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808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철수와 영희.jpg

 

 

 초등학교에 입학을 하면 국어시간에 만나는 첫 인물이 “철수와 영희”이다. “철수야 놀자, 영희야 놀자!”로 문장은 시작된다. 아마 지금도 한국인중에 가장 많은 이름이 남자는 “철수”, 여자는 “영희”일 것이다. 초등학교에 들어가 처음 불러보는 “철수와 영희” 그 세월이 어느새 40년이다. 그래서인지 그 익숙하고 정겨운 이름을 다른 이름으로 바꾼다고 한다. 시대에 맞는 새롭고 신선한 이름으로 대치한다는 취지이지만 우리의 추억까지 밀려나는 느낌이다.

 

 “철수와 영희”와 함께 등장하는 강아지가 “바둑이”이다. “학교 갔다 돌아오면 멍멍멍!” 반기는 강아지 이름이 “바둑이”였다. 바둑이가 아이에게 재롱을 피우는 그림은 개를 키우지 않는 내 가슴에 개에 대한 뜻 모를 정겨움을 느끼게 해 주었다. “철수와 영희, 바둑이”는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첫 국어 교과서부터 등장한다. 70년대엔 한때 “기영이와 순이”로 바뀌기도 했지만, 1987년까지 “철수와 영희”는 계속 주인공이었다. 그래서 우리 세대는 “철수” “영희”라는 이름을 만나면 잠시 지나간 옛 시절을 추억하게 된다.

 

 우리가 초등학교 시절에는 볼거리가 전혀 없었다. 도시아이들은 “만화책방”이라도 들렀지만 시골에 사는 우리들은 만화를 시리즈로 보는 것은 단지 희망사항이었다. 우연찮게 엿장수 아저씨의 리어카에서 지난번 보았던 만화의 다음 편을 만나면 행운 중에 행운이었다. 만화책을 많이도 보았다. 그래서인지 지금은 만화가 싫다. 신문에 연재되는 만화조차도 그냥 지나쳐 버린다. 그래서 깨닫는다. “어린 시절에는 실컷 놀게 내 버려두어야 한다.”는 것을. 요새 아이들은 너무 보는 것이 많다. 눈을 뜨자마자 켜서 보는 “핸드폰”안에는 없는 것이 없다. 그래서 귀한 것도 모르고 신기한 것도 없다.

 

 불행인지 행운인지? 내가 초등학교에 입학한 그 시절부터 우리는 사람에게 치이고 사람과 경쟁하며 살아야 했다. 그때는 참 아이들이 많았다. 나중에 안 이야기지만 6 · 25 이후에 출산율은 증가되었고 해서 55년생부터 63년생들을 “베이비부머” 세대라고 한다. 겁 없이 아이들을 많이 낳던 시대가 그때이다. 기록을 보면 70년대에는 평균 학급수가 62.1명이었다. 80년대에는 51.5명, 90년대에는 41.4명으로 줄어들더니 2006년 현재 30.9명이라니 놀랍기 그지없다. 10년 전 통계니까 아마 지금은 한반에 25명 정도가 되는 듯하다.

 

 내가 고등학교에 다닐 때 만해도 학급당 60명에 무려 한 학년에 15반이 있었다. 실로 “콩나물시루”라고나 할까? 신기한 것은 새 학기를 맞이해 보면 이미 반장이 뽑혀져 있었다. 소위 ‘치맛바람’에 능한 학부모가 미리 힘을 써놓았기 때문이다. ‘왜 그 아이가 반장이 되어있는지?’ 우리는 생각조차 못했다. 그만큼 아이들은 순진했다. 그 시대에는 교권이 탄탄했다. 선생님은 두려움의 대상이었고 한편 존경해야할 분들이었다. 하지만 이제 선생님은 더 이상 존경의 자리에 있지 못하다.

