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6.04.22 10:05

생방송

조회 수 621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Music Box (1).jpg

 

 

 나는 화요일마다 필라 기독교방송국에서 생방송을 진행한다. 방송명은 “밀알의 소리”. 사람들은 생방송이 힘들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나에게는 생방송이 체질이다. 방송을 진행한지가 어언 14년에 접어드는 것을 보면 스스로 대견함을 느낀다. 방송 ‘시그널’(이사도라)이 나가기 시작하면 마음이 차분해 지며 심장은 요동치기 시작한다. 시를 읇으며 내용에 잠기고 본격적인 방송에 들어가며 애청자들이 저만치서 주목하는 것이 그려진다.

 

 나는 20대에 접어들며 다방에서 DJ를 한 경험이 있다. 아주 짧은 시간이었지만 생방송의 묘미를 그때만큼 실감한 적도 없다. 대학입시에 낙방을 하고 실로 ‘실업자’ 대열에 가담을 한다. 하루 놀고 하루 쉬는 무료함이 나를 지치게 만들었다. 대학생이 되어 캠퍼스 생활을 하는 친구가 너무도 부러웠다. 그때는 대학생들에게도 교복이 있었다. 고대에 들어간 “자윤”이가 입은 감청색 교복이 너무 멋져보여서 억지로 벗겨 입어본 적도 있다.

 

 그러다가 우연히 마주친 고교동창 녀석이 DJ를 하고 있었다. 다방 중앙에 위치한 뮤직 박스 곁에는 DJ 친구들이 종일 죽치는 장소였다. 친구 소개로 중량교 부근에 있는 “궁전다방” DJ로 첫발을 내디뎠다. 감사하게도 타고난 음성이 좋아 DJ로는 안성맞춤이었다. 앞에 앉았던 DJ의 체취를 느끼며 자리에 앉는다. 턴테이블을 점검하고 한쪽에 레코드판(LP)을 얹는다. 뭔가 모를 긴장감이 밀려오며 묘한 행복감을 준다. 자켓에 새겨있는 순서를 찾아 전축 바늘을 맞추고 회전버튼을 누르면 음악이 흐르기 시작한다. 지금 들어봐도 그 시절의 팝송은 감성을 자극하는 매력이 있었다.

 

 디스크에 먼지가 많으면 잡음을 일으키고 흠을 만나면 바늘이 튀기도 한다. 그러면서 반복되어 나오는 음악에 DJ는 등줄기에 땀이 배긴다. “죄송합니다. 판이 튀네요.” 그리고는 재빠르게 옆에 있는 다른 판을 돌려야 한다. 전화가 오면 혀로 ‘톡’소리를 내며 카운터로 돌려주고, 신청음악 쪽지가 들어오면 알파벳 순으로 되어있는 디스크를 단숨에 찾아내야만 한다. DJ 초년생들은 멘트를 많이 한다. 하지만 연륜이 쌓이면 묵묵히 음악만 튼다.

 

 자, 인생 이야기를 하자! 아마추어일 때는 말을 많이 해야 일이 되는 듯싶다. 하지만 인생을 살다보면 말을 한다고 듣는 것도 아니고 내가 입을 열지 않는다고 일이 안돌아가는 것도 아니다. 인생은 철저히 생방송이다. 녹화방송과 생방송은 긴장도부터가 차이난다. 녹화방송은 NG가 나도 다시 하면 된다. 후에 편집기술을 동원하면 된다. 생방송은 NG가 났을 때에 신속하게 수습하는 순발력이 절대 필요하다.

 

 막상 생방송을 시작했는데 마이크가 나오지 않는다던지, 음악재생이 안 되는 상황이 벌어질 때도 있다. 그럴수록 침착하게 사태를 풀어가야 한다. 포기는 용납이 안 된다. 생방송은 일단 시작하면 끝까지 가야만 한다. 이미 실수를 했더라도 지금부터 상황을 역전시켜 나가면 사람들은 과거를 기억해 내지 못한다. 또한 잘못했을 때는 “잘못했다.”고 하면 된다. 허물을 감추려하다 보니 더 꼬여 버리는 때가 얼마나 많은가? 인생을 녹화방송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젊은 시절에는 그런 생각을 할 수도 있다. 워낙 에너지가 넘치고 기회가 많은 때이니까 말이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서도 그런 태도로 인생을 사는 것은 가련한 삶이다.

 

 연필은 쓰기가 편하다. 왜 잘못되면 지우면 되니까? 그래서 연필과 지우개는 친구 중에 친구이다. 하지만 생방송은 친구가 없다. 오직 마이크와 방송장비를 상대할 뿐이다. 인생은 시작하면 가야만 한다. 방송과 인생의 다른 점은 방송은 끝나는 시간이 있지만 인생은 언제 끝이 나는지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사는 날까지 열심히 방송을 해야 한다. 그분이 ‘CUT’을 외치실 때까지 최선을 다해 살아야 한다.

