람이 되었다. 밤이 되면 거리를 수놓는 현란한 네온사인 불빛이 어린 가슴을 설레이게 하였다. 처음에는 어리버리하던...
    Views76483
    Read More
  17. 남편은 애물 덩어리 11/30/2011

    부인들이 앉아 남편 흉을 보기 시작했다. 한참을 둘러치다가 누군가가 말했다. “그러기에 남편은 애물덩어리야. 집에 혼자 두면 ‘근심덩어리’, 밖에 데리고 나가면 ‘골치덩어리’, 마주 앉으면 ‘웬수덩어리’, 거기...
    Views67630
    Read More
  18. 장애 여동생을 향한 마음 11/30/2011

    언젠가 장애를 가진 여동생을 둔 한분과 긴 시간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 “여동생의 모습이 너무 애처로워 견디기 힘든 시간이 많았다.”는 고백부터 “그 여동생을 한국에 남겨두고 미국에 살고 있는 자신의 모습이 너무 싫어질 때가 많다.&...
    Views76170
    Read More
  19. 이런 인생도 있다 11/6/2011

    지난 초여름 한국을 뒤집어 놓은 사건이 있었다. 케이블·위성 방송 오락채널인 ‘티브이엔’이 야심차게 방영한 “코리아 갓 탤런트” 첫 회에 출연한 “최성봉”이란 젊은이 때문이었다. “코리아 갓 탤런트&rdqu...
    Views67656
    Read More
  20. 낙엽속에 숨겨진 인생 10/27/2011

    밀알의 밤이 막을 내렸다. 작년까지만 해도 엄청난 인파가 자리를 메우고 들뜬 분위기로 밀알의 밤은 연출되었다. 사람들이 많이 모인 것을 자랑하고 그것을 행사의 성공기준으로 삼는 것 같은 속성에 빠져있는 나를 발견하고 스스로 놀랐다. 금년 밀알의 밤...
    Views7599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