 

 지난 3월 입학생이 전혀 없는 초등학교가 93곳이나 된다는 뉴스는 충격적이었다. 어쩌다 영상에 비춰지는 학교교실을 보면 샘이 날 정도이다. 선풍기조차 없어 수업시간에 부채질을 하다가 선생님 눈에 띄어 “건방지다”고 야단을 맞고, 겨울이면 조개탄 난로에 가까이 다가앉은 것이 커다란 소망이었던 우리였는데. 지금은 어떨까? 교실마다 최신형 에어컨이 가동되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책걸상이 아담하게 교실을 차지하고 있다. 교실 뒤편에는 개인 사물함이 자리하고 점심시간이 되면 도시락이 아닌 고품격의 학교급식이 기다리고 있다.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변화를 시도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처럼 보인다. 하지만 추억까지 몽땅 지워가며 시대의 변화를 따라가는 한국의 현실이 왠지 마음 한구석에 서운함을 안기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내가 구시대 사람이라 그런 것일까? 아니면 변화를 두려워하는 인식 때문일까? 과거에는 “나”라는 정체성을 가족이나 친구와의 인간관계에서 찾고자 했다. 밀레니엄 시대에는 “개성과 창의성”을 강조하고 요즘 교과서에서는 ‘상상, 꿈, 개성’과 같은 단어로 개인독창성을 추구한다. “철수와 영희”가 촌스러워 새로운 이름으로 바꾸려하기보다 관계를 중시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라도 영원토록 그 이름은 남겨놓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1. 추억이 피어오르는 음식 10/8/2011

    사람에게 소중한 즐거움이 있다면 그것은 “식도락(食道樂:여러 가지 음식을 먹어 봄을 도락으로 삼는 일)”이다. 사람마다 좋아하는 음식이 있다. 그 이유를 물으면 그 음식에 얽힌 사연이 있기 때문이다. 나는 “마늘쫑”만 보면 금새 ...
    Views73091
    Read More
  2. 추억의 색깔을 음미하며

    인생이 힘들고 기나긴 여정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가끔 떠오르는 추억이 미소를 머금게도 하고 잠시 현실의 무게를 덜어주기도 한다. 세월이 흐르면 흐를수록 사랑의 색깔이 달라진다. 사람들은 그 색깔을 다시 음미하고 싶어 추억의 장소를 찾아간다. 사진첩...
    Views72566
    Read More
  3. 쵸코군!  6/22/2011

    우리 집에는 남자(?) 강아지가 있다. 나이는 세 살이고 ‘요크 샤테리아’이다. 처음 병원에서 발행한 족보를 보면서 미소가 저절로 번졌다. 마치 한국의 주민등록 등본처럼 “쵸코”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적혀있는 것이 너무도 신기했...
    Views77674
    Read More
  4.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9991
    Read More
  5. 초심(初心) 지키기

    이제 막 입학한 신학생들의 모습을 꼬집는 ‘조크’가 있다. 처음 입학하면 목사처럼 산다. 처음 신학대학에 입학하던 때가 생각난다. 신기하고 두렵고 희한하고 기분이 묘했다. ‘와우, 내가 신학생이 되다니!’ 걸음걸이도, 말씨도, 마...
    Views60628
    Read More
  6. 청춘과 함께한 행복한 밤

    실로 필라에 새로운 역사를 쓴 뜻 깊은 행사였다. 언제부터인가? 필라에 살고 있는 청춘들을 한자리에 모으고 싶었다. 복음으로 흥분시키고 마음껏 젊음을 발산하는 장(場)을 만들어 주고 싶었다. 오랜 날 기도하며 준비한 밀알의 밤에 막이 오르고 메인게스...
    Views60134
    Read More
  7. 청춘 낙서 12/19/2014

    낙서의 역사는 얼마나 될까? 아마 태초부터 낙서가 있지 않았을까? 아담은 에덴동산 곳곳에서 낙서를 했을성 싶다. 고교 2학년 때. 수학여행을 가서 설악산 암벽에 새겨진 낙서에 혀를 내둘렀다. 처음 이민을 와서 ‘프리웨이’(L.A.)가 지나가는 ...
    Views85706
    Read More
  8. 청춘

    여름은 청춘을 닮았다. 얼어붙은 동토를 뚫고 빼꼼이 고개를 내어밀던 새순은 여름의 비와 바람을 맞으며 단단해져 간다. 따가운 햇살과 공격해 오는 해충의 위협을 의연히 견뎌낸 줄기만이 가을의 넉넉한 열매를 보장받게 된다. 여름은 싱그럽지만 그래서 아...
    Views46757
    Read More
  9. No Image

    철학자의 인생론

    한때 ‘철학계의 삼총사’로 불리우며 다양한 철학논리를 펼친 학자들이 있다. 김형석(연대), 김태길(서울대), 안병욱 교수(숭실대)이다. 철학은 모든 학문의 기초라고 하지 않는가? 나야 대학 초년생때 <철학개론>마저도 고루하게 생각했던 장본인...
    Views6015
    Read More
  10. 철수와 영희가 사라졌다!

