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43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장애우.jpg

 

 

 

장애인 호칭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혼돈을 일으킨다. 내가 어릴 때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들을 여과 없이 쏟아냈다. “장애자”에서 다듬어진 호칭은 이제는 “장애인”이라는 말로 정착을 했다. 한때는 “장애우”라는 말을 쓰기도 했다. 고상하고 정감 있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의외로 “장애우”로 부르는 것을 싫어하는 장애인들이 많다. “장애우”는 장애인이 아닌 사람이 ‘자신의 친구’라는 의미로 운동론 관점에서 붙인 말이었다. “나는 장애인이다”라고 할 수 있지만, “나는 장애우다.”라고 쓰기에는 어색한 말이다. 거기다가 한국 정서에서 손자가 할머니 장애인에게 ‘장애우’라는 단어를 쓰는 것이 예의가 아니라는 지적도 상당했다.

 

그러면 장애인의 반대말은 무엇일까? 소위 장애가 없는(아무 장애가 없는 사람은 없지만) 사람들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 한때는“정상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말은 장애인을 비정상인으로 만들어 버린다. 정상의 기준이 장애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장애인의 반대말은 비정상인이 아니라 ‘비장애인’이라는 단어가 훨씬 자연스럽다. 결국 이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라는 말로 상용하고 있다.

 

그럼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자. 눈이 안 보이는 ‘시각 장애인’의 경우 보통 “눈이 멀어 안 보인다.”는 표현을 쓴다. 이때 ‘눈이 멀다’라는 표현을 시각 장애인들이 바람직하게 생각할리 없다. 그럼에도 새 번역 성경에는 시각장애인을 “맹인”으로 기록한다. 결국“눈이 먼”이라는 표현보다는 “눈이 안 보이는”이 더 나을 듯하다. 눈뿐만 아니라 귀가 안 들리는 경우에도 “귀가 먹었다.”가 아니라 “귀가 안 들리는 청각 장애인”이라는 단어를 쓰는 게 훨씬 낫다. 사람은 누구나 장애가 있다. 눈이 잘 보이고 안 보이고의 차이,귀가 잘 들리고 안 들리고의 차이일 뿐이다.

 

이러한 단어뿐만 아니라 고개를 ‘갸우뚱’하게 하는 장면이 있다. 영화와 드라마에 등장하는 장애인들은 한결같이 ‘착하게’ 나온다는 사실이다. 아주 거북하다. 왜 그럴까? 이것은 오히려 장애인에 대한 왜곡을 낳기 때문이었다. 장애인도 사람이다. 화가 날 때 화를 내고 짜증이 나면 짜증도 낸다. 정말 성격이 표독한 사람도 있다. 그런데 대중문화 작품에서는 항상 ‘천사표’ 같이 웃는 얼굴만 그리니 현실과는 괴리감이 느껴진다. 이해를 전혀 못하는 바는 아니다. 가만히 들여다보면 장애인은 항상 동정과 연민의 대상이 되기에 착하고 선하게만 그려야 한다는 보이지 않는 강박관념 때문이다. 그렇게 해야 비난을 피할 수 있다고 여기는지도 모른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에서는 항상 장애인을 감동의 대상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종종 장애인이 역경을 극복하는 인물로 등장한다.그러나 장애인들은 역경을 항상 극복하는 존재가 아니다. 장애인에게는 늘상 장애가 있기 때문에 불편한 줄 모르고 살고 있으며,그것 자체에 이미 극복의 여지가 없다. 이 역시 장애인이 항상 연민과 시혜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심리에서 비롯하는 점이다.

 

상품화도 영원한 문제다. 요컨대, 장애인은 언제나 있는데, 사회적 이슈가 되는 것은 장애인의 날, 혹은 연말연시이며 다시 봄이 되면서 시들해진다. 영화 <말아톤> 성공 이후에 많은 드라마와 영화들이 장애인을 등장시켰다. 그러나 호평을 받은 작품은 적다. <맨발의 기봉이>나 <허브>도 감동의 상품화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공익적이라는 <사랑의 리퀘스트>같은 프로그램은 여전히 질병, 장애, 고통을 감동의 수단으로 삼고 있다. 모든 것이 조심스럽다. 영화나 드라마속의 장애인을 보고 눈물을 흘리는데 반해 현실의 장애인에게서는 아무런 감정을 느끼지 못한다는 사실에 대해 뭐라고 해석해야 하는가?