 

 방송의 묘미가 무엇인가? 내 목소리를 듣고 힘을 얻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내가 하는 방송을 통해 삶의 새로운 의미를 깨닫는 청취자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미미해 보이는 내 인생을 통해 나와 연결되어 있는 사람들이 어디에선가 새로운 용기와 희망을 회복하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자, 오늘도 생방송을 시작합시다!


  1. 시각장애인의 아픔

    “버스정류장의 안내 음성이 들리지 않아 버스를 잘못 탄 적이 있습니다. 민원에 따라 소리를 줄이면 시각장애인인 저는 출근을 어떻게 하라는 겁니까?” 서울시에 거주하는 제모(32세· 시각1급)씨는 2년 전부터 출근길이 불안하기만 하다. ...
    Views15353
    Read More
  2. 습관

    사람은 누구나 독특한 습관이 있다. “피는 못 속인다”고. 대를 이어 가는 습관도 있다. 알코올에 찌들어 살던 아버지로부터 그렇게 상처를 받고 살았으면서 그 추한 모습을 대물림한다. 도박에 빠진 아버지를 그렇게 증오하던 자식이 여전히 그 ...
    Views14761
    Read More
  3. 아무리 익숙해 지려해도 거절은 아파요

    인생은 끊임없는 도전으로 이어진다. 반복되면 능숙해지기도 하련만 고비를 넘어서면 더 높은 능선이 길을 막는다. 그 과정을 거치며 때로는 성취감에 행복해하기도 하지만 실패의 아픔을 겪으며 뒹굴어야만 한다. 거절과 실패는 익숙해질 수 없는 끈질긴 친...
    Views274374
    Read More
  4. 아무도 모르는 둘만의 세월

    세월의 흐름은 두려울 정도로 빠르다. 팬데믹에도 한해가 바뀌고 또다시 봄기운이 움트고 있다. 눈과 강풍, 날마다 번져가는 역병. 살면서 이렇게 답답하고 곤고한 때가 있었을까? 초반에는 당황함으로, 시간이 지나며 현실을 받아들이며 체념하다가도 희망의...
    Views15897
    Read More
  5. 장애의 벽 넘어 빛나는 졸업장

    한국은 바야흐로 졸업시즌이다. 하지만 금년은 COVID-19 여파로 빛이 바랬다. 4년의 학업을 마치고 졸업하는 모습은 가족들이나 주위 사람들의 눈에도 귀해 보이거니와 스스로도 커다란 성취감을 맛보는 소중한 시간이다. 하지만 험난한 시국을 만나 영상으로...
    Views16249
    Read More
  6. 저만치 다가오는 그해 겨울

    눈이 온다. 근래 큰 눈이 오지 않아 푸근한 겨울을 꿈꾸었건만 2월에 접어들며 벼르기라도 한 듯 폭설이 일주일 간격으로 퍼붓고 있다. 나는 처음 로스앤젤레스로 이민을 왔다. 낯선 미국 땅에서 처음 만나는 사람들. 희미하게 잊혀졌던 사람을 먼 미국 땅에...
    Views16472
    Read More
  7. 금수저의 수난

    지난 2월 5일. 변창흠 신임 국토교통부 장관이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 당사자로 나서게 되었다. 김희국 의원이 물었다. “지금 버스 · 택시 요금이 얼마입니까?” 장관이 즉각 답변을 못하면서 분위기가 얼어붙었다. 나중에는 “카...
    Views16291
    Read More
  8. 아내 말만 들으면

    우리 세대는 가부장적 분위기에서 자라났다. 아버지의 존재는 실로 무소불위였다. 가정 경제의 키를 거머쥐고 모든 결정을 아버지가 내렸다. 엄마는 뒤에서 뭔가 궁시렁거릴 뿐 그 권세 앞에 아무 힘도 쓰질 못했다. 그 기세가 아들인 우리들에게도 이어질 줄...
    Views15554
    Read More
  9. 다리없는 모델 지망생 “구이위나”

    사람이 위대한 것은 어떤 장벽도 넘어설 수 있음을 꿈꾸며 도전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속담에 “올라가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도 말라”가 있다. 불가능한 일은 아예 엄두도 내지 말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환경을 탓하며 주저앉는...
    Views15745
    Read More
  10. 삶은 소중한 선물

