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16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공중전화.jpg

 

 

실로 정보통신 천국시대가 되었다. 한국에 가보면 어리디어린 아이들도 모두 핸드폰을 들고 다닌다. 젊은 시절에 외국영화를 보면 길거리에서 핸드폰으로 전화를 거는 장면이 있었다. “저게 가능할까?” 생각을 했는데 이제 그 모든 것이 현실이 되어버렸다. 부목사 시절에 동부교회에서 교구와 제3남전도회를 지도하고 있었다. 당시 회장이던 김영구 집사님이 지금생각하면 너무도 투박한 모토로라 핸드폰을 구입했는데 얼마나 신기하던지 만지작거리며 여기저기 전화를 해댔었다. 그때가 1990년으로 기억된다.

사실 80년대 초 만해도 가정집에 전화가 흔치 않았다. 그래서 대중들에게는 공중전화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전화 한 통화를 걸기위해 앞사람의 전화가 끝나기를 기다리고 기다리다가 드디어 차례가 오면 깨알같이 적힌 전화번호 수첩을 꺼내 다이얼을 돌린다. “어떤 목소리 톤일까? 어떻게 내 전화를 받을까?” 설레이는 마음으로 신호가 가는 소리를 기다리면 동전이 떨어지며 상대방의 목소리가 들려온다. 너무나도 반갑고 선명하고 잘 들리던 그때의 공중전화 한 통화.

친구는 친구에게, 이성 친구에게, 고향 떠나온 자식은 고향에 계신 부모님께, 군대 간 현역군인은 고참 눈치 보며 부대막사 앞 공중전화 박스 앞에서 너무나도 보고 싶은 애인에게 “혹시 고무신을 거꾸로 신지는 않을까!” 염려하며 통화를 한다. 틈만 나면 한번이라도 더 전화하고자 마음 졸이며 나누었던 애인과에 대화가 공중전화에는 그대로 담겨있다. 그 당시 공중전화는 사람냄새를 맡게 하며 소중한 사람과의 정을 더 끈끈하게 이어주는 역할을 해 주었다.

핸드폰 열풍이 불면서 편리해지고 신속해 진 것은 틀림이 없는데 사람냄새가 사라진 것이 아쉽고 사람들마다 무언가에 집착하며 사는 것 같아 서글퍼지는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점점 개인주의가 되어가는 세상이 무섭기까지 느껴진다. 공중전화에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배려와 양보가 있게 하였고 친구는 친구에게, 남자는 여자에게, 여자는 남자에게, 선배는 후배에게 끈끈한 사랑을 느끼게 해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해주었다.

담임 목사가 되어 연말에 여전도회로부터 삐삐를 선물 받았다. 처음에는 삐삐가 하도 안 울려 목양실에 앉아 교회전화로 스스로 삐삐를 치던 때도 있었다. 지금 생각하도 웃음이 절로 나온다. 운전을 하다가 중요한 삐삐호출이 오면 급하게 차를 세워놓고 공중전화를 통해 통화를 해야 만 하였다. 젊은이들은 삐삐를 통해 연락을 하고 사랑을 나누었다. 허리춤에 찬 삐삐에 호출 전화가 뜨면 가슴이 설레이고 공중전화 다이얼을 돌리며 ‘소중한 사람이 나에게 무슨 말을 할까?’를 상상하던 때가 있었다.

그런데 삐삐시대는 오래가지 않았다. 금방 핸드폰이 전 국민에 필수품으로 자리 잡는데 는 그리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다. 역시 한국인이다. “빨리빨리”의 힘은 대단했다. 이제는 누구나 핸드폰을 들고 다니는 세상이 되었다. 이렇게 손안에 핸드폰을 하나씩 다 가지고 있어도 사람과 사람 사이에 나누는 인정은 공중전화와 삐삐가 있던 그 시절 보다 훨씬 더 못한 것 같다. 아마 그 이유는 사람들이 저마다 자기 삶에만 집착하면서 살기 때문이 아닐까? 자기 밖에 모르는 개인주의가 팽배해가기 때문이다.

손안에 전화가 있는데 이상하게 공중전화를 사용할 때보다 친구들과의 통화는 더 뜸해지고 어쩌다 전화를 하면 안부를 묻는 정도가 고작인 것 같다. 차라리 불편하고 더뎠지만 공중전화를 쓰던 시절이 어쩌면 지금보다 훨씬 더 좋았던 것 같다. 한국에 가보면 아직도 공중전화 부스가 드문드문 있기는 있다. 거의 쓰는 사람이 없는 외톨이가 되어서 말이다. 앞사람의 통화가 끝나기를 기다리는 시간에 우리는 그 사람을 생각했었다. 무슨 말을 할지도 곰곰이 되뇌었다. 전화번호를 암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기에 두뇌활동이 활발했었고 연상법을 사용하여 나름대로의 암기법이 절실히 필요하기도 하였다. 사람을 생각하며 걸던 공중전화 시대가 그래서 더 행복했는지도 모른다.