 

사람들은 알게 모르게 장애인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고 있는지 모른다. 이것 또한 무서운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라고 지적하고 싶다. 편견처럼 무서운 것이 있을까? 그렇지 않은데 그렇게 간주하고 반응을 한다면 비극이다. 장애인은 평범한 사람이다. 모양이 다를 뿐이다. 그냥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여주고 그가 한 인격체로 살아가도록 지켜보는 것, 이것이 진정한 장애인 사랑인 것이다.


  1. 여자 말만 들으면… 7/12/2014

    이미 다 아는 말 중에 “남자는 평생 세 여자 말만 잘 들으면 성공 한다.”는 말이 있다. 어릴 때는 “엄마”, 결혼해서는 “아내”, 이제는 “GPS 아줌마”(네비게이션). 언뜻 들으면 고개를 ‘갸우뚱’...
    Views75481
    Read More
  2. 끊고 시작하고 1/28/2011

    중학교를 시골(양평)에서 다닌 후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로 진학을 하면서 나는 그리운 친구들과 헤어지게 되었다. 기차역까지 배웅을 나와 떠나가는 나를 향해 플랫 홈에서 손을 흔들어주던 친구들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어린 날에 정들었던 친구들과...
    Views75437
    Read More
  3. 남자는 외롭다 7/22/2013

    모두가 봉고차를 타고 다닐 때에 한 친구가 르망 승용차를 타고 나타났다. “야! 차 좋다. 차 턱을 내야겠다.”하며 서로 칭찬을 해주고 있는데 그 중에 한 친구가 차로 다가가더니 갑자기 그 새 승용차를 발로 차는 것이었다. 지켜보던 친구들은 ...
    Views75375
    Read More
  4. 모나미 볼펜 3/7/2012

    우리세대는 연필세대이다. 연필의 이점은 잘못 썼을 때에 지우면 된다는 데 있다. 문제는 연필의 질이었다. 부러지기 일쑤였고, 가끔은 쪼개지는 일까지 속출하였다. 그때에 비하면 지금 아이들이 쓰는 연필은 고급 중에 고급인 셈이다. 공책도 질이 떨어져서...
    Views75322
    Read More
  5. 친구가 되어주세요!10/2/15

    <팔 없는 친구에게 3년간 우정의 팔.> 오래 전, 한국 신문 기사에 난 타이틀이다. 양팔이 전혀 없는 친구를 위해 3년 동안 헌신한 우정에 대한 기사였다. “김영태”군은 6살 때 불의의 감전사고로 양팔을 잃게 되었다. 팔이 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
    Views75180
    Read More
  6. 누군들 자장가가 그립지 않으리 3/18/2013

    그는 시인이다. 필체가 날카롭고 예리하다. 서른이 훨씬 넘어 사랑하는 여인을 만나 결혼을 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아내는 태중에 아이를 갖게 된다. 아내가 임신 6주차에 접어들었을 때에 ‘양귀비 씨앗만하다’는 태아의 심장 소리를 듣게 된다....
    Views75042
    Read More
  7. 남존여비 변천사 6/7/2014

    인터넷에 떠도는 “덩어리 시리즈”이다. 남편이 밖에 안 나가고 집에 있으면 “골치덩어리”, 집에 두고 오면 “근심덩어리” 함께 외출하면 “짐 덩어리” 출가한 자식 집에 가면 “눈치 덩어리” 마주 ...
    Views75003
    Read More
  8. “1박 2일” 마지막 여행 3/7/2012

    세상의 모든 것은 시작이 있으면 반드시 끝이 있다. 그것을 알고는 있지만 막상 마지막 순간이 다가왔을 때에 밀려오는 서운함은 감당하기 어려운 과정이다. 나는 초등학교를 5군데나 다녔다. 순경아버지를 둔 덕분(?)에 일어났던 일이다. 가장 오래 다녔던 ...
    Views74957
    Read More
  9. 깊은 물 7/29/2013

    무더운 여름, 집 앞 시냇가에 발을 담그고 더위를 피해 살던 때가 있었다. 아이들을 따라 다리 밑으로 향하고 물에 뛰어들며 수영을 배웠다. 물먹기를 반복하고 아이들의 놀림을 받으며 수영실력은 늘어갔다. 수영을 익히면서 물과 친근해 졌다. 물에 몸을 맡...
    Views74950
    Read More
  10. 독일제 백금 샤프 3/25/2013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미제> 학용품 하나만 가지면 아이들의 시선을 독차지 할 수 있었다. 진노오랑 색깔의 미제연필은 당시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향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질이 좋아 선망의 대상이었다. 연필에 선명하게 드러나는 <U.S.A>는 아이들의 탄성...
    Views74816
    Read More
  11. 향수병(鄕愁病) 12/6/2010