    신년벽두 아가 ‘정인’의 죽음이 많은 사람들을 충격에 몰아넣었다. 천진난만한 미소로 재롱을 부리는 아가의 모습, 겨우 18개월밖에 살지 못하고 떠나간 생명을 보며 세상이 얼마나 악해졌는가를 실감했고 그렇게 태어나 떠나가는 아이들이 더 있...
    Views16837
    Read More
  11. 나만 몰랐다

    “김치만 먹는 개”라는 영상을 보았다. 개는 늑대의 후손이다. 과거에는 사람들이 먹고 남은 찌꺼기를, 이제는 사료를 먹지만 개는 사실 육식동물이다. 그런데 이 개는 김치만 먹는다. 그것도 아주 매운 김치만.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 그 이유가...
    Views16919
    Read More
  12. 군불

    새벽녘에 잠이 깨었다. 무서운 꿈을 꾼 것도 아닌데 갑자기 단잠이 달아나 버렸다. 추적거리며 내리는 겨울비가 금방 잠이 깬 내 의식을 또렷하게 만들었다. 불현듯 고향 사랑방 아궁이가 화면처럼 다가왔다. 어린 시절, 나는 방학만 하면 고향으로 향했다. ...
    Views16663
    Read More
  13. 시간을 “먹는다”와 “늙는다”

    새해가 밝은지 8일 째다. 비상시국이기에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예배를 드림으로 새해맞이를 하였다. 이럴때는 내가 목사라는 것에 자긍심을 느낀다. 성찬식도 거행했다. “지난 한해동안 성찬을 전혀 대하지 못했다.”는 딸의 말이 마음에 걸렸...
    Views16188
    Read More
  14. 2021년 첫칼럼 / 마라에서 엘림으로!

    새해가 밝았다. 듣도 보도 못한 역병이 창궐하며 지난해는 암흑으로 물들여졌었다. 사람들은 물론이요, 어느 장소, 물건을 가까이 할 수 없는 희한한 세월을 보냈다. 문제는 아직도 진행 중이라는 것이다. 언제 끝나게 될지 모를 절박한 상황이 새해라는 희망...
    Views16963
    Read More
  15. 세월은 쉬어가지 않는다

    나는 어린 시절 남한강 줄기에서 자랐다. 강은 보는 각도에 따라 모양과 느낌을 달리한다. 언덕 위에서 볼 때는 마냥 푸르고 잔잔해 보이지만 모래사장에 내려서면 잔잔히 출렁이는 물결이 건너편을 저만치 밀어낸다. 물가에서 보면 만만해 보이지만 일단 몸...
    Views16291
    Read More
  16. 테스형

    지난 추석 KBS는 <대한민국 어게인 나훈아>라는 야심 찬 기획을 세운다. 무려 11년 동안 소식이 없던 그가 다시 무대에 선다는 것 자체가 커다란 이슈였다. 이혼과 조폭 연루설로 인해 힘들어하던 시기 대중 앞에서 “바지를 내리겠다”고 외치며 ...
    Views16398
    Read More
  17. It is not your fault!

    인생이란 무엇일까? 왜 사람들은 평생 그렇게 바쁘게 돌아치며 살고 있을까? 분명히 뭔가 잡으려고 그렇게 달려가는데 나중에는 ‘허무’라는 종착역에 다다르게 되는 것일까? 세상의 모든 것을 원 없이 누렸던 솔로몬은 유언처럼 남긴 전도서에서 ...
    Views16563
    Read More
  18. 지연이의 효심

    장애를 안고 살아가는 당사자도 고통스럽지만 그 모습을 바라보고 사는 가족들의 아픔은 말로 표현이 안된다. 우연히 마트에서 손에 약봉지를 든 지인과 마주쳤다. “누가 아파요?” “제 아내가 루게릭병으로 힘들게 살고 있습니다.” ...
    Views17124
    Read More
  19. 1회용

    바야흐로 1회용품이 상용화된 시대이다. 컵부터 시작하여 세면용품, 밴드, 도시락, 가운, 렌즈, 면도기, 카메라, 기저귀, 주사기, 다양한 모양의 그릇까지 요즘에는 일회용으로 만들지 않는 것이 없다. 실로 1회용품 홍수시대이다. 1회용품 중에는 한번 쓰고 ...
    Views17204
    Read More
  20. 라떼는 말이야~

    나는 라떼를 좋아한다. 블랙은 매번 도전을 해 보지만 취향이 아니고 아직은 촌스러워서 달달한 커피가 좋다. 에스프레소에 우유를 갈아서 만드는 라떼는 부드럽고 단맛이 혀 끝에 닿으며 기분을 up 시켜 주어 좋다. 지인들은 첨가물 없이 커피를 즐기며 한마...
    Views177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