  1. 정말 그 시절이 좋았는데 5/16/2012

    실로 정보통신 천국시대가 되었다. 한국에 가보면 어리디어린 아이들도 모두 핸드폰을 들고 다닌다. 젊은 시절에 외국영화를 보면 길거리에서 핸드폰으로 전화를 거는 장면이 있었다. “저게 가능할까?” 생각을 했는데 이제 그 모든 것이 현실이 ...
    Views71632
    Read More
  2. 정녕 가슴에 봄은 오는가? 3/20/15

    사계절이 변하는 모습을 느끼며 산다는 것은 축복이다. 추운 날씨가 계속되거나, 더운 나날이 지속되지 아니하고 때를 따라 계절이 옷을 갈아입으며 나름대로의 자태를 뽐내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은 인생에게 허락하신 그분의 크신 은총이다. 나는 가을을 좋...
    Views72123
    Read More
  3. 젊은날의 푸르름 12/31/2011

    또 한해가 떠나려고 손을 흔들고 있다. “2011년”이라는 어색한 이름을 부르며 시작한 것이 엊그제 같은데 정든 한해가 내 곁을 떠나려 하고 있다. 세월을 흘려보내는 일에 이골이 날만한 나이가 되었음에도 이맘때 찾아오는 서운함은 감출길이 없...
    Views74734
    Read More
  4. 절단 장애인 김진희

    인생을 살다보면 벼라 별 일을 다 겪게 된다. 영화나 드라마에나 나올법한 일이 현실로 닥쳐올 때에 사람들은 흔들린다. 그것도 불의의 사고로 뜻하지 않은 장애를 입으면 당황하고 좌절한다. 나처럼 아예 갓난아이 때 장애를 입은 사람은 체념을 통해 현실을...
    Views35527
    Read More
  5. 전철 심리학

    한국에 가면 가장 편리하고 눈에 띄는 것이 대중교통 수단이다. 특히 전철노선은 서울뿐 아니라 지방 속속 까지 거미줄처럼 연결되어있다. 전철의 좌석배치는 많은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해서인지 양쪽 창가 밑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전철을 타면 어쩔 수 ...
    Views81032
    Read More
  6. 전신마비 첫 치과의사

    삶에는 시련이 있다. 하지만 극한 장애가 찾아온다면 견뎌낼 사람이 있을까? 그것도 온몸이 마비되는 경우에 말이다. 그런데 그런 드라마에나 나올듯한 상황을 역전시켜 당당히 살아가는 주인공이 있다. 이규환 교수. 그는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치과 진료를 하...
    Views9330
    Read More
  7. 전신마비 장애인 6/22/2011

    30대 중반에 담임목사가 되어 목회에 열정을 불사르고 있을 때였다. 어느 주일에 한 가족이 필자가 목회하는 교회에 등록을 하였다. 남편은 덤프트럭을 운전하는 기사였고 아내는 다소곳한 인상에 두 명의 어린 아들이 있었다. “목포에서 살다가 병상에 ...
    Views84951
    Read More
  8. 저만치 잡힐듯한 시간

    가을이 깊어간다. 푸르던 잎들이 각양각색의 색깔로 갈아입으면서 서서히 정든 나무를 떠날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무척이나 춥고 눈이 쏟아지던 겨울. 나무 속에 숨어 기다리던 새싹들이 ‘호호’ 불어대는 봄바람에 살포시 얼굴을 내밀기 시작했...
    Views11709
    Read More
  9. 저만치 다가오는 그해 겨울

    눈이 온다. 근래 큰 눈이 오지 않아 푸근한 겨울을 꿈꾸었건만 2월에 접어들며 벼르기라도 한 듯 폭설이 일주일 간격으로 퍼붓고 있다. 나는 처음 로스앤젤레스로 이민을 왔다. 낯선 미국 땅에서 처음 만나는 사람들. 희미하게 잊혀졌던 사람을 먼 미국 땅에...
    Views17666
    Read More
  10. 저는 휠체어 탄 여행가입니다