    초등학교에 입학을 하면 국어시간에 만나는 첫 인물이 “철수와 영희”이다. “철수야 놀자, 영희야 놀자!”로 문장은 시작된다. 아마 지금도 한국인중에 가장 많은 이름이 남자는 “철수”, 여자는 “영희”일 것이...
    Views80840
    Read More
  11. 철든 인생

    이야기를 나누던 상대방이 갑자기 일어선다. “많이 바쁘세요?” “손자가 학교에서 올 시간이 되어 픽업을 해야 합니다.” 한편으로 부럽기도하고 헛웃음이 나온다. 그렇게 나이가 들어가는 인생의 모습을 본다. 학교에 다녀오던 아이들...
    Views9412
    Read More
  12. 천원식당 6/23/2013

    세상이 많이 삭막해졌다고들 한다. 과거보다 살기가 풍요로워졌다면 당연히 사람들의 마음도 넉넉해져야 할 텐데 민심은 점점 싸늘해져만 간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여기 가슴 훈훈한 식당이 있다. “해 뜨는 식당”(광주 대인시장). 이름만 들어...
    Views74597
    Read More
  13. 천국에는 아라비아 숫자가 없다

    태초에는 숫자가 없었다. 그래서 열손가락을 사용했고, 셈을 하느라 애를 먹었다. 그러다가 오늘날 통용되는 아라비아 숫자까지 발전을 해왔다.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각자에게 번호가 주어진다. 키가 작은 아이부터 숫자가 주어졌다. 어릴 때부터 키가 작았던...
    Views5169
    Read More
  14. 창호지(窓戶紙)의 정갈함 6/23/2013

    어린 시절 우리는 거의 한옥에서 살았다. 표현 그대로 ‘고래등’ 같은 거창한 한옥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박한 한옥에서 둥지를 틀고 살았다. 항상 드나드는 커다란 방문과 창은 거의 창호지로 빛을 조절해 주었다. 그 시절에는 유리가 ...
    Views85900
    Read More
  15. 창문과 거울

    집의 경관을 창문이 좌우한다. 창문의 모양과 방향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진다. 창문 밖으로 펼쳐지는 장면은 시야로 흡수되고 느낌을 풍성히 움직인다. 영화의 한 장면처럼 통유리가 있는 집에 살고 싶었다. 창을 통해 시원하게 펼쳐진 정원을 바라보는 것이 ...
    Views19672
    Read More
  16. 참, 고맙습니다!

    2017년이 단 이틀 남았다. 돌아보면 은혜요, 일체 감사뿐이다. 고마운 분들을 그리며 금년 마지막 칼럼을 쓰고 있다. 그때그때마다 다가와 위로해 주던 많은 사람들, 여전히 그 자리에서 사역에 힘을 실어주는 분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어린...
    Views55810
    Read More
  17. 차카게살자!

    한때 조직폭력배(이하 조폭) 영화가 희화화되어 유행한 적이 있다. 보통 사람은 전혀 상상하지 못할 일들이 그 세계에서는 펼쳐지고 있음이 세상에 조금씩 드러나면서 사람들의 호기심은 발동하기 시작하였다. 실로 어둠의 세계일진대 영화나 소설이 은근히 ...
    Views47020
    Read More
  18. 차라리 다리가 없으면--- 4/5/2014

    모두가 건강하면 얼마나 좋을까? ‘불행’이란 단어자체가 없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데 그게 아니다. 인생을 사는 것 자체가 고통이다. “평생 시각장애로 살아가느니 차라리 다리가 하나 없는 게 나을 것 같아요.” 앞이 보이지 않아 ...
    Views70658
    Read More
  19. 쪽 팔리게

    칼럼 제목을 정하면서 잠시 망설였지만 이제 이런 표현이 자극적이거나 품격이 떨어지는 단어가 아니라고 생각하며 과감하게 달아보았다. 내가 어릴때는 ‘겸연쩍다, 민망하다, 부끄럽다’고 표현한 것 같다. 하지만 더 들어가보면 의미는 조금 다...
    Views10260
    Read More
  20. 쪼잔한 이야기 11/10/2013

    “쪼잔하다.”는 표현은 흔히 돈 씀씀이를 연상케 한다. 같은 표현이 있다. “그 사람은 참 검소해.” 그런데 사람들은 그렇게 말하지 않는다. 특히 “남자가 말야!”하면서 뒷담화를 친다. 음식을 먹고 밥값을 시원스럽게 내...
    Views7257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