    사람은 한곳에 머무르지 못하고 많은 곳을 떠돌며 인생을 엮어간다. 우리는 모두 한국 사람이다. 세상에 태어나자마자 자신이 외국에 나가 살게 될 줄을 예측한 사람이 있을까? 철저한 계획을 세우고 오신 분들도 없지 않아 있겠지만 대부분 어쩌다가 미국에 ...
    Views74806
    Read More
  12. 겨울 낭만 2/18/2013

    우리는 지금 겨울의 한복판을 지나고 있다. 겨울은 춥다. 눈이 많이 온다. 사람뿐 아니라 생물세계에서도 활동이 무뎌지는 계절이다. 그래도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작년에 이어 폭설이 내리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서부에서 살다가 처음 필라델피아에 와서...
    Views74734
    Read More
  13. 젊은날의 푸르름 12/31/2011

    또 한해가 떠나려고 손을 흔들고 있다. “2011년”이라는 어색한 이름을 부르며 시작한 것이 엊그제 같은데 정든 한해가 내 곁을 떠나려 하고 있다. 세월을 흘려보내는 일에 이골이 날만한 나이가 되었음에도 이맘때 찾아오는 서운함은 감출길이 없...
    Views74719
    Read More
  14. 슬퍼서 아름다운 노래 가수 김정호 4/26/2014

    누구나 미치도록 좋아하는 가수가 하나쯤은 있다. 나의 십대로부터 20대를 흘러가면서 내 마음 한켠에 시냇물을 만들어 준 가수가 있다. “김정호” 진정 내 십대에 아이돌은 “김정호”였다. 어쩌다가 김정호가 TV(흑백) 화면에 나타나...
    Views74596
    Read More
  15. 가슴으로 만나야 한다 2/25/2012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만남”이다. 사람이 태어나면 먼저 “숙명적 만남”을 갖는다. 그것이 가족이고 집안이다. 나의 어머니, 아버지는 내가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태어나 보니 그런 분들이 나의 부모님이셨다. ...
    Views74590
    Read More
  16. 가을 그림 11/22/2012

    태풍이 할퀴고 지나간 상처는 너무도 깊은 것 같다. 불행 중 다행히도 필라델피아는 극한 상황을 넘기며 전기사정이 회복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미주 동부지역은 상상을 초월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북부 뉴저지 지역은 전기는 고사하고 주유소에 기름이 없...
    Views74394
    Read More
  17. 장애인을 어떻게 불러야 하나요? 8/7/15

    장애인 호칭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혼돈을 일으킨다. 내가 어릴 때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들을 여과 없이 쏟아냈다. “장애자”에서 다듬어진 호칭은 이제는 “장애인”이라는 말로 정착을 했다. 한때는 “장애우”라는 말을 ...
    Views74377
    Read More
  18. 캠프에서 만난 사람 8/31/2011

    장애인들이 매년 손꼽아 기다리는 “사랑의 캠프”가 막을 올렸다. 동부에 있는 밀알선교단이 연합하여 개최하는 사랑의 캠프는 금년으로 19회 째를 맞이한다. 필라델피아 밀알 단장으로 와서 어느새 아홉 번째 참석하고 있으니 실로 세월이 유수이...
    Views74352
    Read More
  19. 아내로 하여금 말하게 하라!

    나이가 들어가는 부부가 행복해 질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간단하다. 감정과 대화가 통할 때에 행복지수는 높아진다. 여자는 나이가 들수록 에너지가 입으로 간다. 나이가 들수록 말이 많아진다는 말이다. 문제는 할 말과 안할 말의 경계가 나이가 들수록 ...
    Views74285
    Read More
  20. 천원식당 6/23/2013

    세상이 많이 삭막해졌다고들 한다. 과거보다 살기가 풍요로워졌다면 당연히 사람들의 마음도 넉넉해져야 할 텐데 민심은 점점 싸늘해져만 간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여기 가슴 훈훈한 식당이 있다. “해 뜨는 식당”(광주 대인시장). 이름만 들어...
    Views7423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