    장애인들이 제일 좋아하는 것은 여행이다. 장애인들은 내달리는 차에 올라 차창 밖으로 펼쳐지는 풍경을 무척이나 즐긴다. 일명 휠체어 여행가가 있다. 홍서윤. 그녀가 주인공이다. 자신을 휠체어 탄 여행가라고 소개하면 주위 사람들은 다들 깜짝 놀란 얼굴...
    Views50537
    Read More
  11. 재미 좋으십니까? 10/3/2012

    사람들이 만나면 나누는 인사안에는 복잡한 복선이 깔려있다. 미국사람들은 만나면 “Good morning” 혹은 “How are You?”라고 묻는다. 참 여유가 있고 멋이 있다. 우리나라는 어떤가? 옛날에는 주로 “밤새 안녕하셨습니까?&rdqu...
    Views79550
    Read More
  12. 장애인인 것도 안타까운데

    사람들이 아주 평범하게 여기는 것을 기적처럼 바라며 사는 존재가 있다. 바로 장애인들이다. 이 땅에는 장애를 가지고 힘겹게 삶을 꾸려가는 사람들이 참으로 많다. 통계에 의하면 인류의 10%가 장애인이라고 한다. ‘10명중에 한명’은 장애인이...
    Views58395
    Read More
  13. 장애인이 행복한 세상 8/12/2013

    스물 한번째 밀알 사랑의 캠프가 “장애인이 행복한 세상”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필라델피아에서는 한 시간 반이면 도착하는 캠프장을 “아틀란타” “시카고” 밀알은 무려 20시간을 달려 참석을 한다. 그렇게 21년 동안...
    Views66794
    Read More
  14. 장애인이 주인인 기업 9/23/2012

    장애인들이 아무 차별 없이 취업을 하고 정당한 대우를 받는 세상. 그래서 장애가 전혀 인생살이에 장애가 안되는 그런 세상을 꿈꾸며 오늘도 밀알사역을 감당하고 있다. 2010년 가을. 8년 만에 한국에 나가서 놀란 것은 곳곳에 장애를 가진 분들이 일을 하고...
    Views66377
    Read More
  15. 장애인을 어떻게 불러야 하나요? 8/7/15

    장애인 호칭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혼돈을 일으킨다. 내가 어릴 때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들을 여과 없이 쏟아냈다. “장애자”에서 다듬어진 호칭은 이제는 “장애인”이라는 말로 정착을 했다. 한때는 “장애우”라는 말을 ...
    Views74411
    Read More
  16. 장애인을 사랑하기까지 11/7/2014

    나는 장애인이다. 모두가 그렇듯이 나도 귀한 가정에 아들로 태어났다. 아들을 둘이나 낳았지만 갓난아기 때 병으로 다 잃어버리고, 딸을 낳아 기르다가(누나)내가 태어났으니 부모님은 얼마나 기뻐하셨을까? 하지만 돌이 지나며 ‘소아마비’에 걸...
    Views71238
    Read More
  17. 장애인은 아름답습니다 3/8/2014

    한국에서 장애인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 만들어 준 영화가 있다. 2005년 개봉한 영화 <말아톤>은 그해 여름에 열린 대종상 영화제 7개 부문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며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게 된다. 한 영화평론가는 “<말아톤>은 장애인에 대한 한국 사...
    Views64440
    Read More
  18. 장애인들의 행복한 축제

    어느새 27회를 맞이한 밀알 사랑의 캠프(25일~27일)가 막을 내렸다. 실로 역동적인 캠프였다. 마지막 날은 언제나 그렇듯이 눈물을 가득 담고 곳곳을 응시하며 다녀야 했다. 철없는 10대 Youth 친구들이 장애아동들을 돌보는 모습 자체가 감동으로 다가오기 ...
    Views33142
    Read More
  19. 장애인들의 행복한 축제

    여름이 다가오면 장애인들과 장애아동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시간이 있다. 바로 “동부 사랑의 캠프”이다. 어떤 때는 밀알선교센터 달력이 다 찢기워 나가고 7월이 펼쳐져 있는 진풍경도 연출된다. 하지만 지난 3년 멈춰서야만 하였다. 끔찍한 팬데...
    Views5963
    Read More
  20. 장애인 오해하지 마세요! 4/3/15

    사람들은 건강이 얼마나 소중한줄 모르며 살아간다. 아침에 눈을 뜨면 찬란한 햇살을 응시할 수 있고, 요란하게 노래하는 새소리에 심취하며 화장실, 주방을 두루두루 마음껏 걸어 다닐 수 있는 것은 당연이라 여기며 생을 이어간다. 아니다. 그것은 대단한 ...
    Views6999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